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4/14 22:20:10수정됨 |
Name | [익명] |
Subject | 배테랑 선생님들께 질문이 있습니다. |
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친지 20년 조금 넘었는데요. 요즘들어 수업에 없었던 일을 아이가 이상하게 학부모에게 전달해서 민원이 발생하고는 합니다. 4~5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했던, 집에 가서 거짓말하는 아이로 인한 민원이 올해들어 벌써 3번이나 발생했네요. 그런 아이들의 공통점을 꼽자면 자존감이 높아 자신이 실패할 수 있음을 인정 안하는 타입이였습니다. 자신이 잘하지 못하는 것을 선생탓을 하는거죠. 근데 이 문제는 제가 어떻게 해결을 못하겠습니다. 학부모가 제가 전달하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죠. 굉장히 예의없는 학부모와의 통화가 끝나면 명치가 너무 아픕니다. 이제 제가 이 일을 그만할 때가 된건지...그래도 그만두기에는 전 아이들과 함께하는 시간이 너무 좋습니다. 그런데 100명 중 1명의 아이와 학부모가 참 아프네요. 경력이 쌓일수록 단단해질줄 알았던 제 멘탈은 사실은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조금씩 금이 가고 있었던건 아닌가도 싶습니다. 지금까지 3,000여명 정도 아이들과 학부모를 만났었는데 요즘 참 힘듭니다. 해결할 방법이 있는 문제일까요? 0
|
아이는 이 상황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글쓴 분과 래포는 어느 정도로 쌓였을까요?
부모님이 개선의 의지기 없는 경우가 가장 힘들었어요. 지금 이 가정은 인지도 거부하고 계시니 더 쉽지 않으실 것 같습니다. 다행인건 거짓말이 아직 그리 정교한 것 같진 않을 것 같아 보여요. 알고 계시겠지만 초등에선 3학년을 생활 지도의 황금기로 여깁니다. 가정에서 도와주신다면 아이도 큰 성장할 좋은 기회인데 너무 아쉽네요…
1. 아이에게 거짓말하는 경우에 대해 명료하게 설명, 규칙 정하여 알려주시고
2. 가정에도 아이 상황... 더 보기
부모님이 개선의 의지기 없는 경우가 가장 힘들었어요. 지금 이 가정은 인지도 거부하고 계시니 더 쉽지 않으실 것 같습니다. 다행인건 거짓말이 아직 그리 정교한 것 같진 않을 것 같아 보여요. 알고 계시겠지만 초등에선 3학년을 생활 지도의 황금기로 여깁니다. 가정에서 도와주신다면 아이도 큰 성장할 좋은 기회인데 너무 아쉽네요…
1. 아이에게 거짓말하는 경우에 대해 명료하게 설명, 규칙 정하여 알려주시고
2. 가정에도 아이 상황... 더 보기
아이는 이 상황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글쓴 분과 래포는 어느 정도로 쌓였을까요?
부모님이 개선의 의지기 없는 경우가 가장 힘들었어요. 지금 이 가정은 인지도 거부하고 계시니 더 쉽지 않으실 것 같습니다. 다행인건 거짓말이 아직 그리 정교한 것 같진 않을 것 같아 보여요. 알고 계시겠지만 초등에선 3학년을 생활 지도의 황금기로 여깁니다. 가정에서 도와주신다면 아이도 큰 성장할 좋은 기회인데 너무 아쉽네요…
1. 아이에게 거짓말하는 경우에 대해 명료하게 설명, 규칙 정하여 알려주시고
2. 가정에도 아이 상황에 대해 지도 이렇게 할 것이라고 고지하셔요.
3. 그리고 이것이 지켜지지 않으면 교육 불가
이미 노하우가 많으실텐데 저라면 생각해봅니다.
부모님이 개선의 의지기 없는 경우가 가장 힘들었어요. 지금 이 가정은 인지도 거부하고 계시니 더 쉽지 않으실 것 같습니다. 다행인건 거짓말이 아직 그리 정교한 것 같진 않을 것 같아 보여요. 알고 계시겠지만 초등에선 3학년을 생활 지도의 황금기로 여깁니다. 가정에서 도와주신다면 아이도 큰 성장할 좋은 기회인데 너무 아쉽네요…
1. 아이에게 거짓말하는 경우에 대해 명료하게 설명, 규칙 정하여 알려주시고
2. 가정에도 아이 상황에 대해 지도 이렇게 할 것이라고 고지하셔요.
3. 그리고 이것이 지켜지지 않으면 교육 불가
이미 노하우가 많으실텐데 저라면 생각해봅니다.
아이는 저와 작년 5월부터 수업을 해왔습니다. 제가 마음이 굉장히 힘든게 수업 때 저와 웃으면서 했던 이야기들을 완전히 비틀어서 자기는 어떤말에 기분이 나빴다고 학부모에게 전달합니다. 어제 통화 할 때, 학부모가 하도 제 수업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얘기해서 "공개수업 때도 참관하셔서 직접 보셨고, 매 번 수업 끝날 때 문 앞에 계시니 아이들이 화기애애하게 수업하는 분위기를 보시지 않았냐고?" 말을 했는데 "공개수업은 연출 아니냐?", "문 앞에서 보니 분위기 별로던데요"라고 해요.
