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4/24 02:29:35 |
Name | [익명] |
Subject | 선택할 수 없었던 제가 왜 우는 걸까요 |
안녕하세요. 잠 안오는 밤에 새벽 감성을 빌어 홍차넷에 속풀이 좀 하러 온 대학생입니다. 저는 흔히 말하는 '맞벌이 가정의 자녀' 입니다. 지방 광역시에서 나고 자라서 그런지, 그 때만 해도 유치원 어린이집 다 통틀어 한 반에 5-6명(그 안에서도 부모님이 모두 풀타임 정규직인 경우는 더 드물었습니다) 정도만 맞벌이 부부의 자녀였던 때였습니다. 덕분에 저는, 기억이 남아 있을 때부터 외할머니 손에 자랐습니다. 부모님 출근하시고 나면 할머니가 저 밥 먹여 버스 태워 보내시고, 돌아오는 버스에서 픽업하셔서 저 집에 데려와 부모님 오실 때까지 tv 보여주시며 집안일 하시고... 다행히 저는 얌전한 아이였습니다. (제가 떠올리는 제 유년도 그랬습니다) tv 틀어주면 조용히 봤고, 그나마도 아버지께서 허락하신 유아동 채널 외에는 다른 거 볼 생각도 않았으니까요. 그러다 할머니 따라 신문지에 있는 콩나물 다듬기 달래 다듬기도 따라하고(지금도 콩나물, 멸치, 달래, 쪽파 등등 다듬을 줄 압니다. 콩도 깠었네요 ;;) 시간 되면 동네 상가 피아노 학원 가고 미술 학원 가고 하며 조용히 시간을 보냈습니다. 할머니 옷 잡고 보챈다? 그런 건 일체 없었습니다. 지금도 할머니가 그러시거든요. '세상 다시 없을 순한 아이였다' 라고요. 아무튼 그렇게 자랐습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익숙해졌던 건 '참는 법'이었습니다. 어찌 보면 당연했습니다. 6살 아래 동생, 나이 드신 할머니, 직업상 출장이 잦으신 아버지, 외할머니 한 분을 제외하면 양가 어른들 모두 돌아가신 상황에서 직장까지 다니셨던 어머니께 저를 챙길 여력이 얼마나 있으셨을까요. - 학교에서 열이 나도 참아야 한다. 집에 가면 나 돌보느라 결국 가족들 손 간다. - 아파도 내가 하던 건 다 해야 한다. 결국 누군가는 할 일이다. - 뭐 먹고 싶다, 뭐 해 달라, 갖고 싶다 투정 부리지 말 것. 돈 들고 수고롭다. 나중에 '왜 이런 거 먹고 싶다/ 갖고 싶다 하냐. 네 엄마/아빠 힘들어한다.' 소리만 듣는다. 이런 걸 아주 어릴 때부터 몸으로 체득했던 거 같습니다. 저는 지금도 제가 아플 때 제 눈앞에서 가족들이 움직이는 게 불편하고, 제 몸에 열이 나도 세탁기, 건조기 알람이 울리면 직접 가 봐야 마음이 편합니다. 어쩌다 서울에서 본가에 간 날도 어머니께서 제게 밥을 차려 주시는 것, 먹고 싶은 것 없냐 물어보시는 것도 불편해 하지 말라 말씀드렸습니다. 필요한 거 있으면 말하라는 말씀도요(성인이 되며 좋은 점이 단기 알바를 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본가에서 딱 주말 동안만 머무를 때도 제가 설거지까지 다 해야 마음이 편하고, 괜히 집 안 먼지가 신경 쓰여 대청소하려다가 제 체력이 받쳐 주지 않아 뻗으면서도 '왜 내 몸이 이렇게 쓰레기인 건가' 자책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던 중 대학을 졸업하신 선배님들이 재학생들을 위해 강연해 주시는 자리에 참석한 적이 있었습니다. 학과에서 개최한 자리라 여선배님, 남선배님 가릴 거 없이 많이 오셨고 상당히 큰 자리였는데 그 자리에서 여선배님들은 (아무래도) 가정에서 본인의 역할과 회사에서 본인의 역할, '나'라는 사람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하시더군요. 아이를 맡길 기관을 최대한 빨리 알아봐라, 워킹맘으로 살려면 양가의 도움이 중요하다 등 현실적인 이야기도 하셨습니다. 그 이야기를 듣던 중 저는 저도 모르게 가슴이 턱 막히는 기분이 들었고 눈물이 쏟아지려고 해 급히 학교 화장실로 가야 했습니다. 숨을 죽이며 울던 중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 내가 우는 걸까. 나는 아무것도 선택한 적 없고 그냥 다 상황에 맞게 살았을 뿐인데 왜 내가 지금 여기서 울고 있는 걸까.' 제가 왜 우는지 저도 모르겠습니다. 왜 힘들어하는지도, 또 왜 '워킹맘'이라는 자리에 까닭 모를 답답한 느낌이 함께 따라붙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0
|
심정적으로 쉽사리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야기를 들으셨군요... 토닥토닥 글자로라도 위로 드립니다.
