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4/07/02 18:46:09 |
Name | [익명] |
Subject | 형제자매 간 부동산 거래 관련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
질문자와 가족의 개인적인 상황이 포함되어 있어 부득이하게 익명으로 질문 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상황 개요] 1. 부모님과 자녀 2명이 경기도 소재 아파트에 함께 살고 있음. 부모님은 직장 및 병원 문제로 최소 2년간 이 지역을 떠나기 어려움. 2. 아파트 구입 당시(2018. 11.) 가격은 1억 9천만원, 현재 시가는 2억 8천만원(KB부동산 기준). 잔여 주담대 1억 2천만 원. 3. 아파트 소유자인 자녀 1은 현재 매우 강렬히 무주택자가 되고 & 목돈을 마련하고 싶어하며(사유는 결혼 준비로 추정. 물론 지금 만나는 사람과 결혼할지 어떨지는 모름) 자녀 2에게 아래와 같은 제안을 함. [제안 목록] 1. 자녀 1이 자녀 2에게 아파트를 시가의 95% 정도에 매각 (장점: 집이 남음 / 단점: 자녀 2가 주담대 승계하고 보유 현금을 다 쓰더라도 추가 대출을 5천만원 이상 받아야 함) 2. 자녀 1이 자녀 2에게 전세를(시가 2억 1천만원) 주는 형태로 돈을 빌려서 나감 (장점: 집이 남음, 매매보다 덜 번거로움? / 단점: 자녀 2가 대출을 1억 원 이상 받아야 함. 특수관계라 전세대출 안 될 가능성 큼) 3. 자녀 2가 다른 집 전세를 얻어서 부모님과 함께 나가고 현재 아파트는 타인에게 매각 (장점: 특수거래 문제를 신경 쓸 필요 없음 / 단점: 이사 가야 하고 부모님의 주거가 불안정해짐. 집이 언제 팔릴지 모름) 이렇게 쓰고 보니 1번 제안이 그나마 답인가 싶기는 한데... 문제는 자녀 2 즉 질문자가 이 본인 직장에서는 멀기만 하고 지저분하고 낡은 아파트를 사는 것이 별로 내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다른 집을 살 돈도 계획도 없지만... 아무튼 자녀 1의 소원을 들어 주기는 해야겠다면, 자녀 2의 입장에서 위 제안 중 어떤 것이 가장 나을지, 또는 다른 더 좋은 방법이 있을지 부디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ㅠㅠ 0
|
구입 당시 자녀 1이 자녀 2에게 빌려간 돈은 다 갚았으니(물론 무이자...) 현재는 온전히 자녀 1의 자본이라 할 수 있겠네요. 역시 3번일까요... 자녀 2와 부모님 간 세대분리는 이미 되어 있습니다(자녀 1이 현재 아파트의 세대주, 자녀 2가 무주택 세대원). 부모님이 현재 사실상 폐가 상태(...)의 시골 집을 보유하고 계셔서 부모님의 주소는 거기로 되어 있고요... 아 근데 이러면 임대주택 같은 데 들어가기 위해서는 그 집부터 처분해야겠군요. ㅠㅠ
저라면 다른 자녀와 쇼부쳐서 매매합니다. 빠른 현금화를 얻고 부모에 대한 죄책감을 더는대신 다른 자녀는 잠정이익을 일부 얻고 부모에 대한 편한마음과 향후 급전필요시 받아줄사람없는 상황적 불안감을 받는거죠. 지금 평가이익이 9천인데, 최대 15%할인 받으면 평가이익을 절반 나누는 꼴이고, 10% 할인정도면 이야기해볼만합니다. 2.8억 아파트면 현금화가 쉽지않은 자산인데 10%정도는 디스카운트하는게 합당하지 않나 싶습니다.
현재 자산보유중인 자녀또한 그냥 팔면되는데 굳이 울면서 농성하는건 부모를 길거리에 내보내는게 불편해서거든요... 더 보기
현재 자산보유중인 자녀또한 그냥 팔면되는데 굳이 울면서 농성하는건 부모를 길거리에 내보내는게 불편해서거든요... 더 보기
저라면 다른 자녀와 쇼부쳐서 매매합니다. 빠른 현금화를 얻고 부모에 대한 죄책감을 더는대신 다른 자녀는 잠정이익을 일부 얻고 부모에 대한 편한마음과 향후 급전필요시 받아줄사람없는 상황적 불안감을 받는거죠. 지금 평가이익이 9천인데, 최대 15%할인 받으면 평가이익을 절반 나누는 꼴이고, 10% 할인정도면 이야기해볼만합니다. 2.8억 아파트면 현금화가 쉽지않은 자산인데 10%정도는 디스카운트하는게 합당하지 않나 싶습니다.
