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4/18 08:18:52
Name   활활태워라
Subject   집에 돈 보내는 것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여러분
제가 이번에 글을 쓰게 된 계기는 부모님에게 보내는 돈 때문이기도 하고 섭섭한 마음도 있어서 입니다.
엄밀히 따지자면 과거에서 지금까지 이어지는 돈과 관련된 사건들이 이제서야 제 안에서 터졌기 때문이에요.

돈을 보냈던거만 적어보면
군대 가기 직전에 알바해서 모아놓은 거 다 드림//돈 모아서 서울에 학원 다니려고 했는데 그 돈 달라고 해서 드린거
2020년에 부모님 자영업 접기 직전에 저한테 햇살론 500만원 대출받아달라고 해서 싫었지만 대출해준거
2021년에는 자영업 접고 다른 곳에서 일하기로 약속하기로 했는데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다시 하겠다고
돈 끌어오고 대출 받고도 돈이 모자른다고 갑작스럽게 저한테 다시 500 달라한거//독립하면 주겠다고 월세 50씩 받아간거

2022년 중반부터 지금까지 부모님이 아프셔서 도와달라고 할 때마다 70~90씩 보내드렸습니다.

전까지는 도와달라는 연락이 오면 별 생각없었는데
제가 얼마전 테니스 엘보 때문에 1달간 일을 못했을 때 도와달라고 연락을 본 순간  
나도 힘든데 왜 하필 이럴때 도와달라하는건지...라는 무력감과 우울감과 분노가 복잡하게 섞여서 몰아쳤습니다.
그래도 어떻게 나온 월급과 연말정산 합친 금액이 좀 되서 다시 도와드렸어요.

이러고 별 일 없으면 그냥 넘어갔을거고 앞으로도 보냈을텐데
도저히 못넘기는 일이 생겼습니다.

그건 제가 최근 고향에 내려갔을때 부모님이 가족중 1명이 개인회생을 해야할지도 모른다고 말하셨는데
솔직히 들었을때 실감이 안났습니다. 개인회생을 겪는다는게 뭔지 모르기도 하고...
그래서 나머지 형제들은 어떤고 하니 결혼한 누나들은 경제 생활은 안하고 있거나 이혼할 위기에 있거나 이런 얘기 하시더라구요. 자다 깨서 들은거라 그냥 헛웃음만 나오다가 다시 방에 들어가서 잤죠.

그런데 몇 일 뒤에 개인회생과 연관된 가족한테 전화가 오더라구요.
"너무 힘들고 갚을 돈이 많은데 도와줄 수 없겠냐고"
제가 자다 깨서 많이 당황하고 출근해야하니 일단 돈을 보내고 출근했는데

왜? 다른 사람이 아닌 나한테 전화가 온 걸까? 생각을 안할래야 안할수가 없었습니다.
그건 이미 모든 사정을 꿰고있기 때문이 아닌가?
나머지 누나들은 돈을 안벌고 그렇다고 누나들의 남편한테
돈을 빌리기는 뭣하고 그러니까 독신이고 만만한 나한테 전화가 온게 아닌가? 싶은거죠.
그런데 더 이상한건 부모님 제외하고 나머지 가족이랑 전화한게 3번도 안됩니다. 안부도 안묻고요.
보기 싫어서 명절에 내려가지도 않습니다. 그런데 저한테 도와달라고 전화가 오다니요.

그러니까 이미 부모님이 저한테도 전화를 한 가족한테도 언질을 던져놓은거라고 생각이 들더라구요?

힘들면 돕고 살수 있는거죠. 근데 누나들은 결혼하고난 뒤로 돈을 안벌고 지금 개인회생 할까말까 문제가 되서
저한테 전화를 한 가족에게 부모님이 병원비가 없으니 도와달라고 할 거 같진않았어요. 그래서 부모님이 저한테 도와달라고 하신거겠지요.

하 그런데 저도 이런 말 하긴 그렇지만 부모님 돕는 걸로 힘든데 여기에 짐을 하나 더 얹어주시니까 도대체 절 어떻게 생각하는걸까요? 그러니까 다른 사람은 이유가 있으니까 됐고 난 독신이니까 문제없고 이런걸까요?