외벌이 가정에서 자라나서 글쓴이 분이 느끼는 감정의 반의 반도 이해는 못하겠지만 요즘 아이키우면서 맞벌이 가정에 대해 여러 생각이 들곤 합니다.
특히나 요즘같이 소비수준이 상향된 사회에서 예전처럼 외벌이로 허리띠 졸라매고 사는게 어려워진 것 같고,
주변만 둘러봐도 많은 분들이 맞벌이를 선택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실 맞벌이도 양가 중 어느 한쪽의 서포트 없이는 육아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어찌보면 선택받은 이들만 ... 더 보기
외벌이 가정에서 자라나서 글쓴이 분이 느끼는 감정의 반의 반도 이해는 못하겠지만 요즘 아이키우면서 맞벌이 가정에 대해 여러 생각이 들곤 합니다.
특히나 요즘같이 소비수준이 상향된 사회에서 예전처럼 외벌이로 허리띠 졸라매고 사는게 어려워진 것 같고,
주변만 둘러봐도 많은 분들이 맞벌이를 선택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실 맞벌이도 양가 중 어느 한쪽의 서포트 없이는 육아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어찌보면 선택받은 이들만 ... 더 보기
심정적으로 쉽사리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야기를 들으셨군요... 토닥토닥 글자로라도 위로 드립니다.
외벌이 가정에서 자라나서 글쓴이 분이 느끼는 감정의 반의 반도 이해는 못하겠지만 요즘 아이키우면서 맞벌이 가정에 대해 여러 생각이 들곤 합니다.
특히나 요즘같이 소비수준이 상향된 사회에서 예전처럼 외벌이로 허리띠 졸라매고 사는게 어려워진 것 같고,
주변만 둘러봐도 많은 분들이 맞벌이를 선택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실 맞벌이도 양가 중 어느 한쪽의 서포트 없이는 육아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어찌보면 선택받은 이들만 할 수 있는 선택이라고 생각했는데요.
아무리 부모님의 도움이 있다고 한들 글쓴이 분이 느끼신 문제가 있으리라고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네요.
참 여러모로 어려운 시대이지 않나 싶습니다.
아이 양육을 위해 예전보다 부모의 노력이 더 많이 들어가게 변화하고 있으니 다둥이는 애초에 생각하기도 어렵고 (이전처럼 아기는 온 마을이 키워준다 이런게 없어졌으니..)
그 하나를 키우는 데에도 남들 해주는 거 다 해주려면 외벌이로는 답도 안나오는 상황이고,
그렇다고 맞벌이를 하자니 부모님 도움을 못 받는 경우도 많고,
부모님 도움을 받아 양육을 일정 부분 부탁드린다 하더라도 정서 문제가 또 있으니...
솔직히 이런 상황에서는 0.7x 대 출산률도 높은 거라고 봅니다.
