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9/17 22:22:59수정됨
Name   hoho
Subject   불가능이란 단어에 대한 남편과의 입장차이와 소통의 어려움
사년째 불화가 많은 부부입니다.

남편이 가깝지 않은 사람들과의 모임에서

부인이 불가능한 요구를 하는데
들어주지 않으면 크게 실망한다.

라는 얘기를 했습니다.

아래가 남편이 얘기한
"객관적으로 불가능한 요구"들입니다.

1.쉬는부부 예능을 봤는데 내용이 괜찮아보이고
주변 지인들도 부부가 함께 보는데 좋다고하길래
같이보자고 고민하다가 제안을 했습니다.
이런 제안을 하는게 큰 용기였는데
1화를 넘기면서 보더니 재미가 없고,
재미 없는걸 보면 자기는 기분이 안좋아서
관계는 오히려 더 악화될 것이다.
라고 해서 결국 혼자 봤습니다.

2.우울감 때문에 운동을 해서 개선해보려고 하고있습니다. 남편에게 남편이 하고 있는 운동을 같이하는건 불편하냐고했더니 그렇다고 하더군요.
그러던 중 집에서 가까운 킥복싱장이 있길래
예전에 회사 스트레스 받을때
킥복싱으로 많이 풀렸던게 생각나서
다녀봐야겠다 싶었습니다.
남편도 스트레스에 취약한데
킥복싱으로 좀 스트레스가 풀리지 않을까싶어서

함께 운동할 생각이 있다면 같이 운동 체험을 가보자
아홉시 수업이라 시간은 가능할 것같은데
오빠는 다른 운동하고 오는거라 힘들것같기도 하니
같이 갈 생각 없으면 혼자 다녀오겠다 라고 했는데
같이 가자하더라구요.
같은 취미를 가지면 좀 더 관계가 나아지고 가까워지지 않을까 기대했습니다.
운동 잘 하고 나오는 길에 자기는 원래 하는 운동이 있고
그냥 공짜라서 갔을 뿐이다.
같이 할 생각은 없다, 라고 해서
이럴거면 처음부터 같이할 생각이 없다고 하지
왜 기대하게하고 거절하냐고 하며 실망감을 얘기했고
결국 혼자 운동 다니기로 했습니다.

3.이미 상담을 받은 적이 있으나
여전히 부부관계가 자정작용이 어렵다고 생각이 들어서 다시 상담을 알아봤는데 저희 둘다 만나본 상담사가 남편이 개인상담을 하는게 낫겠다고 얘기했습니다.
그래서 남편에게 제안했더니
자기는 전혀 필요성을 못느낀다면서
엄청 소리지르면서 화를 내서
상담 얘기는 다시 꺼내지 않기로했습니다.

제가 제안한 것들이 들어주기 어려운것일 수는 있으나
불가능한것은 아니라 생각되었고,
요구를 거절할 권리가 남편에게 있는것도 맞지만

모임의 이야기 주제가 " 결혼식 신혼여행이나 최근 부부간에 의사결정 "이었어서
다른 이야기도 많은데
굳이 저를 탓하는 뉘앙스의 얘기를해서 모임의 방향성이나 분위기를 부정적이게 하고싶지 않아서

앞으로는 그런 얘기는 사적인 자리에서 가까운 사람에게 하고, 모임에서는 중립적인 이야기를 하면 좋겠다고 얘기했더니

자기의 말은 객관적이고 감정적이지 않은 말이었는데
제가 객관적인 말을 주관적으로 받아들인거라고 하며
그 자리에 있던 사람한테 누가 맞는지 전화해서 확인해보자,(주말저녁 아홉시가 넘은 시간에ㅠ)
아무 의도없이 한 객관적인 말도 이렇게 뭐라 할거라면 앞으로는 아무 얘기도 하지 않겠다,
이런 반응들을 하니
또 이혼생각까지 급발진하게되네요...


불가능하단건 내 입장에서는 객관적인 사실이다, 라는 남편의 말에 힘이 빠져서 더이상의 대화를 할 필요성이 안느껴지더군요.

