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4/11/07 06:20:54수정됨
Name   [익명]
Subject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인생 잘못 살아온거 같습니다. 우울함을 어떻게 하면 떨칠수 있을까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투자..중요하긴한데 그게 본인이 쌓아온 노력의 증거를 허무하고 우울하기 만들정도로 중요한건가요-_-;;

다들 하는 말이지만 투자 그것도 시드가 있어야하는거고
잘못했다가 본전도 못찾는 경우도 수두룩합니다.
옆에 어쩌다가 미리 운빨터진 또래 보시고 이상한 생각이 드신거 같은데 투자는 어디까지나 본인일에 플러스 알파가 되어야지 그가 주가 되면 안됩니다. 인간이 망가져요.

너무 늦은거 아닌가 하시지만 원래 경제의 때라는게 있다가도 없고 어느 순간 호황이 왔다가 꼴아박고 합니다.
지금에서야 과거를 돌아보니
엄청난때였다.... 더 보기
투자..중요하긴한데 그게 본인이 쌓아온 노력의 증거를 허무하고 우울하기 만들정도로 중요한건가요-_-;;

다들 하는 말이지만 투자 그것도 시드가 있어야하는거고
잘못했다가 본전도 못찾는 경우도 수두룩합니다.
옆에 어쩌다가 미리 운빨터진 또래 보시고 이상한 생각이 드신거 같은데 투자는 어디까지나 본인일에 플러스 알파가 되어야지 그가 주가 되면 안됩니다. 인간이 망가져요.

너무 늦은거 아닌가 하시지만 원래 경제의 때라는게 있다가도 없고 어느 순간 호황이 왔다가 꼴아박고 합니다.
지금에서야 과거를 돌아보니
엄청난때였다..!하실지 몰라도 그때 투자는 엄청난 리스크를 지고 뛰어드는 도박일 경우가 더 많았을겁니다. 무슨 종목이든 한탕은 발한번 잘못내디는 순간 골로가는게 당연하고 본인이 무조건 이걸 회피할수있다고 생각하는건 큰 오산입니다
늦었다고 생각하는거보다는 시드를 장전할 소득이 되었으니 이제 슬슬 공부 및 투자의 때가 왔다고 생각하시는게 더 알맞을듯합니다.
[글쓴이]
주변에서 일 대충하다가 투자로 수천 수억 땡긴 사람 보니 마음이 허해졌나 봅니다.
다람쥐
이건 너무 예외적이고 운이 가미되어 있는거죠.
이런 사람 보면서 부러워하는건 주말에 로또 사면서 아 나는 왜 로또가 당첨이 안될까 하면서 주중에 스트레스받는거랑 똑같은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그렇게 영양가없는 행위에요. 스트레스 안받으시고 현생 충실하시면 일 능률도 오르고 다음 투자처도 더 잘 찾아지실거라고 생각합니다
[글쓴이]
조언 감사합니다.
다람쥐
집 사셨으면 훌륭합니다 인생이 허무할만큼 망한 투자는 아닌것 같아요
7
[글쓴이]
그나마 제때 집산건 천만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집있고 연봉 높으시니 괜찮은 거 아닐까요?
둘다 안되는 사람도 많은걸요.
자기 커리어에 투자하신 셈인데 그게 최고라는 투자대가들도 있습니다. 이제부터 노후대비하실 것만 모으시면 되죠.
[글쓴이]
커리어 투자라는 게 너무 수익률이 낮았던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좀 힘든 마음이었습니다.
성공하신 많은 분들을 보면 재테크로 유명한 사람은 별로 없잖아요. 커리어 투자가 정도가 맞는 것 같습니다.
[글쓴이]
말씀 감사합니다.
하우두유두
부동산 이후에는 이제부터 노후대비 +로 금융자산을 축적하는게 어떨까요? 저도 그렇게 실행중입니다.
[글쓴이]
그러다보니 너무 늦었나 싶은 생각이 들어서 우울해졌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1
사이시옷
선생님..
연봉도, 자가 소유도 평범하지 않으십니다..

