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6/08/28 23:33:48 |
Name | 님니리님님 |
Subject | 전자와 전하 |
고등학교 때는 배운 지식을 피드백하는 과정이 없기때문에, 소화가 덜 된 채로 남곤 합니다. 그냥 잊으면 속 편하긴 하지만, 그 궁금증이 계속 머리 속에 멤돌면서 때때로 괴롭게 만들곤 합니다. 그 중 하나는 영어의 to부정사 개념입니다. 지금껏 살아온 인생의 절반을 'to부정사는 무언가를 부정하는 개념이다.'라는 생각이 자리잡아 오랫동안 절 혼란스럽게 해왔었습니다. 군대를 다녀오고 토익공부를 하다보니 'to부정사는 역할이 정해지지 않은 것, 다양한 역할(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 수행하는 것이다.'라는걸 깨달았습니다. 그 딴 이름을 정한 학자, 질문하면 면박주시던 고교시절 교사에 대한 원망도 들었지만, 궁금증이 해소된 개운함이 더 크더군요. 전자와 전하 개념은 그보다 더 오랫동안 해소되지 않는 궁금증입니다. 네이버나 다음에서 검색하면 설명이 나오긴 하지만, 뭔가 개념이 순환한다는 느낌을 주어 더욱 빡치게 만들곤 합니다. 가령 이런 식입니다. '전자는 전하의 기본 단위이다.' '막대를 문지르면 전자가 이동해서 음전하를 띈다.' "전자는 전하의 일부분인데 음전하를 띈다?" 개념이 이상하게 정리가 되기 일쑤입니다. 그래서 이런 설명이 적절한건지 아시는 분의 답변을 구합니다. 전하는 전기적 물질 단위를 말하는게 아니라 '상태'를 의미한다. '소금'이 전자이면, '짜다, 싱겁다'는 전하이다. 전자와 전하에 대한 보다 정확한 설명을 원합니다. 0
|
사람을 셀 때 한 명 두 명 이렇게 세잖아요. 그런데 사람을 반으로 잘라서 반 명으로 만들수는 없지요. 전자를 셀 때도 한 개 두 개 이렇게 셉니다. 똑같은 이유입니다. 전자를 잘라서 반으로 나눌 수 없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전자에는 여러가지 성질이 있어요. 사람의 키, 몸무게를 잴 수 있는 것처럼 이 성질을 측정할 수 있어요. 가장 이해하기 쉬운 성질은 질량이죠. 그리고 또다른 성질이 전하량이에요.
사람의 몸무게가 50kg으로 일정하다고 생각해보면 두 사람은 100kg이죠. 그런데 아무리 조작해도 사람을 모아서는 몸무게를 7... 더 보기
사람의 몸무게가 50kg으로 일정하다고 생각해보면 두 사람은 100kg이죠. 그런데 아무리 조작해도 사람을 모아서는 몸무게를 7... 더 보기
사람을 셀 때 한 명 두 명 이렇게 세잖아요. 그런데 사람을 반으로 잘라서 반 명으로 만들수는 없지요. 전자를 셀 때도 한 개 두 개 이렇게 셉니다. 똑같은 이유입니다. 전자를 잘라서 반으로 나눌 수 없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전자에는 여러가지 성질이 있어요. 사람의 키, 몸무게를 잴 수 있는 것처럼 이 성질을 측정할 수 있어요. 가장 이해하기 쉬운 성질은 질량이죠. 그리고 또다른 성질이 전하량이에요.
사람의 몸무게가 50kg으로 일정하다고 생각해보면 두 사람은 100kg이죠. 그런데 아무리 조작해도 사람을 모아서는 몸무게를 75kg을 만들 수 없어요. 75kg을 만들자고 사람을 반으로 잘라서 죽이면 감옥에 가겠죠. 사람을 법 때문에 못 자르는 것처럼 전자도 자연의 법칙 때문에 못 자르는 겁니다. 전자가 가지고 있는 전하량이라는 성질도 애매하게 쪼갠 값은 나올 수가 없어요. 그래서 편의상 전자 하나의 전하량이 가장 작은 값이라서 그것을 기준으로 하고 전자 하나가 가지고 있는 전하량을 -1이라고 정했습니다. -1.5 같은 전하량은 존재할 수가 없지요.
그렇지만 사실 사람은 맘만 먹으면 자를수도 있고 살이 찌거나 빠지면 75kg은 물론이고 66kg도 될 수 있고 99kg도 될 수 있어요. 몸무게가 연속적이죠. 그렇지만 전자는 질량과 전하량이 정해져서 변하지 않아요. 우리가 평소에 알고 있는 물리학 법칙이 적용되는 세계는 물리량이 연속적인데 반해서 전자처럼 양이 정해져 있으면 물리학 법칙이 다르게 보일 수 밖에 없지요. 그래서 이렇게 양이 정해진 단위를 양자(量子, quantum)라고 부르고 이런 작은 수준의 물리학을 양자역학이라고 부릅니다.