지금까지 원망한려 한적 없고 고생한거 알고 지금도 일하고 있으시고 아프고 그런거 아니까
처음으로 원망스럽네요. 차별하지 않는 척 하지만 차별하고 있는거 같고
차마 누나들한테 전화해서 부모님 아픈데 니 돈 드린적 있냐? 물어볼 수도 없고
정황상 몰빵 당한거 같은데 쩝...

마지막으로 이렇게 계속 도와드리다 보면 진짜 제 인생을 못살거 같다는 생각이 지배적입니다 ㅡㅡ...







0


Beer Inside
나중에 도와 드릴 때 도와드리더라도 한번은 끊어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경제적 형편이 어렵지 않더라도 자식에게 요구를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유는 그래도 되니까....

부모와 자식간에도 거리를 필요합니다.
4
하우두유두
차마 누나한테도 뮬어보시기 바랍니다. 정황확인이 필요할듯해요
아저씨무시하지마
"나부터 살자"를 모토로 삼으십시오...부모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전 그래서 용돈 안드립니다. 아니 못드리죠. 드리면 저랑 제 가족이 못 먹고 사는데요 뭐. 부모님이 이해하셔야지...
듣보잡
가족 관련해서 비슷한 문제들을 볼 때마다 제가 생각하는 건 언제나 같읍니다.
처음부터 내 의지로 선택된 가족이 아니고, 기본적인 역할을 못하는 가족에게 내가 구성원으로서 희생할 이유는 없다고요.
본인 위주로 먼저 생각해서 행동하시고, 여력이 남는데 가족을 도울 마음이 드시면 그 때 돕던가 말던가를 선택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참 어렵네요.
첫 단추가 잘 못 끼인 거 같아요. 제 느낌에 글쓴님은 그 분들에게 약간 현금자판기 같은 느낌이에요.

제 생각에 지인/가족에게 돈을 주거나, 빌려줄 때는
왜 필요한지, 어떻게 갚을 건지.
나는 이걸 그냥 없는 돈 칠 건지, 아니면 꼭 받을건지.
그리고 얼마까지는 그냥 없는 돈 쳐도 되는지.
나름대로 이런 스스로의 기준을 정리가 필요하단 생각이 들어요.

태도 변화가 생기면 가족들도 언해피가 뜰 거 같긴 하지만.. 한 번 정리하시는 게 좋다고 생각 듭니다.
일단 본인의 마지노선을 정하셔야죠.
달라는대로 계속 주면 결국 다 털릴 수도 있으니..
부모님이 길바닥에 나앉게 되면 최소한 달에 50은 드릴 수 있겠다.
혹은 내 저축이 5천이면 이 중에 1500까진 쓸 수 있겠다거나..
근데 도와드려도 개인회생등으로 채무를 다 정리하고 난 뒤에 생활비만 드리는 게 나을 것 같아요.
누나들 얘기만 하시는 것 보니 집안에 외동아들에 막내신것 같은데, 본인은 느끼지 못하시더라도 혹시 부모님이 그나마 누나들에 비해 더 지원을 해주시거나 한것은 아닐까도 싶네요
오디너리안수정됨
가족들에게 이것저것 묻지 마시고 본인의 행복을 위해 먼저 돈을 쓰십시오(투자든 소비든) 그리고 다 써버리고 없다고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행복한고독
별다른 이유 없을겁니다. 그냥 달라고 하면 주니까...

그냥 돈을 빌리는 사람들 마인드가 그렇더라구요. 그냥 없어도 되는데, 빌리면 돈이 나오네? 그럼 손해볼거 없다 생각하고 일단 빌립니다.

안먹히면 메달리고, 그것도 안되면 화를 내면서 돈을 얻어내는게 그들이 궁극적인 목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돈 얻어서 어떻게 쓸까요? 그냥 아무 생각없이 쓸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모님이 아닌 다른 가족 또한 부모님에게 손 벌려봤는데, 동생한테 도움 받았네. 그것도 아무 조건 없이? 그럼 나도...


그 과정에서 돈... 더 보기
별다른 이유 없을겁니다. 그냥 달라고 하면 주니까...

