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6/08/28 23:33:48
Name   님니리님님
Subject   전자와 전하
고등학교 때는 배운 지식을 피드백하는 과정이 없기때문에, 소화가 덜 된 채로 남곤 합니다.
그냥 잊으면 속 편하긴 하지만, 그 궁금증이 계속 머리 속에 멤돌면서 때때로 괴롭게 만들곤 합니다.

그 중 하나는 영어의 to부정사 개념입니다. 지금껏 살아온 인생의 절반을 'to부정사는 무언가를 부정하는 개념이다.'라는 생각이 자리잡아 오랫동안 절 혼란스럽게 해왔었습니다. 군대를 다녀오고 토익공부를 하다보니  'to부정사는 역할이 정해지지 않은 것, 다양한 역할(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 수행하는 것이다.'라는걸 깨달았습니다. 그 딴 이름을 정한 학자, 질문하면 면박주시던 고교시절 교사에 대한 원망도 들었지만, 궁금증이 해소된 개운함이 더 크더군요.

전자와 전하 개념은 그보다 더 오랫동안 해소되지 않는 궁금증입니다. 네이버나 다음에서 검색하면 설명이 나오긴 하지만, 뭔가 개념이 순환한다는 느낌을 주어 더욱 빡치게 만들곤 합니다.

가령 이런 식입니다.
'전자는 전하의 기본 단위이다.'
'막대를 문지르면 전자가 이동해서 음전하를 띈다.'

"전자는 전하의 일부분인데 음전하를 띈다?"
개념이 이상하게 정리가 되기 일쑤입니다.

그래서 이런 설명이 적절한건지 아시는 분의 답변을 구합니다.

전하는 전기적 물질 단위를 말하는게 아니라 '상태'를 의미한다. '소금'이 전자이면, '짜다, 싱겁다'는 전하이다.

전자와 전하에 대한 보다 정확한 설명을 원합니다.



0


Ben사랑
전자는 음전하를 띠는 입자이죠.
전하는 전기적인 성질의 근원이 되는 어떤 물리량이고.
님니리님님
ㅎㅎ기다렸습니다. 원자가 지니고 있는 전자를 잃으면 이온이 된다고 하던데, 이온은 양전하입니까?
캡틴아메리카
양이온도 있고, 음이온도 있습니다.
님니리님님
오 그거 처음 알았습니다.
양이온=양전하, 음이온=음전하
이거 맞습니까?
캡틴아메리카
넵, 전자를 잃으면 양전하(양이온), 얻으면 음전하(음이온)가 됩니다.
님니리님님
혼동되던 개념인데 깔끔하게 정리됐습니다. 감사합니다 캡틴.
그러면 음이온 공기청정기라는 개념도 유효한가요?
리틀미
개념이라기보다 음이온 공기청정기라고 하면 원적외선 불가마 같은 느낌이잖아요. 음이온을 거품처럼 뽀글뽀글 내보내는 그런 게 아니라 먼지를 걸러낼 때 정전기를 쓴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음이온을 내뿜으면 스타워즈에서 쏘는 레이저총처럼 될 거에요.
님니리님님
음이온 공기청정기 의문의 이온캐논행...
Ben사랑
"음이온" 공기청정기, ..이런 게 정말 효과가 있는건가요?
리틀미
그냥 음이온 필터죠. 정전기로 머리카락도 붙는데 효과가 있겠죠.
Ben사랑
전하는 1[C], 2[C], ... 같은 물리량입니다. 질량, 길이, 시간 같은.

전자 하나는 e=-1.602×10^(-19)[C]의 전하량을 갖는 입자입니다.
님니리님님
그럼 전자가 전하를 가지는건가요?
Ben사랑
물체가 질량을 가진다.
전자가 전하를 가진다.

같은 대응관계라고 보면 됩니다.
님니리님님
그러면 사람이 감전되어 전류가 몸에 흐른다고 할 때, 전자가 몸속으로 들어온다는 의미입니까?
Ben사랑
전류가 몸으로 들어온다고 하는 진술은, 몸이 어떤 회로를 형성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합니다. 즉, 일단 몸으로 전류가 들어오는 길과 몸에서 전류가 나가는 길이 모두 형성되어야, 해당 진술이 성립되는 거죠. 즉, 몸으로 전류가 들어오면 동시에 몸에서 그만큼의 전류가 나가야 해요.

그리고 전류의 방향과 전자의 방향은 반대입니다. 전류가 들어오는 방향이면 전자는 나가는 방향이고, 그 반대도 성립합니다. 규약을 양전하의 음전하에 대한 상대적인 흐름을 전류의 흐름으로 정의해서 그래요.
Ben사랑
아, 정정할게요. 잠시만요.
Ben사랑
아버지가 기술사이신데, 제가 뭔가 이상해서 여쭙고 정정합니다.

