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3/29 21:23:17
Name   강세린
Subject   옛날 초중고 교사들은 왜 그렇게 폭력적이었을까요?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보니까 엄청나더군요. 유튜브 보니까 더한 사연도 쏟아져나오고.... 성추행, 촌지 강요(안 주면 구타), 패드립 등등....

제가 궁금한 건 다음과 같습니다.

<1> : 옛날 초중고 교사들은 왜 그렇게 폭력적이었을까? 대학교수들도 옛날엔 그렇게 폭력적이었나?
<2> : 옛날 초중고생들의 부모님들은 그 끔찍하기 그지없는 무간지옥에 왜 자녀를 몰아넣었을까? 자퇴와 검정고시라는 제도는 그때도 존재했을 텐데.
<3> : 옛날에도 만 14세 미만은 형사처벌을 받지 않았을 텐데, 그럼 덩치 좀 큰 초6~중1 남학생 정도면 폭력교사를 살해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뒤에서 몰래 칼로 찌르든 다른 남학생들과 힘을 합쳐서 산 채로 파묻든) 그런데 왜 그런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을까?

*요즘 홍차넷에 글을 너무 많이 올린 것 같아 죄송스럽네요.... 내일은 좀 자중하려 합니다. ㅠㅠㅠ*



0


... 옛날의 범위라 어느 정도인지 모르겠으나, 일단 삼청교육대가 있던 시절과 지금을 일대일로 비교하시면 안될 것 같습니다. 더불어 예전엔 가정이라고 폭력이 없었던 것이 아니니까요. 결혼률96퍼의 시대란 건 결혼 하면 안될 사람들도 다 결혼 했다는 의미니까요. 그래서 학교에서 폭력이 용인되고, 또 그만큼 책임도 지던 모양이더군요. 어떻게든 학교 내에서 수습하는 모양들이요. (그게 좋았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냥 사회 전체적으로 야만의 시대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제가 교육 받고 세운 지금의 잣대로 당시 전부를 평가하는 건 오만한 것 아닌가란 생각을, 부모님과 모든 분야에서 치열하게 싸우다 받아들이게 되면서 하게 됐어요.
4
강세린
사회 전체적으로 야만의 시대라....
생각해보면 80년대 90년대만 해도 속된 말로 ㄱ나 ㅅ나 결혼을 했군요. 솔직히 요즘 비혼 비출산 추세는 어떻게 보면 바람직한 측면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바라스비다히
60 70년대 교육이론같은거 없이 대충
2년제 나와서 교사하는데
한반에 50 60 70명씩 2부제로 선생할라니 기랬겠거니
합니다...
강세린
그떈 2년제 나와서도 교사를 했었나요? 사범대나 교대가 4년제가 아니었었나....
바라스비다히
네 아니였습니다. 80년대 되어서야 4년제 되었습니다.
그 선생들이 어렸을 때는 한 집에 자녀가 7~9명씩 되는 집이 많았습니다.
아이를 어른이 키우는게 아니라 애들이 애들을 보는 상황이 많았지요.
당연히 정도라는게 없고 힘과 위계질서로 누르는게 그 시대의 질서였습니다.

아이들이 많으니 학교는 바글바글하고, 학교에 못가는 아이들도 많고... 그랬죠.
학교에서도 많은 아이들을 통제할 수가 없으니 결국 같은 학년의 아이들도 아이들끼리 위계를 만들고 힘으로 지배합니다.
그런 아이들을 통제하려면 어른인 선생이 물리력을 휘두를 수 밖에요.
그걸 허용하지 않으면 애초에 통제가 안되니... 더 보기
그 선생들이 어렸을 때는 한 집에 자녀가 7~9명씩 되는 집이 많았습니다.
아이를 어른이 키우는게 아니라 애들이 애들을 보는 상황이 많았지요.
당연히 정도라는게 없고 힘과 위계질서로 누르는게 그 시대의 질서였습니다.

아이들이 많으니 학교는 바글바글하고, 학교에 못가는 아이들도 많고... 그랬죠.
학교에서도 많은 아이들을 통제할 수가 없으니 결국 같은 학년의 아이들도 아이들끼리 위계를 만들고 힘으로 지배합니다.
그런 아이들을 통제하려면 어른인 선생이 물리력을 휘두를 수 밖에요.
그걸 허용하지 않으면 애초에 통제가 안되니 학교든 부모든 선생의 폭력을 당연하게 여겼고, 선생에게 대들면 학교에서 쫓겨날 각오를 해야 합니다.

