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3/16 09:50:20 |
Name | [익명] |
Subject |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질문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제가 급격한 업무 변경 및 직장 동료와의 관계로 얼마전부터 심한 우울감, 불안증 및 불면증세를 보여, 주변의 정신과의원에서 약물 처방 받고, 병가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의원에서는 진단서를 써주셔서, 인사팀에서는 그걸 근거로 병가를 일단 내주었지만, 병가 기간 동안 상급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소견서나, 기타 확인 서류를 제출해달라고 하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여건이 되면 종합병원의 정신건강의학과를 내원할 생각도 있는데, 이 경우 전에 다니던 의원에 말씀 드리고, 처방받은 기록하고 진단서를 들고 방문을 하면 될지, 아니면 특별히 더 조치해야할 부분이 있는건지 여쭙고자 합니다. 그리고, 대학병원이 아닌 일반 종합병원의 정신건강의학과와 집 주변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의원과 검진이나, 진단, 처방이 특별히 다른게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배경 및 증상에 대한 설명을 한 번 더 할 생각에 걱정이 되는데.. 좀 미리 알고 가면 좋을 거 같서 이렇게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 0
|
다니던 의원에 이야기해서 진료의뢰서와 처방전 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대개 진료의뢰서 안에 현재 투약중인 내용을 적어주는 경우가 많을테니 처방전은 굳이 필요없을 수도 있습니다. 소견서나 진단서 발급에는 추가 비용이 들 겁니다. 굳이 필요없을 거고요. 큰 병원은 대개 예약을 잡는 데 시간이 좀 걸리기도 하니 먼저 예약부터 잡으시면 될 것 같네요.
큰 병원에서의 치료과정이 딱히 다를 건 없겠지요. 다른 의견 들어보는 정도의 의미가 가장 클 거고, 좀더 다양한 진단/치료 옵션이 있는 만큼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뭔가 더 할 수도 있긴 하겠습니다.
큰 병원에서의 치료과정이 딱히 다를 건 없겠지요. 다른 의견 들어보는 정도의 의미가 가장 클 거고, 좀더 다양한 진단/치료 옵션이 있는 만큼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뭔가 더 할 수도 있긴 하겠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