남편은 결혼 초에 비하면 정말정말 많이 개선된것도 사실이지만
남편이 저에게 하는 말들(정신과 약을 먹어라, 산부인과가서 pms약을 받아오자, 운동을해라, 식단을 잘지키라고 하지않았냐, 네가 예민하게 받아들이는것같다 등)때문에 자기확신이나 자존감도 낮아졌고,
실망감도 사년째 쌓이다보니
관계에 대한 인내심도 줄어들어
너무나도 쉽게 이혼으로 생각이 뻗어나가네요ㅠ

남편의 노력과 변화도 알고,
남편을 사랑하지 않는것도 아니고
이혼하면 슬플것같긴 하지만
현재의 삶이 저를 깎아먹는것같이 느껴집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0


별 도움은 안되는 댓글이긴 한데, 전 반대 상황이 몇달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ㅎㅎ
상담받자 해도 같이 안 받고 해서 혼자 하고, 그러면서 불화의 원인은 저에게만 있다고 해서 마음이 답답해서 이혼보단 더 극단적인 생각으로 흘러가더라구요 ㅎㅎ 약 먹고 진정이 되긴 하는데 사는게 쉽진 않습니다. ㅠㅠ

그래도 여기는 고민을 얘기하는데 좋고, 사람들이 날이 덜 서 있어서 이런 저런 얘기 하기 참 좋더라구요.
힘내시고 내외부적으로 커다란 변곡점이 생겨 관계가 개선되길 바라겠습니다.
3
이혼보단 극단적인 생각으로 흐른다는 말씀
정말 공감합니다ㅠ_ㅠ

3년 전엔 생각을 실천으로 옮기려고도 했으나
저도 약을 통해 많이 나아졌습니다.

댓글을 보니 약을 먹고 계신것 같네요 ㅠ
아재님도 관계와 상황이 개선되셔서 지옥같은 마음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시기를 바래봅니다.
whenyouinRome...
글만 보면 남편의 자기객관화가 필요해보이긴 합니다.
자뻑에 취한 전형적인 테크같네요....
남편이 어느 방향에서든 자신이 잘못되었든 아니든 자기 실책이라는 가능성자체를 인정하고싶지않은것 같습니다.
보통 저런 상담에대해서도 극단적 거부를 보이는건 자기에게 그런 잘못이있다는걸 인정하고싶지않기때문이라고 저는 보거든요.
맞춰줄 생각이 아예 없으니 불가능이라고 하는 것이겠지요. 결혼에 대한 가치관이 다르신 것 같은데, 배우자가 보여주는 모습과 내가 바라는 배우자에 대한 관념이 일치하지 않음으로 생기는 실망감이 클 수 밖에 없는 상황 같아보입니다.

들어주신 배우자의 발화양상들에는 문제가 있어보입니다. 저도 저런 말들을 들었다면 마음이 많이 아팠을테고, 해당 결혼에 대해 후회가 들게 될 것 같습니다. 내가 몸이 아픈데 생활 습관 탓을 하며 나를 타박하고, 내가 마음이 아픈데 예민하게 군다는 배우자의 말이 곱게 들리면 그게 더 이상한 것이지요. 그... 더 보기
맞춰줄 생각이 아예 없으니 불가능이라고 하는 것이겠지요. 결혼에 대한 가치관이 다르신 것 같은데, 배우자가 보여주는 모습과 내가 바라는 배우자에 대한 관념이 일치하지 않음으로 생기는 실망감이 클 수 밖에 없는 상황 같아보입니다.

들어주신 배우자의 발화양상들에는 문제가 있어보입니다. 저도 저런 말들을 들었다면 마음이 많이 아팠을테고, 해당 결혼에 대해 후회가 들게 될 것 같습니다. 내가 몸이 아픈데 생활 습관 탓을 하며 나를 타박하고, 내가 마음이 아픈데 예민하게 군다는 배우자의 말이 곱게 들리면 그게 더 이상한 것이지요. 그런 말들에 무게를 두지 마십시오. 일단은, 선생님 스스로를 배우자가 하는 말들에 가두지 않는게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런건 대화가 아닙니다. 생각할 수록 화가나는군요. 선생님의 자존감을 깎아먹게 내버려두지 마십시오. 곱씹고 생각할 가치가 없는 말들입니다.