원자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이뤄져 있어요. 질량을 가진 입자는 서로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는데 그것이 중력입니다. 먼 거리에서는 태양과 지구를 잡아둘 정도로 큰 힘이 되지만 작은 거리에서는 별로 의미가 없어요. 왜냐하면 전하량을 가진 입자끼리 서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힘이 가까운 거리에서 압도적으로 강하기 때문입니다. 그 힘을 전자기력이라고 합니다. 자석이 서로 붙으려는 힘이나 머리카락이 책받침에 달라붙는 힘이에요. 전자와 원자핵은 이 힘으로 서로를 끌어당겨서 형태를 유지합니다. 전자에는 마이너스의 전하량이 있고 원자핵에는 딱 같은 만큼의 전하량이 있어서 안정적으로 원자는 0의 전하량을 유지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어떤 이유로 원자의 전자가 떨어질 수가 있어요. 전자가 하나 떨어지면 그만큼의 전하량이 비겠지요? 아까 전자 하나의 전하량이 -1이라고 했으니까 남은 전하량은 +1이 됩니다. 전자가 하나 추가되면 -1이 될 것이고요. 원자의 성격에 따라서 전자가 붙고 떨어지려는 경향이 다른데요. 나트륨은 전자가 떨어지기 쉽고 염소는 붙기 쉬워요. 그래서 나트륨은 +1이 되려고 하고 염소는 -1이 되려고 합니다. 이렇게 전자가 붙고 떨어진 원자를 이온(ion)이라고 하고 서로 같은 크기의 반대 전하량을 가진 이온끼리는 이온 결합을 이루면 안정이 됩니다. 그래서 나트륨 양이온과 염소 음이온이 만나서 소금(NaCl)이 되는 것이죠.
전자를 잃어버리는 과정을 산화라고 하고 전자를 얻는 과정은 환원이라고 합니다. 철이 산화되면 빨갛게 변하죠. 철이 전자를 잃어버리고 산소와 함께 새로운 이온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전자는 아주 다양하게 움직여요. 이온을 만들기도 하고 원자와 원자 사이에 놓여서 분자를 만들기도 합니다. 이렇게 전자가 이동하는 것을 화학 반응(chemical reaction)이라고 합니다. 금속 사이를 자유롭게 통과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특수한 경우라서 전기라고 따로 부르고요.
어때요? 진짜 쉽죠?
사람의 몸무게가 50kg으로 일정하다고 생각해보면 두 사람은 100kg이죠. 그런데 아무리 조작해도 사람을 모아서는 몸무게를 75kg을 만들 수 없어요. 75kg을 만들자고 사람을 반으로 잘라서 죽이면 감옥에 가겠죠. 사람을 법 때문에 못 자르는 것처럼 전자도 자연의 법칙 때문에 못 자르는 겁니다. 전자가 가지고 있는 전하량이라는 성질도 애매하게 쪼갠 값은 나올 수가 없어요. 그래서 편의상 전자 하나의 전하량이 가장 작은 값이라서 그것을 기준으로 하고 전자 하나가 가지고 있는 전하량을 -1이라고 정했습니다. -1.5 같은 전하량은 존재할 수가 없지요.
그렇지만 사실 사람은 맘만 먹으면 자를수도 있고 살이 찌거나 빠지면 75kg은 물론이고 66kg도 될 수 있고 99kg도 될 수 있어요. 몸무게가 연속적이죠. 그렇지만 전자는 질량과 전하량이 정해져서 변하지 않아요. 우리가 평소에 알고 있는 물리학 법칙이 적용되는 세계는 물리량이 연속적인데 반해서 전자처럼 양이 정해져 있으면 물리학 법칙이 다르게 보일 수 밖에 없지요. 그래서 이렇게 양이 정해진 단위를 양자(量子, quantum)라고 부르고 이런 작은 수준의 물리학을 양자역학이라고 부릅니다.
원자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이뤄져 있어요. 질량을 가진 입자는 서로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는데 그것이 중력입니다. 먼 거리에서는 태양과 지구를 잡아둘 정도로 큰 힘이 되지만 작은 거리에서는 별로 의미가 없어요. 왜냐하면 전하량을 가진 입자끼리 서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힘이 가까운 거리에서 압도적으로 강하기 때문입니다. 그 힘을 전자기력이라고 합니다. 자석이 서로 붙으려는 힘이나 머리카락이 책받침에 달라붙는 힘이에요. 전자와 원자핵은 이 힘으로 서로를 끌어당겨서 형태를 유지합니다. 전자에는 마이너스의 전하량이 있고 원자핵에는 딱 같은 만큼의 전하량이 있어서 안정적으로 원자는 0의 전하량을 유지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어떤 이유로 원자의 전자가 떨어질 수가 있어요. 전자가 하나 떨어지면 그만큼의 전하량이 비겠지요? 아까 전자 하나의 전하량이 -1이라고 했으니까 남은 전하량은 +1이 됩니다. 전자가 하나 추가되면 -1이 될 것이고요. 원자의 성격에 따라서 전자가 붙고 떨어지려는 경향이 다른데요. 나트륨은 전자가 떨어지기 쉽고 염소는 붙기 쉬워요. 그래서 나트륨은 +1이 되려고 하고 염소는 -1이 되려고 합니다. 이렇게 전자가 붙고 떨어진 원자를 이온(ion)이라고 하고 서로 같은 크기의 반대 전하량을 가진 이온끼리는 이온 결합을 이루면 안정이 됩니다. 그래서 나트륨 양이온과 염소 음이온이 만나서 소금(NaCl)이 되는 것이죠.
전자를 잃어버리는 과정을 산화라고 하고 전자를 얻는 과정은 환원이라고 합니다. 철이 산화되면 빨갛게 변하죠. 철이 전자를 잃어버리고 산소와 함께 새로운 이온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전자는 아주 다양하게 움직여요. 이온을 만들기도 하고 원자와 원자 사이에 놓여서 분자를 만들기도 합니다. 이렇게 전자가 이동하는 것을 화학 반응(chemical reaction)이라고 합니다. 금속 사이를 자유롭게 통과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특수한 경우라서 전기라고 따로 부르고요.
어때요? 진짜 쉽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