그런 환경에서 큰 아이들이 선생이 되었죠.
그리고 베이비 부머 세대의 자녀들 역시 인원이 많았습니다.
과거와는 달리 아이를 1~3명 정도밖에 낳지 않았지만 원체 어른들이 많았으니 아이들도 많았죠.
선생들은 자기들이 경험한대로 선생질을 했고, 그 시대 까지도 그게 허용이 되었습니다.

그러다 그렇게 핵가족에서 귀함 받으면 자란 이들이 학부모가 되었고 아이는 더 많이 낳지 않으며, 선생이 사용하는 폭력이 용인이 되지 않게 바뀌었죠.
그런 흐름에서 바뀐겁니다.
강세린
역시 국민들의 의식이 달라져야 해결이 되는군요....
근데 그게 꼭 해결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 때도 나름의 질서가 잘 동작을 하는 와중에 잘못 엇나간 케이스들이 폭력교사 문제를 만들었죠.
그런 케이스가 적지 않아서 문제이기도 했고...

요즘엔 교사의 권위가 먹히지 않고 학생들이 엇나가는걸 통제하지 못하는게 문제인거 같습니다.
그 역시 적지 않은 것 같고요.

어느 쪽이든 완벽한 구원은 없는 것 같습니다.
그걸 먼저 받아들이고 전제한 상태에서, 그나마 최선이 무엇이냐를 찾는게 바람직한 태도라고 봐요.
그래야 실패에도 실망하지 않고 계속해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영화 배경이 70년대말 이라는데 저 당시 정식 사범교육을 받은 교사가 얼마나 될까하는 의문이 들고
교련과목이 있었을 때 같은데 그들이 담임을 맡았다면? 저럴 듯.
학급 분위기가 옆반과는 천당과 지옥을 오가는 정도일 듯 하네요.
새 학년 올라갈 때 쯤이면 새 담임은 누굴까 호기심반 공포반
강세린
그땐 교사 양성 관련 제도가 지금처럼 정교하지 못했나보군요...
그래도 됐으니까요.
3
강세린
"여기선 그래도 되니까."

크으...... 명언 중 명언입니다.
교사들만 폭력적인게 아니라 그냥 80년대까지만 해도 뻑하면 손부터 올라가는 야만의 시대긴 했어요
강세린
저희 부모님 말씀을 들어보니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진정한 민주화는 90년대 초중반에서야 시작된 것 같더군요. 사회가 비민주적인데 학교가 민주적이길 바랄 순 없겠지요..
캡틴실버
당시에는 한 반에 60에서 70명에 한 학년에 10반 정도는 기본이었죠. 아동 인권 같은건 생각도 안하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리고 인구가 증가하던 시기라서 교사도 학교도 부족했고 교사 인력수급 과정도 부실했습니다. 교사 처우도 안좋았고 교사에 대한 인식도 좋지 않았습니다. 물론 선생님이라고 존중하기는 했지만, 그 돈받으면서 그 일을 하냐?라는 인식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러니 인력 풀이 그렇게 좋지 않았죠.

또한 인권 의식이 바닥이었고 경찰 행정력이 요즘과 다르게 매우 부실한데다가 sns같은 건 없어서, 곳곳이 '작은 사회'였습니... 더 보기
당시에는 한 반에 60에서 70명에 한 학년에 10반 정도는 기본이었죠. 아동 인권 같은건 생각도 안하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리고 인구가 증가하던 시기라서 교사도 학교도 부족했고 교사 인력수급 과정도 부실했습니다. 교사 처우도 안좋았고 교사에 대한 인식도 좋지 않았습니다. 물론 선생님이라고 존중하기는 했지만, 그 돈받으면서 그 일을 하냐?라는 인식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러니 인력 풀이 그렇게 좋지 않았죠.