외벌이 가정에서 자라나서 글쓴이 분이 느끼는 감정의 반의 반도 이해는 못하겠지만 요즘 아이키우면서 맞벌이 가정에 대해 여러 생각이 들곤 합니다.
특히나 요즘같이 소비수준이 상향된 사회에서 예전처럼 외벌이로 허리띠 졸라매고 사는게 어려워진 것 같고,
주변만 둘러봐도 많은 분들이 맞벌이를 선택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실 맞벌이도 양가 중 어느 한쪽의 서포트 없이는 육아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어찌보면 선택받은 이들만 할 수 있는 선택이라고 생각했는데요.
아무리 부모님의 도움이 있다고 한들 글쓴이 분이 느끼신 문제가 있으리라고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네요.
참 여러모로 어려운 시대이지 않나 싶습니다.
아이 양육을 위해 예전보다 부모의 노력이 더 많이 들어가게 변화하고 있으니 다둥이는 애초에 생각하기도 어렵고 (이전처럼 아기는 온 마을이 키워준다 이런게 없어졌으니..)
그 하나를 키우는 데에도 남들 해주는 거 다 해주려면 외벌이로는 답도 안나오는 상황이고,
그렇다고 맞벌이를 하자니 부모님 도움을 못 받는 경우도 많고,
부모님 도움을 받아 양육을 일정 부분 부탁드린다 하더라도 정서 문제가 또 있으니...
솔직히 이런 상황에서는 0.7x 대 출산률도 높은 거라고 봅니다.
상황에 맞춰 산단는게 덜 힘든건 아니기 때문일거 같습니다.
오히려 자기가 선택하는 삶보다 더 힘들 수도 있죠. 이 경우 힘들면 맘속으로 이 미련한 인간같으니 쯧쯧 거리며 자기 탓이라도 하니까.
하지만 상황 맞춰 사는게 선택을 하지않은건 아니며 선택을 하나안하나 세상 사는건 힘듬 ㅜ ㅜ
주변 사람에게 자기가 느끼는걸 조금이라도 풀어놓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물론 좋은 공감을 얻을수도잇고 이상한 가스라이팅이 날아올수도 있습니다.ㅇㅅㅇ;;
말하지않아도 알아요?
아뇨, 인간 말하지않으면 모릅니다.
간혹 말해도 못알아... 더 보기
오히려 자기가 선택하는 삶보다 더 힘들 수도 있죠. 이 경우 힘들면 맘속으로 이 미련한 인간같으니 쯧쯧 거리며 자기 탓이라도 하니까.
하지만 상황 맞춰 사는게 선택을 하지않은건 아니며 선택을 하나안하나 세상 사는건 힘듬 ㅜ ㅜ
주변 사람에게 자기가 느끼는걸 조금이라도 풀어놓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물론 좋은 공감을 얻을수도잇고 이상한 가스라이팅이 날아올수도 있습니다.ㅇㅅㅇ;;
말하지않아도 알아요?
아뇨, 인간 말하지않으면 모릅니다.
간혹 말해도 못알아... 더 보기
상황에 맞춰 산단는게 덜 힘든건 아니기 때문일거 같습니다.
오히려 자기가 선택하는 삶보다 더 힘들 수도 있죠. 이 경우 힘들면 맘속으로 이 미련한 인간같으니 쯧쯧 거리며 자기 탓이라도 하니까.
하지만 상황 맞춰 사는게 선택을 하지않은건 아니며 선택을 하나안하나 세상 사는건 힘듬 ㅜ ㅜ
주변 사람에게 자기가 느끼는걸 조금이라도 풀어놓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물론 좋은 공감을 얻을수도잇고 이상한 가스라이팅이 날아올수도 있습니다.ㅇㅅㅇ;;
말하지않아도 알아요?
아뇨, 인간 말하지않으면 모릅니다.
간혹 말해도 못알아듣는데요.
너무 끌어안고 사시면 그거도 병됩니다.
오히려 자기가 선택하는 삶보다 더 힘들 수도 있죠. 이 경우 힘들면 맘속으로 이 미련한 인간같으니 쯧쯧 거리며 자기 탓이라도 하니까.