몸 안으로 전류가 들어간만큼 동시에 그 전류가 나가지 않아도 된다고 하시네요. 몸은 그 자체로 덩어리 진 폐회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캡틴아메리카
전공자가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전자는 "물리적 상태"이고,

전하는 "물리량"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질문이 질문인지라 프로답변러가 되신 프로질문러님 ㅎㅎ

괜히 비전공자인 제가 설쳤;; ㅎㅎㅎ
Ben사랑
위에 리플 보면 아시겠지만, 전공자인데도 배움이 아직 부족하면 헷갈리긴 마찬가지입니다;;
캡틴아메리카
그래도 전공자니까 잘못 안 것을 인지할 수도 있고 정정할 수도 있는거죠 ㅎㅎ
Ben사랑
아버지 역시 같은 전공자라 천만다행입니다 후우..
님니리님님
ㅎㅎ아버지와 전공으로 대화하신다니 부럽습니다.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Ben사랑
아버지를 따라서 같은 전공을 선택한 거니까요. 돈벌이가 잘 된다고 하더군요. 오래 근무할 수도 있고..(변화가 적어서)

다만, 아버지 회사에 낙하산으로 취업할 생각은 없습니다. 그런 걸 되게 혐오하는 '나름 진보주의자'라.. 대신 공기업 취업 준비하고 있어요.
님니리님님
우리나라에서 낙하산들이 워낙에 거대한 삽질을 해놔서 인식이 나빠졌지만, 낙하산이라고 나쁜건 아니에요.
적재적소에 인재를 삽입하는게 무슨 문제입니까. 다만, 사람의 능력은 기계처럼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으니 검증절차가 필요한 것 뿐이죠. 우리나라는 검증도 잘 안되는 문제가 또 있긴 하지만...
아버지 회사가 있으시면 아버지와 함께 일하는 것도 좋은 선택지지만, 신념레벨에서 거부하시는게 우리나라의 현실이 반영된거라 안타깝긴 하네요. 뭐 그래도 공기업 가신다니...건투를 빕니다 ㅎㅎ
그렇죠. 전설의 미야모토 시게루도 낙하산이라던데 요 후후
리틀미
사람을 셀 때 한 명 두 명 이렇게 세잖아요. 그런데 사람을 반으로 잘라서 반 명으로 만들수는 없지요. 전자를 셀 때도 한 개 두 개 이렇게 셉니다. 똑같은 이유입니다. 전자를 잘라서 반으로 나눌 수 없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전자에는 여러가지 성질이 있어요. 사람의 키, 몸무게를 잴 수 있는 것처럼 이 성질을 측정할 수 있어요. 가장 이해하기 쉬운 성질은 질량이죠. 그리고 또다른 성질이 전하량이에요.

사람의 몸무게가 50kg으로 일정하다고 생각해보면 두 사람은 100kg이죠. 그런데 아무리 조작해도 사람을 모아서는 몸무게를 7... 더 보기
사람을 셀 때 한 명 두 명 이렇게 세잖아요. 그런데 사람을 반으로 잘라서 반 명으로 만들수는 없지요. 전자를 셀 때도 한 개 두 개 이렇게 셉니다. 똑같은 이유입니다. 전자를 잘라서 반으로 나눌 수 없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전자에는 여러가지 성질이 있어요. 사람의 키, 몸무게를 잴 수 있는 것처럼 이 성질을 측정할 수 있어요. 가장 이해하기 쉬운 성질은 질량이죠. 그리고 또다른 성질이 전하량이에요.

사람의 몸무게가 50kg으로 일정하다고 생각해보면 두 사람은 100kg이죠. 그런데 아무리 조작해도 사람을 모아서는 몸무게를 75kg을 만들 수 없어요. 75kg을 만들자고 사람을 반으로 잘라서 죽이면 감옥에 가겠죠. 사람을 법 때문에 못 자르는 것처럼 전자도 자연의 법칙 때문에 못 자르는 겁니다. 전자가 가지고 있는 전하량이라는 성질도 애매하게 쪼갠 값은 나올 수가 없어요. 그래서 편의상 전자 하나의 전하량이 가장 작은 값이라서 그것을 기준으로 하고 전자 하나가 가지고 있는 전하량을 -1이라고 정했습니다. -1.5 같은 전하량은 존재할 수가 없지요.

그렇지만 사실 사람은 맘만 먹으면 자를수도 있고 살이 찌거나 빠지면 75kg은 물론이고 66kg도 될 수 있고 99kg도 될 수 있어요. 몸무게가 연속적이죠. 그렇지만 전자는 질량과 전하량이 정해져서 변하지 않아요. 우리가 평소에 알고 있는 물리학 법칙이 적용되는 세계는 물리량이 연속적인데 반해서 전자처럼 양이 정해져 있으면 물리학 법칙이 다르게 보일 수 밖에 없지요. 그래서 이렇게 양이 정해진 단위를 양자(量子, quantum)라고 부르고 이런 작은 수준의 물리학을 양자역학이라고 부릅니다.