현재 자산보유중인 자녀또한 그냥 팔면되는데 굳이 울면서 농성하는건 부모를 길거리에 내보내는게 불편해서거든요.. 처음에야 10%할인에 길길이 날뛰겠지만 태도를 고수하면 받을걸로 봅니다. 또는 잠정이익 반반을 일단 먼저던지는게 협상에 유리할수 있습니다
30%까지는 텍스이슈없습니다
현재 자산보유중인 자녀또한 그냥 팔면되는데 굳이 울면서 농성하는건 부모를 길거리에 내보내는게 불편해서거든요.. 처음에야 10%할인에 길길이 날뛰겠지만 태도를 고수하면 받을걸로 봅니다. 또는 잠정이익 반반을 일단 먼저던지는게 협상에 유리할수 있습니다
30%까지는 텍스이슈없습니다
자녀 2 입장에서, 시가의 95% 에 거래할 거면 굳이 1 할 필요가 없죠. 2.8억에 내놓으면 바로 팔리는 집이 아니라면, 빠른 거래를 위해서 10% 정도 디스카운트 하는 건 시장가입니다. 특수관계인 거래 가격이 아니고요.
저는 2.3억 정도 거래가가 돼야 자녀 2 입장에서 고민이라도 해 볼만한 문제라고 봅니다.
자녀 1 입장에서도, 2.8억에 팔 자신이 있으면 파는 게 낫죠.
부모님 주거 문제요?
일단 주머니에 돈을 채워 놓고 고민하면 됩니다.
저는 2.3억 정도 거래가가 돼야 자녀 2 입장에서 고민이라도 해 볼만한 문제라고 봅니다.
자녀 1 입장에서도, 2.8억에 팔 자신이 있으면 파는 게 낫죠.
부모님 주거 문제요?
일단 주머니에 돈을 채워 놓고 고민하면 됩니다.
그럼 더더욱 2.8은 말이 안됩니다.. 시가는 2.4억으로 봐야죠. 그정도 상황이면 1.9억에 거래 후 차익 5천은 향후 최종 매각시 정산 방식도 고려해야한다고 봅니다.
최초제안 1.9억 원가수준매매. 대출이야기는 꺼내지도 마시고 돈이 그게뿐이라 주장
상대자녀가 실제로 시장매매 움직임이 보이면
원가 1.9억에 차익은 최종처분 후 정산(상대자녀는 1.9억으로 그동안 투자, 향후는 상대주장 차익 8천만큼 재투자. 글쓴분은 지금부터 1.9억 투자가정으로 안분)
이게 너무 복잡하면 사실 내가 숨은 빚이 있어서 대출 다받아... 더 보기
최초제안 1.9억 원가수준매매. 대출이야기는 꺼내지도 마시고 돈이 그게뿐이라 주장
상대자녀가 실제로 시장매매 움직임이 보이면
원가 1.9억에 차익은 최종처분 후 정산(상대자녀는 1.9억으로 그동안 투자, 향후는 상대주장 차익 8천만큼 재투자. 글쓴분은 지금부터 1.9억 투자가정으로 안분)
이게 너무 복잡하면 사실 내가 숨은 빚이 있어서 대출 다받아... 더 보기
그럼 더더욱 2.8은 말이 안됩니다.. 시가는 2.4억으로 봐야죠. 그정도 상황이면 1.9억에 거래 후 차익 5천은 향후 최종 매각시 정산 방식도 고려해야한다고 봅니다.
최초제안 1.9억 원가수준매매. 대출이야기는 꺼내지도 마시고 돈이 그게뿐이라 주장
상대자녀가 실제로 시장매매 움직임이 보이면
원가 1.9억에 차익은 최종처분 후 정산(상대자녀는 1.9억으로 그동안 투자, 향후는 상대주장 차익 8천만큼 재투자. 글쓴분은 지금부터 1.9억 투자가정으로 안분)
이게 너무 복잡하면 사실 내가 숨은 빚이 있어서 대출 다받아도 2.2가 한계라고 주장(10% 디스카운트)
받을거라봐요
최초제안 1.9억 원가수준매매. 대출이야기는 꺼내지도 마시고 돈이 그게뿐이라 주장
상대자녀가 실제로 시장매매 움직임이 보이면
원가 1.9억에 차익은 최종처분 후 정산(상대자녀는 1.9억으로 그동안 투자, 향후는 상대주장 차익 8천만큼 재투자. 글쓴분은 지금부터 1.9억 투자가정으로 안분)
이게 너무 복잡하면 사실 내가 숨은 빚이 있어서 대출 다받아도 2.2가 한계라고 주장(10% 디스카운트)
받을거라봐요
제가 오해했다면 죄송합니다. 근데 가족관 금전 거래는 안하는게 맞지 싶습니다. 작은돈이 아닌데 좋은게 좋은거지란 마인드는 누군가 백퍼 후회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