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7/14 09:57:42 |
Name | Finboy |
Subject | 체력을 기르는 방법 |
직장도 거진 10년차, 여기에 육아까지 시작하니 체력이 남아나질 않습니다. 나이도 이제 40을 향해가다보니 노화 영향도 큰 듯 하구요. 체력을 기르는 현실적인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여기서 ‘체력’이란 근육이나 스포츠 능력이 아니라 원론적으로 일상생활을 지탱할 수 있는 신체적 힘을 의미합니다. 유명한 ‘미생’ 짤에서 나오는 그 체력 말이죠. 체력이 생기면 확실히 야근을 해도, 잠을 좀 덜 자도 버틸만 하더군요.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굳이 언급한건 주중에는 도저히 헬스같이 제대로 운동할 여력이 안되고 아기 재운 짜투리 시간 정도만 남고 주말에 하루정도나 제대로 운동 가능한 시간이 남다보니 ‘주3회 헬스’ ‘주2회 러닝’ 이런게 쉽지 않아서 덧붙였습니다. 인생 선배님들의 소중한 경험 공유를 부탁드립니다. 1
|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와 탄수화물 줄이기요.
잠을 9시 반에서 10시 사이에 청해서 10시 30분에는 수면상태가 되어야 몸이 충분히 휴식한다고 합니다.
고기 생선 계란 두부 많이 드시고 군것질 하지 마시고 커피는 블랙으로만...
잠을 9시 반에서 10시 사이에 청해서 10시 30분에는 수면상태가 되어야 몸이 충분히 휴식한다고 합니다.
고기 생선 계란 두부 많이 드시고 군것질 하지 마시고 커피는 블랙으로만...
- 일찍 자기
- 점심시간이 있다면 점심시간에 산책
- 집에 사이클이나 로잉머신 같은 것 둘 공간이 있으면 하시는 것도.
- 계단 오르기
- 운동은 결국 시간 투자입니다. 발굽혀 펴기 같은 것도하시는 것도..
- 점심시간이 있다면 점심시간에 산책
- 집에 사이클이나 로잉머신 같은 것 둘 공간이 있으면 하시는 것도.
- 계단 오르기
- 운동은 결국 시간 투자입니다. 발굽혀 펴기 같은 것도하시는 것도..
독일의 생활스포츠쪽에서 정한 슬로건이 Trimm 130입니다.
운동으로 심박수를 130까지라도 올려보자!라는 뜻인데, 대충 평지에서 아주 천천히 뛰면(km당 7분 30초~8분) 그 정도 됩니다. 그거 하루에 30분. 1주 3번.
한국도 똑같읍니다. 7330이라고 하는데, 1주(7일) 3번 30분 운동인데, 운동 강도는 역시 위랑 비슷합니다. 전세계적으로 생활체육의 범위는 다 저정도입니다.
저거만 꾸준히 하는 것도 쉽지 않아요ㅋ
운동으로 심박수를 130까지라도 올려보자!라는 뜻인데, 대충 평지에서 아주 천천히 뛰면(km당 7분 30초~8분) 그 정도 됩니다. 그거 하루에 30분. 1주 3번.
한국도 똑같읍니다. 7330이라고 하는데, 1주(7일) 3번 30분 운동인데, 운동 강도는 역시 위랑 비슷합니다. 전세계적으로 생활체육의 범위는 다 저정도입니다.
저거만 꾸준히 하는 것도 쉽지 않아요ㅋ
체력을 늘리기 위해서는 운동을 해야 합니다. 운동은 시간 투자이고요. 적지 않은 시간을 꾸준히 운동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급진적인 변화나 기발한 방법이 있다기 보다는 생활 습관 변화를 동반해야 합니다. 현재 하고 계신 생활 패턴을 분석해 보시면 그 틈바구니 안에 운동 시간을 끼워넣기 위해 어떤 것을 희생해야 할 지 보이실 겁니다.
'희생'이 동반된 것이므로 운동은 그냥 '건강해지기 위함', 혹은 '체력 증진'이라는 잘 잡히지 않는 목표로 꾸준히 수행하기 쉽지 않습니다. 조언드리는 것은 운동은 본인이 확실히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걸 하라는 겁니다.
'희생'이 동반된 것이므로 운동은 그냥 '건강해지기 위함', 혹은 '체력 증진'이라는 잘 잡히지 않는 목표로 꾸준히 수행하기 쉽지 않습니다. 조언드리는 것은 운동은 본인이 확실히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걸 하라는 겁니다.