원자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이뤄져 있어요. 질량을 가진 입자는 서로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는데 그것이 중력입니다. 먼 거리에서는 태양과 지구를 잡아둘 정도로 큰 힘이 되지만 작은 거리에서는 별로 의미가 없어요. 왜냐하면 전하량을 가진 입자끼리 서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힘이 가까운 거리에서 압도적으로 강하기 때문입니다. 그 힘을 전자기력이라고 합니다. 자석이 서로 붙으려는 힘이나 머리카락이 책받침에 달라붙는 힘이에요. 전자와 원자핵은 이 힘으로 서로를 끌어당겨서 형태를 유지합니다. 전자에는 마이너스의 전하량이 있고 원자핵에는 딱 같은 만큼의 전하량이 있어서 안정적으로 원자는 0의 전하량을 유지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어떤 이유로 원자의 전자가 떨어질 수가 있어요. 전자가 하나 떨어지면 그만큼의 전하량이 비겠지요? 아까 전자 하나의 전하량이 -1이라고 했으니까 남은 전하량은 +1이 됩니다. 전자가 하나 추가되면 -1이 될 것이고요. 원자의 성격에 따라서 전자가 붙고 떨어지려는 경향이 다른데요. 나트륨은 전자가 떨어지기 쉽고 염소는 붙기 쉬워요. 그래서 나트륨은 +1이 되려고 하고 염소는 -1이 되려고 합니다. 이렇게 전자가 붙고 떨어진 원자를 이온(ion)이라고 하고 서로 같은 크기의 반대 전하량을 가진 이온끼리는 이온 결합을 이루면 안정이 됩니다. 그래서 나트륨 양이온과 염소 음이온이 만나서 소금(NaCl)이 되는 것이죠.

전자를 잃어버리는 과정을 산화라고 하고 전자를 얻는 과정은 환원이라고 합니다. 철이 산화되면 빨갛게 변하죠. 철이 전자를 잃어버리고 산소와 함께 새로운 이온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전자는 아주 다양하게 움직여요. 이온을 만들기도 하고 원자와 원자 사이에 놓여서 분자를 만들기도 합니다. 이렇게 전자가 이동하는 것을 화학 반응(chemical reaction)이라고 합니다. 금속 사이를 자유롭게 통과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특수한 경우라서 전기라고 따로 부르고요.

어때요? 진짜 쉽죠?
리틀미
셀프 칭찬합니다. 역시 고수는 이렇게 가장 기초적인 레벨에서도 빛나는 법이네요. 짝짝짝.
리틀미
원숭이도 이해하는 기초 화학!
Ben사랑
내용이 알토란같더라도 제목이 이래서야..
어? 이거 어디서 들었는데. 팟캐스튼가?
Ben사랑
옆동네의 유명한 사건이죠. 원숭이 사태라고..
님니리님님
오오...아주 훌륭한 설명이십니다. '전하는 물리량이다'라는 설명에 재채기가 나올락 말락하는 아쉬운 느낌이 남은 상태였는데, '질량, 또 다른 성질이
전하량이다.' 이 한마디에 시원하게 재채기 한번 한 기분입니다.
Ben사랑
A라는 물체는 a의 성질도 갖고 있고 b의 성질도 갖고 있고 c의 성질도 갖고 있고...
전자는 질량도 갖고 있고 전하량도 갖고 있고...

같은 맥락입니다.
졸려졸려
저도 전공자 까지는 아니지만, (이런건 물리학이 전공인거죠.) Charge는 상태고, Electron은 입자겠죠.
그리고 전하는 Electron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물리상황에서 Charge는 반드시 전자가 가진 전하량 e의 정수배 인겁니다.