그냥 돈을 빌리는 사람들 마인드가 그렇더라구요. 그냥 없어도 되는데, 빌리면 돈이 나오네? 그럼 손해볼거 없다 생각하고 일단 빌립니다.

안먹히면 메달리고, 그것도 안되면 화를 내면서 돈을 얻어내는게 그들이 궁극적인 목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돈 얻어서 어떻게 쓸까요? 그냥 아무 생각없이 쓸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모님이 아닌 다른 가족 또한 부모님에게 손 벌려봤는데, 동생한테 도움 받았네. 그것도 아무 조건 없이? 그럼 나도...


그 과정에서 돈을 빌려주는 사람의 사정은 관심없습니다. 그냥 돈이 나오느냐 안나오느냐죠.


그렇기 때문에 위에서 다들 본인을 먼저 생각하라는 조언을 한거라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앞으로 돈관리 철저하게 하시고, 먼저 본인만 생각하시면 좋겠네요.
4
꿀래디에이터
여유돈도 아니고 대출까지 해서...
저는 제 존재가 자식한테 부담이 되면 스님들 처럼 곡기 끊고 사라지고 싶은 사람인데
세상에 별 사람들이 많긴 하네요
사실 부모가 자녀 키우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생각하면 부모님이 활활태워라님을 키우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쓰셨을겁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생색 낼 수 없는건... 부모니까요. 자녀를 키워야 할 의무가 있죠.
왜 그런 의무가 있냐 생각하면... 그냥 부모니까. 라는 것 밖에는 없습니다.
부모와 자식은 특별한 관계죠.

하지만 그 관계에서 어떻게 하는게 좋으냐는 사람들마다 생각이 다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활활님도 드리는게 맞다고 생각하셨으니 드려왔겠지요.
지금부터는 어떻게 하는게 좋은가 라는 면에서도 사람들마다 의견이 조금... 더 보기
사실 부모가 자녀 키우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생각하면 부모님이 활활태워라님을 키우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쓰셨을겁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생색 낼 수 없는건... 부모니까요. 자녀를 키워야 할 의무가 있죠.
왜 그런 의무가 있냐 생각하면... 그냥 부모니까. 라는 것 밖에는 없습니다.
부모와 자식은 특별한 관계죠.

하지만 그 관계에서 어떻게 하는게 좋으냐는 사람들마다 생각이 다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활활님도 드리는게 맞다고 생각하셨으니 드려왔겠지요.
지금부터는 어떻게 하는게 좋은가 라는 면에서도 사람들마다 의견이 조금씩 다를거고요.

그래서 드리고 싶은 말씀은. 여태까지 드렸던 것들에 대해서 너무 억울해하거나 계산하시지 않으시는게 속편하다는겁니다.
다른 분도 언급해주셨지만 알지못하는 사이에 누나들이 더 차별받았을 수도 있어요.
평소에 왕래하지 않으니 그런걸 따져볼 수도 없고 확인할 길도 없는거죠. 그러니 그냥 나만 억울한거 같다. 라는 생각은 그냥 잊으시는게 더 좋지 싶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는 좀 다르겠네요.
저는 부모님이든 누나든 일단 모든 금전요구에 No로 일관하시는것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딱한 사정이야 간단히 얘기하시겠지만 일단 '나도 여의치 않아서... 어렵겠다' 라는 대답을 먼저하고 생각해보시는 시간을 갖는거죠.
최소한 '생각해보겠다' 정도로 시간은 버셔야합니다. 무슨 일이 있더라도 즉시 들어주는 경우는 없다. 이게 원칙이 되어야 해요.

