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3/16 10:51:42 |
Name | 노량진8년차공시생 |
Subject | 신축 아파트 매매 질문입니다 |
약 4억대의 아파트를 매수하려고 대기 중인 상태입니다 체증식 보금자리론 구매 예정이고요 그래서 여러 단지를 알아보던 중 작년에 입주가 시작된 아파트를 보고 적정한 매물 올린 부동산에 전화해서 물어보니 지금 매물은 보금자리론 등 정책대출이 불가능하다. 라는 답변을 들어 잘못 알고 있던건가 싶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단지/지역마다 매매제한? 거래제한? 기간 등이 다른가요? 당시 문의했던 곳은 검단이고, 지금 알아보는 곳은 파주인데 지역이나 단지마다 차이가 있어 보금자리론 등 대출이 불가능한지 궁금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노량진8년차공시생님의 최근 게시물 |
아파트는 등기가 오래 걸립니다. 그래서 대출받기 쉽지않아 특정은행 특정지점에서 대출을 해줍니다.
다른대출로 구입하시고 대출을 갈아타시거나 하셔야할것 같은데...
콜센터에 문의해보세요
다른대출로 구입하시고 대출을 갈아타시거나 하셔야할것 같은데...
콜센터에 문의해보세요
정확하지 않습니다. 그냥 경험으로만 적어보면
저는 재개발 지역 일반분양 받은 아파트 입주할때 우리가 아는 ‘주택담보대출’의 여러 종류들을 모든 은행이나 기관에서 취급해서 대출받는게 아니라 지정된 몇개의 은행지점에서 ‘잔금대출’이라는 이름으로 입주했었습니다.
(처음에 원래 살던곳 은행가서 주담대 상담 받으려니까 아예 다른 종류라고 설명해주더라고요.)
재개발 지역의 신축 아파트 등기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기존의 구축 아파트와는 다르게 저런식으로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입주할때 막연하게 디딤돌대출... 더 보기
저는 재개발 지역 일반분양 받은 아파트 입주할때 우리가 아는 ‘주택담보대출’의 여러 종류들을 모든 은행이나 기관에서 취급해서 대출받는게 아니라 지정된 몇개의 은행지점에서 ‘잔금대출’이라는 이름으로 입주했었습니다.
(처음에 원래 살던곳 은행가서 주담대 상담 받으려니까 아예 다른 종류라고 설명해주더라고요.)
재개발 지역의 신축 아파트 등기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기존의 구축 아파트와는 다르게 저런식으로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입주할때 막연하게 디딤돌대출... 더 보기
정확하지 않습니다. 그냥 경험으로만 적어보면
저는 재개발 지역 일반분양 받은 아파트 입주할때 우리가 아는 ‘주택담보대출’의 여러 종류들을 모든 은행이나 기관에서 취급해서 대출받는게 아니라 지정된 몇개의 은행지점에서 ‘잔금대출’이라는 이름으로 입주했었습니다.
(처음에 원래 살던곳 은행가서 주담대 상담 받으려니까 아예 다른 종류라고 설명해주더라고요.)
재개발 지역의 신축 아파트 등기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기존의 구축 아파트와는 다르게 저런식으로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입주할때 막연하게 디딤돌대출 같은거 받아야지 생각했는데 찾아보니까 입주 초기에는 불가능하다는 말을 본격적으로 대출 받으려는 시점에 이해했네요.
지금부터는 제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1. 보금자리등은 안되는 대신에 1) 현재의 금리를 기준으로 시중은행 주담대는 된다는 얘기인가요? 2) 기존에 집주인이 받은 대출을 승계하는 방식으로 매매하는건가요?
2. 1-2)이라면 작년에 입주시기 6월, 7월, 8월, 9월에 금리가 드라마틱하게 변화하던 시점이라 금리는 어느정도로 승계인건가요?
3. 1번이 아니라면 어떤식으로 대출을 하라고 부동산에서 알려주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재개발 지역 일반분양 받은 아파트 입주할때 우리가 아는 ‘주택담보대출’의 여러 종류들을 모든 은행이나 기관에서 취급해서 대출받는게 아니라 지정된 몇개의 은행지점에서 ‘잔금대출’이라는 이름으로 입주했었습니다.
(처음에 원래 살던곳 은행가서 주담대 상담 받으려니까 아예 다른 종류라고 설명해주더라고요.)
재개발 지역의 신축 아파트 등기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기존의 구축 아파트와는 다르게 저런식으로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입주할때 막연하게 디딤돌대출 같은거 받아야지 생각했는데 찾아보니까 입주 초기에는 불가능하다는 말을 본격적으로 대출 받으려는 시점에 이해했네요.
지금부터는 제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1. 보금자리등은 안되는 대신에 1) 현재의 금리를 기준으로 시중은행 주담대는 된다는 얘기인가요? 2) 기존에 집주인이 받은 대출을 승계하는 방식으로 매매하는건가요?
2. 1-2)이라면 작년에 입주시기 6월, 7월, 8월, 9월에 금리가 드라마틱하게 변화하던 시점이라 금리는 어느정도로 승계인건가요?
3. 1번이 아니라면 어떤식으로 대출을 하라고 부동산에서 알려주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