한편, 상대가 원하는 모습에 맞춰주려는 노력이 없어도 결혼 생활의 지속이 어렵지만, 내가 원하는 욕구의 충족을 배우자에게 의존하는 것도 지속가능한 결혼관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안타깝게도, 부족한 사람들이 만나는 것이 결혼이라, 노력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것을 채워 줄 수는 없습니다. 실망감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나, 그런것들을 채우기 위해서는 가정 바깥의 사회환경 어디에 있을 다른 채널을 찾아야 하는게 우리네 보통인 것 같습니다. 관계 바깥에서 건전하게 채울 수 있는 것들이 있는지 눈을 바깥으로 돌리는 것도 가정 생활의 영위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가족의 구성이라는 것이 의식주, 안정을 포함한 모든 욕구를 채워 줄 것이라는 통념은 그저 이상향인게 아닐까 싶습니다.

사람은 불변의 존재가 아니고, 결혼 생활 역시 마치 유기체처럼 내외적인 자극을 통해서 변화해나갑니다. 이혼으로 이어질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내가 바라는 형태와 방식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것을 선생님 스스로의 탓을 하지는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은 선생님 잘못이 아닙니다. 용기를 내시고, 원하는 삶에 한발 더 가까워지는 내일을 마주하시길 바랍니다.
15
되려 제가 힘을 얻네요. 좋은 말씀 감사해요.
1
정신과 의사선생님도
모두가 사랑을 해서 결혼을 유지하는것은 아니다
라고 하시긴 하더라구요.

근데 제 경우
개인 혼자서의 삶보다는 관계성이 중요하고,
특히나 부부관계에 대한 중요도의 비중이 커서

제가 원하는 안정감을 다른 곳에서 아웃소싱하고,
대화가 통하지 않고,
대화 방식이 안전하지 않은 채로
경제적인 부분이나 행정적인 부분 등에 치중된 결혼생활은

제가 추구하는 방향성이 아니라고
아직까지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ㅠ

조금 더 시간이 지나고 나이가 들면 생각이 바뀌게 될려나요
좋은 말씀 ... 더 보기
정신과 의사선생님도
모두가 사랑을 해서 결혼을 유지하는것은 아니다
라고 하시긴 하더라구요.

근데 제 경우
개인 혼자서의 삶보다는 관계성이 중요하고,
특히나 부부관계에 대한 중요도의 비중이 커서

제가 원하는 안정감을 다른 곳에서 아웃소싱하고,
대화가 통하지 않고,
대화 방식이 안전하지 않은 채로
경제적인 부분이나 행정적인 부분 등에 치중된 결혼생활은

제가 추구하는 방향성이 아니라고
아직까지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ㅠ

조금 더 시간이 지나고 나이가 들면 생각이 바뀌게 될려나요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1
연애, 결혼 모두 행복하자고 하는건데요... 행복하세요? 안행복하세요? 그럼 어째야할까요. 나좋자고 하는거고 나좋자고 사는 인생인데
1
누가크래커
그 저번 글에도 같은 댓글을 달았었는데 본문 남편과 완전히 비슷한 행동들을 하는 지인의 남편이 알고보니 아스퍼거 증후군이었습니다. 똑똑한데 (전문직) 공감 능력 부족하고 그때그때 주관적으로 자기에게 유리한 행동들을 하고 등등..
여튼 남편 본인도 아스퍼거인걸 몰랐다가 결혼하고나서 아내와 대화하다가 깨닫고 그러고 나선 부부관계가 좀 개선이 됐다고 하더군요. 네이버 검색만 해봐도 결혼 전까지 몰랐다가 결혼하고 나니 남편이 아스퍼거인걸 발견하는게 생각보다 흔히 있는 일이라고 하니 한번 얘기 해보심이 어떨까 싶습니다.
1
서로가 현 상태에 대해 객관적인 자각을 하게 되면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것은 맞는 방향성인 것 동의 합니다!!
듣보잡
굳이 남편 측에 이입해 보자면 1번은 그럴 수 있다고 생각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 남편 분이 왜 결혼했는지 모를 정도로 이해하기 힘들긴 하네요. 이제 와서 의미없는 얘기긴 하지만 저렇게 자기중심적인 사람과는 애초에 결혼하지 않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애가 있으신가요? 저라면 애 없으면 무조건 이혼할 거고 지인이라도 그렇게 권유할 것 같네요.
상담도 거부한다는건 자기객관화가 안되고 자기확신에 차 있다는 거라...이혼합니다.