그러면 그 쪽에서 내가 왜 그 돈이 필요한지를 더 설명하고, 사정하고, 이 정도도 못해주고 화내고... 등등의 반응을 보일거에요.
그걸 듣고 타당하면 그 때 나도 필요하지만 생각해서 주는거라고 생색내면서 드려도 늦지 않습니다.
whenyouinRome...
제가 이제 봐서 늦게 댓글 답니다.
저에게 좋은 이야기도 많이 해주시고 저도 응원하는 마음에서 한 말씀 드립니다.
서로 마음을 나누고 응원하는거 그리고 여력이되면 도와주는건 너무 좋은 일이고 훌륭한 일이지만요.....
본문 글 대로라면 이건 좀 너무한거 같습니다.
성인은 각자의 위치에서 자신의 일에 책임을 져야합니다.
남에게 미루는게 아니구요.
전 선을 긋고 더이상의 경제적 지원을 해드리기보다는 각자가 감당할 짐을 지게 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종종 여력이 될 때 조금의 지원정도 해주시구요.
모르겠습니다. 각자의 가정사... 더 보기
제가 이제 봐서 늦게 댓글 답니다.
저에게 좋은 이야기도 많이 해주시고 저도 응원하는 마음에서 한 말씀 드립니다.
서로 마음을 나누고 응원하는거 그리고 여력이되면 도와주는건 너무 좋은 일이고 훌륭한 일이지만요.....
본문 글 대로라면 이건 좀 너무한거 같습니다.
성인은 각자의 위치에서 자신의 일에 책임을 져야합니다.
남에게 미루는게 아니구요.
전 선을 긋고 더이상의 경제적 지원을 해드리기보다는 각자가 감당할 짐을 지게 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종종 여력이 될 때 조금의 지원정도 해주시구요.
모르겠습니다. 각자의 가정사와 상황이 똑같지 않으니....
무튼 달라는대로 다 주는건 서로에게 절대 좋지않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019 가정/육아요리 안 하시는 1인 가구분들의 식단과 식비 관리 방법이 궁금합니다. 15 눈사람 23/07/12 1901 0
15005 가정/육아키와 유연성의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9 희루 23/07/08 2712 0
15002 가정/육아접이식 식탁 추천 9 뉴클레오타이드 23/07/07 1661 0
14987 가정/육아나물반찬 중 손질 안해도 되는게 있을까요?? 14 Yunn 23/07/03 2982 0
14973 가정/육아6살 영어 아이랑 같이 볼만한거 있을까요? 14 하우두유두 23/06/27 2845 0
14952 가정/육아사춘기 조카 방황 19 [익명] 23/06/22 2941 0
14942 가정/육아정수기 고민입니다 6 먹이 23/06/19 1656 0
14941 가정/육아중저가 티셔츠 브랜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7 토비 23/06/19 3219 0
14934 가정/육아친언니와 갈등없이 대화하고 설득하는 방법 20 트위그 23/06/16 2120 0
14924 가정/육아맞벌이부부의 집안일 분담 40 하얀 23/06/14 4458 0
14906 가정/육아가족의 연을 끊어야 할지 고민입니다. 15 휴리스틱 23/06/08 4029 1
14893 가정/육아보육원 봉사활동시 자녀 참여 여부 3 dolmusa 23/06/06 2535 0
14888 가정/육아유아용 보드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19 쉬군 23/06/05 2542 0
14857 가정/육아경청이 너무 어렵습니다.. 20 [익명] 23/05/26 2913 0
14852 가정/육아 2개월 아이가 있는 집, 헬스장 다니기 5 방사능홍차 23/05/25 2790 0
14843 가정/육아대전에 초등생 아이들과 가볼만한곳 7 유니꽃 23/05/24 3761 0
14794 가정/육아상추 요리 레시피 공유 받아요 10 레몬버터 23/05/09 2600 0
14792 가정/육아코골아서 와이프가 울면서 각방을 쓰자했습니다 19 [익명] 23/05/08 3570 0
14791 가정/육아싱크대 간이 정수기… 12 쥬꾸미 23/05/08 2798 0
14789 가정/육아간이정수기 질문 입니다. 자몽에이슬 23/05/08 2506 0
14747 가정/육아육아 질문! 13 Paraaaade 23/04/28 2603 0
14735 가정/육아혹시 음식물 처리기 린클 쓰시는분 계신가요? 3 jobdescription 23/04/25 3124 0
14730 가정/육아선택할 수 없었던 제가 왜 우는 걸까요 8 [익명] 23/04/24 3586 0
14726 가정/육아유럽 가정집에 설치하는 보안 시스템. [카메라, 동작감지기, 보안업체 세트(?) ] 어디껀가요? 또는 추천 부탁드려요!! 햇햇반 23/04/22 3103 0
14716 가정/육아적당히 달짝지근한 두유 추천해주세요. 7 OneV 23/04/19 230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