개념을 잘 잡고 계신걸로 보이는데, 소금 알갱이가 전자이면, 짜다~싱겁다 는 전하가 되는거죠.
님니리님님
제가 원하던 질문의 마지막을 장식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로써 오랜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이제야 저도 편히 눈을 감을 수 있게 되었군요. 서운해하실 건 없습니다. 인생사 인연이 있으면 언젠가 다시 만나는 법, 그게 신의 뜻입니다. 여러분, 여러분은 부디 끝까지 포기하지 마시고...야...야..ㄷ
졸려졸려
축하드립니다. 이제 님은 세계에 모래알보다 더 더럽게 많은 수 많은 진리중 하나를 알게 되었습니다. ㅎㅎ 그러면 이제 다음단계로 넘어가시죠.
예를들어, LTE는 왜 빠를까요? ㅋㅋㅋㅋㅋㅋ
님니리님님
차량이 많은 도로보다 적은 도로가 더 빨리 갈 수 있는거 아니겠습니까.
졸려졸려
그건 기술이 아니죠 ㅋㅋ LTE는 같은 도로라도 차를 몇 배 빨리 보냅니다 ㅋ
님니리님님
3G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사람이 어마어마하게 많이 몰리니, 걍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넓히고 '여러분 여긴 더 빠릅니다. 대신 요금 두배.' 이런 상술을 부린거라 생각했는데, 아닌 모양이군요. 빨리 알려주세요.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졸려졸려
말씀하신게 제일 크긴 한데, 그래도 전자/전파는 마법을 부리는 학문이어서요. ㅎㅎ
이전에 1차선으로 쓰던 10미터 도로를 4차선으로 쓰기도 하고 (멀티캐리어, 64QAM), 10cm던 차선폭을 0.1cm로 줄이기도 하며 (OFDM), 특장 조건에서는 1차선에 차를 여러대 보내기도 합니다. ㅎㅎ (MIMO)
님니리님님
주파수 대역이 고속도로라면 고속도로 운영방식이 여러개로 나뉘는 식이군요. 말씀듣고보니 방법이 한두가지가 아닌거 같은데, 이 중 하나를 택하는건가요, 아니면 번갈아가며 쓰는건가요?(멀티캐리어->OFDM->MIMO)
졸려졸려
LTE에 다 녹아있는 기술입니다 ㅎㅎ LTE는 표준이니까요.
사실 일반 공유기에도....
Ben사랑
통신 쪽 전공이신가요?

바로 저번 학기에 통신공학을 듣긴 했는데, 다 까먹어버렸네요ㅠㅠ
졸려졸려
네트워크 9년차네요 ㅋ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53 과학이 물건이 뭘까요? 2 즐겁게 17/06/25 4182 0
2927 과학서울 지상 도로를 지하로 내리는 작업 난이도가? 9 별빛 17/06/21 4110 0
2911 과학이리듐 플레어를 눈으로 보면 잘 보이나요? 4 별빛 17/06/16 4067 0
2869 과학계란이 빨갛습니다. 먹어도 될까요. 2 선비 17/06/06 4290 0
2842 과학인구 절벽이 오면 바로 경제가 꺾이나요? 5 별빛 17/05/31 3331 0
2822 과학진보 언론들의 과학 면에 대해서 57 벤젠 C6H6 17/05/26 4359 0
2733 과학선택 공리를 가정하지 않고도 할 수 있는 것? 8 사케 17/05/01 3920 0
2693 과학[기계치] 세탁기는 정말 빨래를 잘 하나요? 8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7/04/21 3916 0
2566 과학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이라는 책을 읽고 싶습니다 6 으핫핫핫 17/03/27 3688 0
2550 과학와이프가 술먹고 완전히 해독되는데 한달이 걸린다고합니다. 31 사나남편 17/03/23 4961 0
2521 과학일본 방사능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7 분노의달걀 17/03/17 4256 0
2394 과학코코스 치킨도리아 아는분 계신가요? 4 별빛 17/02/23 4245 0
2080 과학플라스틱에 프린팅 되어있는 거 아세톤으로 지우나요? 6 진준 17/01/11 4992 0
1931 과학갑자기 생각난 의문인데... 중력의 속도는 얼마일까요? 8 Darwin4078 16/12/19 3842 0
1925 과학이 안경테 재질이 뭔가요? OPTIK 16/12/18 3207 0
1864 과학락스 사용 질문있어용 4 기아트윈스 16/12/05 4378 0
1766 과학물리학의 '생각'에 대한 만화를 그리고 싶어요 8 Ben사랑 16/11/13 4054 1
1754 과학미시적인 한 두 물체의 움직임과 거시적인 여러 물체의 움직임의 가역성/비가역성 여부에 대해서 4 Ben사랑 16/11/09 4765 0
1641 과학이슬람 과학을 유럽 과학이 추월한 것에 대해서 질문 32 Ben사랑 16/10/12 4791 0
1609 과학변압기 질문드립니다. 3 우리집떼껄룩 16/10/04 4915 0
1491 과학살이 많이 찌면, 주변 사람들이 저와 함께하는 시간이 빨리 가나요?? 18 omcdamcd 16/09/08 5303 8
1456 과학전자와 전하 46 님니리님님 16/08/28 10208 0
1425 과학화학이나 약학을 공부하신 분들께 17 OshiN 16/08/17 5200 0
1372 과학상대성이론보다 양자역학이 더 본질에 가깝나요? 37 Ben사랑 16/08/03 5991 0
1352 과학수학, 과학관련 재밌게 보신 다큐멘터리가 있으신가요? 8 쉬군 16/07/31 480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