육아때는 시간이 없져.. 저랑 와이프는 반반 나눠서합니다. 와이프는 6시에 일어나서 7시까지. 저는 애들재우고 10시부터 11시까지 산책이나 헬스장 갑니다. 어떻게든 살려고 합니다
운동러들 총출동이군요 ㅎㅎ
일반적으로 체력을 늘린다는 것은 유산소 능력을 키운다는 얘기와 같다고 해도 일반인 수준에서 틀린 말은 아닙니다.
수영, 달리기, 등산, 버피 추천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체력을 늘린다는 것은 유산소 능력을 키운다는 얘기와 같다고 해도 일반인 수준에서 틀린 말은 아닙니다.
수영, 달리기, 등산, 버피 추천드립니다.
저는 체력을 늘리는 대신 체력소모를 줄이는 선택을 하고 있습니다.
피통이 너무 작다고 느낄 때 피통 늘리는건 좋은 선택이 아니고 필요하기 전에 미리 늘려 놓는게 좋지 싶어요 ㅋ
피통이 작다고 느낄 때는 이미 부족할 때니 최대한 아껴쓰며 그 시기를 버티는걸로...
(하지만 저는 미리 늘려놓지 않는다는게 함정)
피통이 너무 작다고 느낄 때 피통 늘리는건 좋은 선택이 아니고 필요하기 전에 미리 늘려 놓는게 좋지 싶어요 ㅋ
피통이 작다고 느낄 때는 이미 부족할 때니 최대한 아껴쓰며 그 시기를 버티는걸로...
(하지만 저는 미리 늘려놓지 않는다는게 함정)
대체로 30대 중반에 오는 시기입니다.
이대로 운동하지 않고 살면 골골하다 죽겠구나.. 하고 느끼는 때가 옵니다.
요가매트라도 하나 깔고 스트레칭과 맨몸 운동을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 추천합니다.
위에서 나온 슬로우버피도 좋고 맨몸 스쿼트와 런지, 팔굽혀 펴기도 상당히 좋습니다.
스위치가 있다면 링피트도 좋은데, 링피트는 대체로 꾸준히 하는 사람이 드문 것 같습니다.
물론 저도 그렇습니다. 젤다 하고부터는 켜질 않고 있습니다. 두 달 쯤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링피트는 기본 자세를 가르쳐 준다는 점에서 맨몸운동 초기에... 더 보기
이대로 운동하지 않고 살면 골골하다 죽겠구나.. 하고 느끼는 때가 옵니다.
요가매트라도 하나 깔고 스트레칭과 맨몸 운동을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 추천합니다.
위에서 나온 슬로우버피도 좋고 맨몸 스쿼트와 런지, 팔굽혀 펴기도 상당히 좋습니다.
스위치가 있다면 링피트도 좋은데, 링피트는 대체로 꾸준히 하는 사람이 드문 것 같습니다.
물론 저도 그렇습니다. 젤다 하고부터는 켜질 않고 있습니다. 두 달 쯤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링피트는 기본 자세를 가르쳐 준다는 점에서 맨몸운동 초기에... 더 보기
대체로 30대 중반에 오는 시기입니다.
이대로 운동하지 않고 살면 골골하다 죽겠구나.. 하고 느끼는 때가 옵니다.
요가매트라도 하나 깔고 스트레칭과 맨몸 운동을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 추천합니다.
위에서 나온 슬로우버피도 좋고 맨몸 스쿼트와 런지, 팔굽혀 펴기도 상당히 좋습니다.
스위치가 있다면 링피트도 좋은데, 링피트는 대체로 꾸준히 하는 사람이 드문 것 같습니다.
물론 저도 그렇습니다. 젤다 하고부터는 켜질 않고 있습니다. 두 달 쯤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링피트는 기본 자세를 가르쳐 준다는 점에서 맨몸운동 초기에 한 번 해 볼 만한 것 같기는 합니다.
다양한 스쿼트와 런지, 매트에 누워서 하는 운동 자세를 가르쳐 줍니다.
이대로 운동하지 않고 살면 골골하다 죽겠구나.. 하고 느끼는 때가 옵니다.
요가매트라도 하나 깔고 스트레칭과 맨몸 운동을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 추천합니다.
위에서 나온 슬로우버피도 좋고 맨몸 스쿼트와 런지, 팔굽혀 펴기도 상당히 좋습니다.
스위치가 있다면 링피트도 좋은데, 링피트는 대체로 꾸준히 하는 사람이 드문 것 같습니다.
물론 저도 그렇습니다. 젤다 하고부터는 켜질 않고 있습니다. 두 달 쯤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링피트는 기본 자세를 가르쳐 준다는 점에서 맨몸운동 초기에 한 번 해 볼 만한 것 같기는 합니다.
다양한 스쿼트와 런지, 매트에 누워서 하는 운동 자세를 가르쳐 줍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