"내 아이가 정말 많은 곳에서 배우고 있는데 유독... 더 보기
"내 아이가 정말 많은 곳에서 배우고 있는데 유독... 더 보기
아이는 저와 작년 5월부터 수업을 해왔습니다. 제가 마음이 굉장히 힘든게 수업 때 저와 웃으면서 했던 이야기들을 완전히 비틀어서 자기는 어떤말에 기분이 나빴다고 학부모에게 전달합니다. 어제 통화 할 때, 학부모가 하도 제 수업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얘기해서 "공개수업 때도 참관하셔서 직접 보셨고, 매 번 수업 끝날 때 문 앞에 계시니 아이들이 화기애애하게 수업하는 분위기를 보시지 않았냐고?" 말을 했는데 "공개수업은 연출 아니냐?", "문 앞에서 보니 분위기 별로던데요"라고 해요.
"내 아이가 정말 많은 곳에서 배우고 있는데 유독 여기만 잡음이 끊이지 안는다"라는 얘기도 하구요.
저도 한 아이의 학부모인데요. 담당 선생이 마음에 들지 않고, 아이도 다녀와서 기분 나빴다고 계속 말한다면
그 수업은 수강하지 않을텐데 도통 모르겠습니다. 심리를...
"내 아이가 정말 많은 곳에서 배우고 있는데 유독 여기만 잡음이 끊이지 안는다"라는 얘기도 하구요.
저도 한 아이의 학부모인데요. 담당 선생이 마음에 들지 않고, 아이도 다녀와서 기분 나빴다고 계속 말한다면
그 수업은 수강하지 않을텐데 도통 모르겠습니다. 심리를...
지금까지 거의 1년을 지도하셨네요. 어떤 직위이신진 모르겠으나 한번 정도만 더 노력해 보시고 보내주심이 어떨까 싶어요.
세상엔 정말 많은 어린이와 더 많고 다양한 가정이 있더라구요.
토요일 아침, 9시까지만 고민하시고 남은 시간
오롯이 본인과 가족에게 집중하시는 주말 보내셔요. 그래야 버텨집니다.
세상엔 정말 많은 어린이와 더 많고 다양한 가정이 있더라구요.
토요일 아침, 9시까지만 고민하시고 남은 시간
오롯이 본인과 가족에게 집중하시는 주말 보내셔요. 그래야 버텨집니다.
제가 선생님 입장이라면
아이가 다니고 싶다고 하는 건 아이 사정이고,
그래서 아이에게 더 잘하라고 하는 건 학부모 사정이다.
내 사정은,
수천명 만난 과정에서 아이를 열심히 마음을 다해 가르쳐왔다.
지금 하는 것보다 더 잘할 수 없다.
나를 존중하면 나도 존중해줄수 있고,
서로가 기분 좋은 관계가 되도록 노력하지만,
일방적인 입맛에 맞게 해줄 수 없다.
이건 서로 맞지 않는 관계다.
라고 말할 것 같네요.
아이가 다니고 싶다고 하는 건 아이 사정이고,
그래서 아이에게 더 잘하라고 하는 건 학부모 사정이다.
내 사정은,
수천명 만난 과정에서 아이를 열심히 마음을 다해 가르쳐왔다.
지금 하는 것보다 더 잘할 수 없다.
나를 존중하면 나도 존중해줄수 있고,
서로가 기분 좋은 관계가 되도록 노력하지만,
일방적인 입맛에 맞게 해줄 수 없다.
이건 서로 맞지 않는 관계다.
라고 말할 것 같네요.
부모에게
나는 그런 말 한적없고 아이가 거짓말을 하니 가정에서 잘 자도해달라. 오해였다고 해도 나는 내 스타일을 바꿀 생각없다. 싫으면 관둬라.
아이에게
불만있으면 직접 얘기하고, 집에가서 거짓말하지말아라.
한번 더 그러면 더 이상 가르칠 수 없다.
—
문외한린데 이렇게 얘기하고 싶어지네요..
나는 그런 말 한적없고 아이가 거짓말을 하니 가정에서 잘 자도해달라. 오해였다고 해도 나는 내 스타일을 바꿀 생각없다. 싫으면 관둬라.
아이에게
불만있으면 직접 얘기하고, 집에가서 거짓말하지말아라.
한번 더 그러면 더 이상 가르칠 수 없다.
—
문외한린데 이렇게 얘기하고 싶어지네요..
동종업계 종사자들과 나누는 말씀이 가장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모이면 다양한 사례 성토하기로 흐르기 쉽겠지만 대화를 잘 조절하셔서 긍정적인 대처에 성공한 사례 위주의 대화에서 뭔가 나올 수 있지 않을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