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4/09/11 16:23:37수정됨 |
Name | 피스타입 |
Subject | 대한민국의 공군력은 유럽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일까요? |
안녕하세요. 평화가 제 타입인 피스타입입니다. 그렇지만...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에 대비하라는 격언이 있지요. 어쩔 수 없이 대한민국은 육해공 모두 손꼽히는 강군일 수밖에 없는 현실이 다소 안타깝기도 합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공군력은 제가 알기론 다음과 같습니다. F-35A 39기 F-15K 59기(몇 년 후 업그레이드 예정) KF-16 및 KF-16U 총 131기(50기 이상이 U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완료, 현재 업그레이드 진행중) F-16PBU 34기(전량 블록 50/52 수준으로 업그레이드 완료) FA-50 60기 KF-5E 및 KF-5F 총 61기(몇 년 후 퇴역 예정) 유럽에서 손꼽히는 공군력을 갖춘 영국의 공군력은 제가 알기론 다음과 같습니다. F-35B 33기(유사시 퀸 엘리자베스 항공모함에 탑재) 유로파이터 타이푼 107기 프랑스의 공군력은 다음과 같다고 알고 있습니다. 라팔 92기 미라주 2000 100기 독일의 공군력은 다음과 같다고 알고 있습니다. 유로파이터 타이푼 141기 파나비아 토네이도 IDS 68기 네이버 지식in에 문의해본 결과, 어떤 답변자분께서는 "현시점에서 대한민국 공군보다 확실히 강한 공군력을 갖춘 유럽국가는 없다. 러시아는 유럽+아시아이므로 논외로 쳐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제가 알기로, 대한민국은 극단적으로 육군력(특히 탱크와 자주포 전력)에 몰빵한 국가입니다. 그러다보니 해군력과 공군력이 많이 약하다고 알고 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많이 약한 공군력까지 유럽에서 최강 수준이라는 건 솔직히 믿기가 쉽지 않습니다. 물론 대한민국은 내로라하는 탑클래스 강대국들과 국제법을 대놓고 무시하는 핵보유국에 포위당한 상황인 만큼, 어쩌면 이스라엘 이상으로 지정학적으로 위태로운 입장이란 걸 감안해야겠지만요. 혹시라도 공군 출신이시거나 공군에 대해 관심이 많으신 분들께서 이 글을 읽으셨다면 부디 댓글을 달아주시면 깊이 감사드리겠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피스타입님의 최근 게시물 |
@클로드 IISS, GFP, SIPRI 등의 보고서를 참고해서 한국의 국방력 중 특히, 공군 군사력을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 줄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다군님. 군사력 비교는 복잡한 주제네요. 제가 아는 바로는 한국 공군이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 상당히 경쟁력 있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IISS나 GFP 같은 기관들의 보고서를 보면, 한국 공군은 전투기 수나 현대화 수준에서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대등하거나 앞서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F-35, F-15K 같은 최신예 전투기 보유량이 눈에 띕니다.
다만 정확한 순위 매기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각국의 지리적 특성이나 국방 전략이 다르니까요.
한 가지 확실한 건, 한국 공군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는 거예요. KF-21 ... 더 보기
IISS나 GFP 같은 기관들의 보고서를 보면, 한국 공군은 전투기 수나 현대화 수준에서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대등하거나 앞서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F-35, F-15K 같은 최신예 전투기 보유량이 눈에 띕니다.
다만 정확한 순위 매기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각국의 지리적 특성이나 국방 전략이 다르니까요.
한 가지 확실한 건, 한국 공군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는 거예요. KF-21 ... 더 보기
안녕하세요 다군님. 군사력 비교는 복잡한 주제네요. 제가 아는 바로는 한국 공군이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 상당히 경쟁력 있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IISS나 GFP 같은 기관들의 보고서를 보면, 한국 공군은 전투기 수나 현대화 수준에서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대등하거나 앞서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F-35, F-15K 같은 최신예 전투기 보유량이 눈에 띕니다.
다만 정확한 순위 매기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각국의 지리적 특성이나 국방 전략이 다르니까요.
한 가지 확실한 건, 한국 공군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는 거예요. KF-21 같은 국산 전투기 개발도 진행 중이고요.