아기가 있으면 더욱요. 보고 배울 거 생각하면 끔찍하잖아요.
제가 조언드릴 능력은 없고
일이 잘 해결되고 선생님이 행복해지면 좋겠습니다
나랑 하고 싶은게 아무것도 없다는 남편과 산지 내년이면 만 10년이 되는데요. 저도 모르겠습니다, 다들 이혼하라는데 이혼하면 과연 내가 행복할지도 모르겠어요.
도움이 되는 얘기는 드릴게 없네요. 힘내보아요 우리ㅠㅠ
이전 글도 그렇고, 오히려 선생님이 결혼생활을 유지하기로 결심하시게 하는 동인이 궁금합니다 이 글만 보고는 하는 이야기니 걸러 들으셔도 좋지만 저라면 뒤도 돌아보지 않고 이혼했을거에요.
상대가 4년 전 대비해서는
정말 많이 개선되었다는 점과,
제가 아직까지는 이혼을 생각하면 슬프기 때문에
결혼을 유지하고있는 것 같습니다ㅠ
마음을 다 써버릴 때까지는 좀 더 노력해보려고 하는데, 요즘은 결혼 초기 대비 인내심과 이해심이 처음 대비 많이 사라진 상태라 자주 급발진 하곤 해요..
그래도 변화의 노력을 해주는 분이시라니 다행입니다! 주제넘었는데 답변주셔서 죄송하고 감사해요 두 분 모두에게 마음의 평화가 찾아오길 바라겠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401 가정/육아칼을 살리고 싶습니다 5 ㅢㅘㅞ 23/11/21 2161 0
15398 가정/육아어린이집 보내는 적정 시기 10 방사능홍차 23/11/19 2833 0
15392 가정/육아김 추천 해 주십시오 8 camy 23/11/16 2216 1
15388 가정/육아우레탄 폼 잘 떨어지나요? 11 토비 23/11/15 2093 0
15361 가정/육아번식욕구과 부모자식간의 관계에 대해서 5 우리학년 23/11/08 2551 0
15360 가정/육아카니발 가솔린 vs 하이브리드 14 the 23/11/07 3019 0
15359 가정/육아아파트 싱크대 물빠짐 문제 12 토비 23/11/07 2518 0
15357 가정/육아온열매트 추천 부탁 드립니다. 자몽에이슬 23/11/07 1882 0
15350 가정/육아미국 과자 많이 파는 상점이 있을까요? 4 Coffee1 23/11/06 3067 0
15345 가정/육아입주박람회 질문 15 dolmusa 23/11/04 2308 0
15341 가정/육아다들 집밥을 어떻게 하시나요? 43 골든햄스 23/11/02 3420 0
15333 가정/육아패밀리카 준중형 vs 중형 suv 18 방사능홍차 23/10/31 2692 0
15332 가정/육아무선청소기 고가형과 저가형 모델 차이 크나요? 15 OneV 23/10/31 2554 0
15236 가정/육아요리용 스프레이는 어디서 구하나요? 7 ㅢㅘㅞ 23/09/22 2538 0
15223 가정/육아불가능이란 단어에 대한 남편과의 입장차이와 소통의 어려움 17 hoho 23/09/17 3566 0
15217 가정/육아초등학생 의자 어떤 게 좋은가요? 9 아저씨무시하지마 23/09/15 2494 0
15214 가정/육아영상과 사진 겸할 수 있는 카메라 추천 부탁드립니다 22 린디합도그 23/09/14 2565 0
15089 가정/육아인테리어 업체 3개 중 어떤 곳이 나을까요? 10 wwe13kane 23/07/28 2431 0
15086 가정/육아육아고수님들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39 swear 23/07/27 2869 0
15072 가정/육아자취방에 자꾸 이유 모를 먼지?가 생깁니다 9 tenky 23/07/24 3630 0
15070 가정/육아식빵 대량으로 냉동실에 넣어보신 분 있나요? 24 트린 23/07/24 2672 0
15066 가정/육아신축 이사 질문 19 Paraaaade 23/07/22 2611 0
15061 가정/육아이혼... 고민입니다. 19 [익명] 23/07/20 3958 0
15058 가정/육아사랑하는걸까요? 20 hoho 23/07/20 3738 2
15051 가정/육아무쇠팬 사이즈 고민 & 브랜드 추천 14 양라곱 23/07/19 252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