-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1/26 09:31:47 |
Name | [익명] |
Subject | 1억 이상 근로소득자 분들 세태크 어떻게 하시나요? |
이번에 어찌어찌 하다보니까 총 소득이 1억을 넘겼습니다. 문제는 연말정산을 해보니 2백만원을 뱉어야 하는 걸로 나오네요. 순간적으로 아찔해지면서 이제 세태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시기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연말정산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사이트를 찾아서 어떻게 해야할지 여러 케이스로 돌려봤습니다. 연금 저축을 한도까지 넣고, 아이 교육비를 올리고, 기부금까지 올려봤는데요. 근데 어떻게 돌리더라도 백만원 이상은 뱉어야 하는 상황이더라구요. 심지어 신용카드 / 직불카드 지출액을 지금보다 이천만원 정도 올려도 정작 세금 혜택은 이십만원 정도 밖에 안되네요. 그나마 지금은 아내가 집에서 육아를 하면서 인적공제로 아내 + 아이가 들어있어서 그나마 나은데 올해는 아내가 다시 일을 시작할 예정이라 상황이 더 악화될 예정입니다. 이러다가 정말 내년에는 3~4백 때려맞을 것 같아서 겁이 납니다. 연말정산을 위한 세태크 팁을 좀 나눠주세요 ㅠㅠ 0
|
적극적으로 소득공제를 이용하면 세금 절대량은 줄지만 어차피 토해내냐 돌려받냐는 얼마나 미리 냈냐와 상관있는거라 총액은 상관 없어요.
얼마를 뱉어내야 되느냐를 생각하는게 아니라 정확하게는
어떻게 하면 연말정산을 통해 소득공제를 통해 과표구간을 낮추고
세액공제를 통해 결정세액을 줄이냐 라고 생각하는게 정답입니다
100%로 설정하더라도 급여가 일정하게 12개월로 나오는 경우하고 시급제나 상여금 등으로
월 급여가 들쭉날쭉 할때 떼는 원천세가 연말 합산하게 되면 다르게 나옵니다
소득이 낮고 과표구간이 낮은 경우에는 세액공제에 더 신경을 써야 되고
소득이 높아 과표구간이 높은 경우에는 소득공제를 최대한 받는 방법을 더 찾아서
과표구간을 최대한... 더 보기
어떻게 하면 연말정산을 통해 소득공제를 통해 과표구간을 낮추고
세액공제를 통해 결정세액을 줄이냐 라고 생각하는게 정답입니다
100%로 설정하더라도 급여가 일정하게 12개월로 나오는 경우하고 시급제나 상여금 등으로
월 급여가 들쭉날쭉 할때 떼는 원천세가 연말 합산하게 되면 다르게 나옵니다
소득이 낮고 과표구간이 낮은 경우에는 세액공제에 더 신경을 써야 되고
소득이 높아 과표구간이 높은 경우에는 소득공제를 최대한 받는 방법을 더 찾아서
과표구간을 최대한... 더 보기
얼마를 뱉어내야 되느냐를 생각하는게 아니라 정확하게는
어떻게 하면 연말정산을 통해 소득공제를 통해 과표구간을 낮추고
세액공제를 통해 결정세액을 줄이냐 라고 생각하는게 정답입니다
100%로 설정하더라도 급여가 일정하게 12개월로 나오는 경우하고 시급제나 상여금 등으로
월 급여가 들쭉날쭉 할때 떼는 원천세가 연말 합산하게 되면 다르게 나옵니다
소득이 낮고 과표구간이 낮은 경우에는 세액공제에 더 신경을 써야 되고
소득이 높아 과표구간이 높은 경우에는 소득공제를 최대한 받는 방법을 더 찾아서
과표구간을 최대한 낮춰서 높은 세율을 받는 과표구간의 세금을 최대한 덜 내도록 방법을 찾는게 좋을 듯 합니다
어떻게 하면 연말정산을 통해 소득공제를 통해 과표구간을 낮추고
세액공제를 통해 결정세액을 줄이냐 라고 생각하는게 정답입니다
100%로 설정하더라도 급여가 일정하게 12개월로 나오는 경우하고 시급제나 상여금 등으로
월 급여가 들쭉날쭉 할때 떼는 원천세가 연말 합산하게 되면 다르게 나옵니다
소득이 낮고 과표구간이 낮은 경우에는 세액공제에 더 신경을 써야 되고
소득이 높아 과표구간이 높은 경우에는 소득공제를 최대한 받는 방법을 더 찾아서
과표구간을 최대한 낮춰서 높은 세율을 받는 과표구간의 세금을 최대한 덜 내도록 방법을 찾는게 좋을 듯 합니다
근데 토해낸다는건 돈을 미리 썼다는 거니까 국가 상대로 레버리지를 친...... 개인한테는 이득 아닌가욤 ㅎㅎ
물론 세테크 하는거야 돈 아끼는거니까 중요한건 맞는데 토해낸다는거에 너무 거부감은 안가지셔도 될거 같습니다
일단 그정도 고액연봉자시면 혜택 받는건 사실상 거의 없다시피 하고.... 이번에 900으로 한도 오른 연저펀+irp 한도까지 다 넣고.... 하는 정도가 최선인거 같아요. 맞벌이시면 카드 한사람걸로 몰아줘서 공제효율 높이기? 정도...
물론 세테크 하는거야 돈 아끼는거니까 중요한건 맞는데 토해낸다는거에 너무 거부감은 안가지셔도 될거 같습니다
일단 그정도 고액연봉자시면 혜택 받는건 사실상 거의 없다시피 하고.... 이번에 900으로 한도 오른 연저펀+irp 한도까지 다 넣고.... 하는 정도가 최선인거 같아요. 맞벌이시면 카드 한사람걸로 몰아줘서 공제효율 높이기? 정도...
전 포기하고 80% 원천하고 토해낼 거라 예상하고 토해냅니다. 차액을 적금만 들어도 이자가 무시할 금액은 아니라 윗분 말씀처럼 국가 상대로 적극적인 레버리지를 치고 있죠 ㅋㅋ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