군사력 평가는 정말 복잡한 주제라 제 지식으로는 한계가 있네요. 더 전문적인 분석은 국방 전문가의 견해를 들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IISS나 GFP 같은 기관들의 보고서를 보면, 한국 공군은 전투기 수나 현대화 수준에서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대등하거나 앞서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F-35, F-15K 같은 최신예 전투기 보유량이 눈에 띕니다.
다만 정확한 순위 매기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각국의 지리적 특성이나 국방 전략이 다르니까요.
한 가지 확실한 건, 한국 공군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는 거예요. KF-21 같은 국산 전투기 개발도 진행 중이고요.
군사력 평가는 정말 복잡한 주제라 제 지식으로는 한계가 있네요. 더 전문적인 분석은 국방 전문가의 견해를 들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Gpt한테 물어봤습니다.
대한민국의 공군력은 아시아에서 상위권에 속하며,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도 상당한 수준입니다. 다만, 유럽 국가들은 각자의 역사적 배경, 경제적 능력, 그리고 군사적 필요에 따라 공군 전력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어 직접적인 비교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한국 공군과 유럽 주요 국가들의 공군력을 비교하는 몇 가지 요소입니다.
1. 규모 및 항공기 수
대한민국 공군은 약 700대 이상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경쟁력 있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
영국:... 더 보기
대한민국의 공군력은 아시아에서 상위권에 속하며,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도 상당한 수준입니다. 다만, 유럽 국가들은 각자의 역사적 배경, 경제적 능력, 그리고 군사적 필요에 따라 공군 전력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어 직접적인 비교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한국 공군과 유럽 주요 국가들의 공군력을 비교하는 몇 가지 요소입니다.
1. 규모 및 항공기 수
대한민국 공군은 약 700대 이상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경쟁력 있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
영국:... 더 보기
Gpt한테 물어봤습니다.
대한민국의 공군력은 아시아에서 상위권에 속하며,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도 상당한 수준입니다. 다만, 유럽 국가들은 각자의 역사적 배경, 경제적 능력, 그리고 군사적 필요에 따라 공군 전력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어 직접적인 비교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한국 공군과 유럽 주요 국가들의 공군력을 비교하는 몇 가지 요소입니다.
1. 규모 및 항공기 수
대한민국 공군은 약 700대 이상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경쟁력 있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
영국: 약 700대 항공기 (RAF)
프랑스: 약 650대 항공기 (Armée de l'Air)
독일: 약 400대 항공기 (Luftwaffe)
이 중 대한민국은 KF-16, F-15K, F-35A와 같은 최신 전투기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2. 기술적 능력
대한민국은 F-35A 같은 5세대 스텔스 전투기를 도입하여 공군 전력을 현대화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한국은 독자적인 전투기인 KF-21 보라매를 개발 중입니다. 이는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기술적인 면에서 매우 경쟁력 있는 요소입니다.
유럽에서는 프랑스가 라팔(Rafale), 영국과 이탈리아가 타이푼(Eurofighter Typhoon) 전투기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 국가도 F-35를 도입하여 스텔스 전력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3. 훈련 및 작전 능력
대한민국은 정기적으로 미군과의 합동 훈련을 통해 실전 경험과 작전 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조종사 훈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유럽 국가들 역시 NATO의 일원으로 다양한 합동 훈련에 참여하며, 작전 경험과 훈련의 수준이 매우 높습니다.
4. 지리적 요소 및 전략
대한민국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상시적으로 염두에 두고 있어 방어 위주의 공군력 운영이 이루어집니다. 반면 유럽 국가들은 국제적인 작전 능력을 보다 중시하며, NATO와의 협력을 통해 다국적 작전 수행 능력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5. 핵심 전력 비교
유럽의 주요 국가들(예: 프랑스, 영국)은 핵무기 운용 능력을 갖춘 전력도 보유하고 있는 반면, 대한민국은 비핵화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전략적 능력에 있어 차별점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의 공군력은 아시아에서는 매우 강력하며, 유럽 주요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도 항공기 수와 기술력에서 우수한 부분이 많습니다. 다만, 유럽의 일부 국가들은 전세계적 작전 수행 능력이나 핵무기 운용과 같은 전략적 능력에서 더 큰 강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공군력은 아시아에서 상위권에 속하며,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도 상당한 수준입니다. 다만, 유럽 국가들은 각자의 역사적 배경, 경제적 능력, 그리고 군사적 필요에 따라 공군 전력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어 직접적인 비교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한국 공군과 유럽 주요 국가들의 공군력을 비교하는 몇 가지 요소입니다.