하지만 상황 맞춰 사는게 선택을 하지않은건 아니며 선택을 하나안하나 세상 사는건 힘듬 ㅜ ㅜ
주변 사람에게 자기가 느끼는걸 조금이라도 풀어놓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물론 좋은 공감을 얻을수도잇고 이상한 가스라이팅이 날아올수도 있습니다.ㅇㅅㅇ;;
말하지않아도 알아요?
아뇨, 인간 말하지않으면 모릅니다.
간혹 말해도 못알아듣는데요.
너무 끌어안고 사시면 그거도 병됩니다.
늦기 전에 전문 심리상담소를 한번 찾아가 보시는 건 어떨까요?
나는 살라는 대로 살았는데 하면서 참다 보면 만성화가 되더라구요. 그럼 너무 오래 고생해요. 제가 비슷한 경우를 직접 겪어봤는데, 진작에 어떻게든 막을걸 하는 후회를 많이 했었습니다.
나는 살라는 대로 살았는데 하면서 참다 보면 만성화가 되더라구요. 그럼 너무 오래 고생해요. 제가 비슷한 경우를 직접 겪어봤는데, 진작에 어떻게든 막을걸 하는 후회를 많이 했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은 당연히 제가 알 수 없지만 이 정도는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일단 모든 일의 원인을 꼭 본인에게서 찾을 필요는 없고요, 자기희생적으로 살 필요도 없읍니다.
그리고 선택할 수 없었다고 하시는데, 순하고 얌전하게 자란 것 자체가 본인이 선택한 겁니다. 본인의 의지가 관여했든 성격이 관여했든... 일단 제 관점에서는 글 내용만으로는 선택할 수 없었던이란 표현에 공감이 가지는 않네요.
그 동안의 성장과정이 불가항력적이었다고 읽히는데, 정말 어떤 누가 그 상황이었어도 이렇게밖에 할 수 없었다 정도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케이스고, 그 정도가 아니라면 지금부터라도 자기중심적인 사고로 전환하시는 게 어떨까 싶네요. 윗분들 말대로 상담도 좋을 것 같고요.
일단 모든 일의 원인을 꼭 본인에게서 찾을 필요는 없고요, 자기희생적으로 살 필요도 없읍니다.
그리고 선택할 수 없었다고 하시는데, 순하고 얌전하게 자란 것 자체가 본인이 선택한 겁니다. 본인의 의지가 관여했든 성격이 관여했든... 일단 제 관점에서는 글 내용만으로는 선택할 수 없었던이란 표현에 공감이 가지는 않네요.
그 동안의 성장과정이 불가항력적이었다고 읽히는데, 정말 어떤 누가 그 상황이었어도 이렇게밖에 할 수 없었다 정도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케이스고, 그 정도가 아니라면 지금부터라도 자기중심적인 사고로 전환하시는 게 어떨까 싶네요. 윗분들 말대로 상담도 좋을 것 같고요.
저도 비슷한 성향이 좀 있어서 과거에 좀 한계가 왔던 순간이 있었던 것 같고...
개인적으로 솔루션을 찾아서 요즘 계속 연습합니다.
남 탓하기, 가능한 내가 안 하기, 가만히 있어보기, 속으로 쌍욕하기, 니 책임이라고 생각하기 등등...
이게 별 것 아닌 것 같아도 은근히 효과가 있더라구요.
선생님이 생각하시기에 조금 상태가 많이 안좋은 것 같다고 생각하시면 전문가의 상담을 권합니다.
개인적으로 솔루션을 찾아서 요즘 계속 연습합니다.
남 탓하기, 가능한 내가 안 하기, 가만히 있어보기, 속으로 쌍욕하기, 니 책임이라고 생각하기 등등...
이게 별 것 아닌 것 같아도 은근히 효과가 있더라구요.
선생님이 생각하시기에 조금 상태가 많이 안좋은 것 같다고 생각하시면 전문가의 상담을 권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