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11/10 17:58:23
Name   [익명]
Subject   비정규직(인턴)의 공가 사용 권장에 대한 법률이 있나요?
안녕하십니까
노무법? 노동법? 관련되어 사건이 발생되어 갑작스런 해법이 필요한 사항이 되었습니다.


일단 제가 다니는 곳은 제대로 된 업무규정, 인사규정이 없다고 볼 정도로 열악합니다.(있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인턴에게 복리후생 중 하나인 건강검진이 인턴이란 이유로 규정에 안줘야 된다는 명시도 없는데 불허되어 해당 인원이 국가검진을 신청하였습니다.
여기서 발생한 문제로, "국가 검진이니 공가를 줄 수 없다" 라는 최종 결정권자의 지시에 의해 그나마 올린 공가 역시 취소되었습니다.

별도의 명확한 규정이 없는 상황에서 1. 건강검진 등 복리비용, 연차수당지급을 아끼기 위해서, 2. 인턴을 내보내는 전환없이 내보내기 위한 준비 단계로 진행되는 이번 사건에 대응하기 위해

혹시 인턴 입장에서 살펴볼 만한 법령적 근거자료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뛰어나신 법률 자문가가 많은 홍차넷 회원분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0


법알못 입니다만, 공가를 부여해야한다는 없을 것 같은데 건강검진 누락시 과태료는 법인에 부여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건강검진은 일반적으로 2년에 한번만 받으면 되니 인턴에게 공가를 줄 수 없다는 것이 말이 안되는 것은 아닌듯 하네요.
1
카리나남편
보통 취업할때 건강검진 받은거 내지 않나요? 그걸로 첫해는 해결하고 그 다음에는 건강검진 해당 해에 받으면 되니 인턴이면 이미 취업할때 건강검진해서 당해년도에 직장인 건강검진 의무가 없을건데요?? 물런 이건 저희 기준이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1
당근매니아
Q. 건강검진 시간을 유급으로 부여하여야 하는지 여부
-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건강진단 시간을 유급으로 부여해야 한다는 명시적 규정은 없습니다. 따라서 취업규칙 등에 건강검진 시간에 대해 유급으로 규정한 사항이 있지 않는 한, 무급으로 부여하여도 법 위반으로 볼 수는 없습니다.
- 그러나 건강진단이 사업주의 의무사항인 점을 고려할 때, 무급으로 부여하거나 개인 연차휴가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고용노동부 역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일반건강진단을 대신하여 국민건강보험법상 건강검진을 하는 경우라면 건강검진에... 더 보기
Q. 건강검진 시간을 유급으로 부여하여야 하는지 여부
-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건강진단 시간을 유급으로 부여해야 한다는 명시적 규정은 없습니다. 따라서 취업규칙 등에 건강검진 시간에 대해 유급으로 규정한 사항이 있지 않는 한, 무급으로 부여하여도 법 위반으로 볼 수는 없습니다.
- 그러나 건강진단이 사업주의 의무사항인 점을 고려할 때, 무급으로 부여하거나 개인 연차휴가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고용노동부 역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일반건강진단을 대신하여 국민건강보험법상 건강검진을 하는 경우라면 건강검진에 소요되는 시간은 유급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195조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의 건강진단이 원활히 실시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근로시간 중에 건강검진에 소요되는 시간 전체를 유급으로 부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됩니다.

편의상 긁어왔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462 법률국민참여재판에 당첨되었읍니다? 4 Groot 23/12/14 2080 0
15457 법률퇴근하고 집에 왔는데 법원 형사과 등기가?? 6 Groot 23/12/13 3812 0
15451 법률아파트 명의변경관련 질문입니다. 2 [익명] 23/12/12 2101 0
15433 법률게임 아이템 매매로 인한 세금 질문 3 [익명] 23/12/07 2458 0
15428 법률다음 중 명도소송비용의 납부 주체는 누구일까요? 2 cummings 23/12/04 3092 0
15369 법률비정규직(인턴)의 공가 사용 권장에 대한 법률이 있나요? 3 [익명] 23/11/10 2105 0
15342 법률자동차 공동명의 관련 질문입니다. 9 [익명] 23/11/02 2311 0
15331 법률(퇴사정산) 이 경우에도 차감징수세액 돌려받는게 맞나요? 3 even&odds 23/10/30 1769 0
15311 법률전입신고 질문입니다. 4 kogang2001 23/10/24 1922 0
15289 법률상해 3주면 어느 정도 처벌이 나올까요? 8 [익명] 23/10/12 2907 0
15199 법률꽤 크게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12 원금복구제발ㅠㅠ 23/09/10 2887 1
15146 법률상가 보증금 문제 입니다 2 블랙엔젤 23/08/20 2009 0
15145 법률투자사기를 당한것 같습니다ㅠㅠ 3 [익명] 23/08/19 2512 0
15121 법률근로계약서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7 [익명] 23/08/09 2244 0
15068 법률민사에서 이겨도 돈 못받는 경우 18 매뉴물있뉴 23/07/24 3416 0
15054 법률안 좋게 나간 퇴사 근로자가 권익위원회에 신고를 했다는데... 7 [익명] 23/07/19 2500 0
15046 법률아파트 매매시 주의사항을 알고 싶습니다 7 [익명] 23/07/17 2637 0
15035 법률직장인인데 강의해서 수익을 내는 것이 허용되나요? 11 nm막장 23/07/15 2932 0
14966 법률전세집 조명 파손 시 세입자 입장 6 하마소 23/06/26 1697 0
14945 법률전세재계약 관련 질문입니다 7 [익명] 23/06/20 2866 0
14936 법률부동산 전월세 계약만료 관련 질문드립니다. 3 왼쪽의지배자 23/06/16 2565 0
14927 법률신호가 없는 골목->도로 진입 방법 퓨리 23/06/15 2626 0
14850 법률임대 작업실에 열쇠 설치 4 [익명] 23/05/25 2287 0
14802 법률전입신고 질문입니다 4 아서 모건 23/05/11 3634 0
14796 법률어머니 생활비 보내드리는거 증여세 질문입니다. 8 Picard 23/05/10 416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