또한 인권 의식이 바닥이었고 경찰 행정력이 요즘과 다르게 매우 부실한데다가 sns같은 건 없어서, 곳곳이 '작은 사회'였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부모들 인식도 학교에서 선생님한테 맞으면 이유 따지지 말고 먼저 죄송합니다라고 해라는 식으로, 사회 전체가 권위에 눌려있는 상황이었죠. 왜 폭력교사에게 보복할 생각도 안했느냐고 물으신다면, 지금 권위주의 국가에서 왜 민주화시위를 안하냐고 하시는 것과 같습니다. (고등학생쯤 되면 몇몇 학생들이 교사를 린치했다는 소문이 간간이 돌기는 했습니다. 그보다 더 끔찍한 일도 일어났고요. 보도가 안되었을 뿐이지.)

저 역시 '국민학교' 4학년때 부터 운동장에 업드려 뻗쳐서 빠따맞으면서 학교 다녔습니다만 그땐 그게 이상하다고 생각조차 안했습니다. 그냥 말 잘들어야겠다는 생각만 했었죠.
1
강세린
이게 국민들의 의식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일단 당시엔 말씀하신 것처럼 인터넷도 없었고, 과학수사가 발달하지 못했던데다 CCTV도 없었겠죠. 막말로 으슥한 곳에서 성폭행이나 토막살인이 벌어지면 영구미제사건 되기 딱 좋은 시절이었던 것 같습니다.
단골 정신과 원장님께 여쭤보니, 정치가 민주화되면서부터 학생인권도 개선된 거라더군요. 그 전에는 군사독재여서 그런 게 컸다나...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041 교육TOEIC 토익 모의고사 가장 저렴하게 보는 방법? 5 mathematicgirl 23/07/17 2691 0
15025 교육토익 최근에 보신분 질문드립니다 4 danielbard 23/07/12 2452 0
15016 교육초6 영어공부 뭘 시키면 될까요? 15 FSM 23/07/11 3152 0
15010 교육영어 공부 유튜브 추천 부탁드립니다. 2 R세제곱인생(삼유인생) 23/07/10 2710 0
14954 교육법학을 공부하는 올바른 방법은 뭘까요? 10 니르바나 23/06/22 2884 0
14943 교육버클리 인근 치안 3 한겨울 23/06/19 3475 0
14918 교육성인 영어 과외 or 학원 6 GYM꾼 23/06/12 2614 0
14830 교육장롱면허의 도로주행 연습 VR기기 연습장 괜찮을까요? 12 mathematicgirl 23/05/19 4179 0
14820 교육서카포연고 등 명문대 교수님들은 왜 대부분이 미국대학 출신일까요? 14 컴퓨터청년 23/05/16 3884 0
14703 교육배테랑 선생님들께 질문이 있습니다. 13 [익명] 23/04/14 2954 0
14652 교육너무 잘하고 싶은 마음이 커서 재미가 없어요. 10 활활태워라 23/03/31 3100 0
14644 교육수능 전국 상위 4%는 어느 정도인가요? 6 강세린 23/03/30 5513 0
14641 교육옛날 초중고 교사들은 왜 그렇게 폭력적이었을까요? 16 강세린 23/03/29 3051 0
14640 교육의대나 체대, 간호대는 왜 그렇게 군기가 센 걸까요? 10 강세린 23/03/29 3240 0
14625 교육이 주장이 믿을 만한가요? 24 강세린 23/03/27 4471 0
14623 교육대학 학과마다 분위기가 많이 다른가요? 10 강세린 23/03/27 3796 0
14522 교육특수대학원 겸임교수로서 학생들 호칭 질문드립니다. 10 [익명] 23/02/23 3837 0
14497 교육하루 꾸준히 20-30분씩 영어 회화 공부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없을까요? 16 아재 23/02/17 2910 0
14471 교육학혹 가해자와 방관자가 동급으로 묶이는게 맞는가요? 18 OneV 23/02/10 3153 1
14400 교육화학책 추천 부탁드려요. 1 moqq 23/01/24 3073 0
14324 교육말싸움에서 어이가 없거나 황당해서 막힐때 어떻하나요? 8 [익명] 23/01/04 2747 0
14155 교육영어질문 2.. 12 moqq 22/11/18 3144 0
13894 교육수학에서 나오는 용어 질문입니다. 7 물사조 22/09/20 3598 0
13747 교육초3 / 초2 구몬학습지 좋을까요? 11 Thy킹덤 22/08/12 5229 0
13685 교육경매학원 추천 부탁드립니다. 17 메존일각 22/07/27 2539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