1. 규모 및 항공기 수
대한민국 공군은 약 700대 이상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경쟁력 있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
영국: 약 700대 항공기 (RAF)
프랑스: 약 650대 항공기 (Armée de l'Air)
독일: 약 400대 항공기 (Luftwaffe)
이 중 대한민국은 KF-16, F-15K, F-35A와 같은 최신 전투기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2. 기술적 능력
대한민국은 F-35A 같은 5세대 스텔스 전투기를 도입하여 공군 전력을 현대화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한국은 독자적인 전투기인 KF-21 보라매를 개발 중입니다. 이는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기술적인 면에서 매우 경쟁력 있는 요소입니다.
유럽에서는 프랑스가 라팔(Rafale), 영국과 이탈리아가 타이푼(Eurofighter Typhoon) 전투기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 국가도 F-35를 도입하여 스텔스 전력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3. 훈련 및 작전 능력
대한민국은 정기적으로 미군과의 합동 훈련을 통해 실전 경험과 작전 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조종사 훈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유럽 국가들 역시 NATO의 일원으로 다양한 합동 훈련에 참여하며, 작전 경험과 훈련의 수준이 매우 높습니다.
4. 지리적 요소 및 전략
대한민국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상시적으로 염두에 두고 있어 방어 위주의 공군력 운영이 이루어집니다. 반면 유럽 국가들은 국제적인 작전 능력을 보다 중시하며, NATO와의 협력을 통해 다국적 작전 수행 능력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5. 핵심 전력 비교
유럽의 주요 국가들(예: 프랑스, 영국)은 핵무기 운용 능력을 갖춘 전력도 보유하고 있는 반면, 대한민국은 비핵화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전략적 능력에 있어 차별점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의 공군력은 아시아에서는 매우 강력하며, 유럽 주요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도 항공기 수와 기술력에서 우수한 부분이 많습니다. 다만, 유럽의 일부 국가들은 전세계적 작전 수행 능력이나 핵무기 운용과 같은 전략적 능력에서 더 큰 강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공군력이라는 단어에 너무 많은 의미가 포함되어 있어서..
영프독 하나하나가 우리보다 공업력이나 나라의 체급이 우월한 국가라
현재 들고 있는것들만 놓고 보면 꿀리는건 없을거에요. 딱 거기까진 말할수 있겠네요.
eu국가들이야 우러전쟁전까진 적도 없었고 미국에 프리라이딩 해서 국방비 쓸돈으로 꿀빨고 있었으니까요
근데 만약 힘을 뽑아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저 나라들이 우리보다 떨어지진 않을겁니다.
영프독 하나하나가 우리보다 공업력이나 나라의 체급이 우월한 국가라
현재 들고 있는것들만 놓고 보면 꿀리는건 없을거에요. 딱 거기까진 말할수 있겠네요.
eu국가들이야 우러전쟁전까진 적도 없었고 미국에 프리라이딩 해서 국방비 쓸돈으로 꿀빨고 있었으니까요
근데 만약 힘을 뽑아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저 나라들이 우리보다 떨어지진 않을겁니다.
공군력은 사실 <작전거리>가 전체 전력에 미치는 영향이 너무 커서, 단순히 전투기 대수로 비교하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의 경우 한반도 기준으로 중국 선양군구나 베이징군구까지가 사실상 한계일 것 같고, 유럽도 영국 기준으로 독일 이상 넘어가긴 힘들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항모가 중요하지만, 한국의 경우 이미 불침항모 한반도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서해에 굳이 항모를 밀어넣을 필요가 없구요.
한국의 경우 한반도 기준으로 중국 선양군구나 베이징군구까지가 사실상 한계일 것 같고, 유럽도 영국 기준으로 독일 이상 넘어가긴 힘들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항모가 중요하지만, 한국의 경우 이미 불침항모 한반도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서해에 굳이 항모를 밀어넣을 필요가 없구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