선생님이 망하셨으면 대한민국 국민 과반수 이상이 망했습니다.
이제까지 정말 잘 해오셨어요.

자꾸 금융소득의 가치가 근로소득에 비해 높아보인다고 해도,
투자로 망하는 사람 정말 많습니다. 하지만 망했다고 자랑하는 경우는 없으니
대부분 돈을 번것처럼 보이기 십상입니다.

제가 전에 삼전 상무 출신 상사를 모신적이 있는데,
이분은 60대 이후에 투자하셨는데 대성공이었습니다.
든든한 시드(연봉) + 사회적 지위에서 오는 좋은 정보 + 스스로의 공부 삼박자가 맞... 더 보기
선생님..
연봉도, 자가 소유도 평범하지 않으십니다..

선생님이 망하셨으면 대한민국 국민 과반수 이상이 망했습니다.
이제까지 정말 잘 해오셨어요.

자꾸 금융소득의 가치가 근로소득에 비해 높아보인다고 해도,
투자로 망하는 사람 정말 많습니다. 하지만 망했다고 자랑하는 경우는 없으니
대부분 돈을 번것처럼 보이기 십상입니다.

제가 전에 삼전 상무 출신 상사를 모신적이 있는데,
이분은 60대 이후에 투자하셨는데 대성공이었습니다.
든든한 시드(연봉) + 사회적 지위에서 오는 좋은 정보 + 스스로의 공부 삼박자가 맞으셨어요.

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이제부터 공부하셔도 안늦으실겁니다.
이상 40대 중반 연봉 5천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사람이었습니다.
6
[글쓴이]
급하게 생각하지 말라는 말씀 새겨듣겠습니다.
맥주만땅
커리어 투자만큼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다른 투자의 성공은 부산물입니다
2
[글쓴이]
힘이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헬리제의우울
너 왜 나 우울하게 함?
17
듣보잡
딱 여기만 댓 없는거 개웃기네요 ㅋㅋ
[글쓴이]
뭐라고 답변을 달아야 할지 모르겠어서 건너뛰었습니다.
헬리제의우울
웃자고 쓴거니까 웃어주세요ㅎㅎ
2
남과 비교하셔서 그렇습니다.
사실 회사 = 내 인생이 아니긴 하죠.
회사 대충 다니면서 코인으로 성공한 사람도 있는 반면에 회사 다니면서 번 돈 코인으로 다 날린 사람도 있거든요.
[글쓴이]
비교 안하려고 해도 쉽지 않은게 인간 마음인가 봅니다.
그르니에
가장 좋은 재테크가 연봉상승이라는 이야기도 있죠
[글쓴이]
그렇게 믿고 살아오긴 했습니다만. 약간 현타가 오고 우울함이 와서 고민상담 겸 올려봤습니다.
안평범하세여~~~잘하고계심
[글쓴이]
위로 감사합니다.
이 질문을 저에게 그대로 적용하면 서브3 못해서 우울합니다가 되는 겁니다?

자동차도 고르다 보면 모닝에서 G바겐 가듯이, 적정선은 선생님께서 그으셔야 합니다. 자신의 발전을 위한 비교도 물론 좋고 중요하지만, 현재 상황에서의 기준 선은 명확해야죠.
2
[글쓴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자몽에이슬
ㅋㅋㅋ 초면에 웃어서 죄송합니다만

저는 가족이 투자사기 당하거나 친구중에 단기거래 잘못했다가 물려서 큰돈 쓰고 있는 사람 등등이 많아서요.
이야기 들어보면 투자에 성공한 극소수와 비교해서 난 왜 못했지 라고 생각하고 덤비다가 망한게 다 위에 사람들 입니다.
성공한 사람들만 보시면 내게 주어진 기회를 놓친 것처럼 보이시겠지만 성공한 사람만이 자랑하고 실패한 사람들은 자랑하지 않습니다.
투자와 투기의 차이점을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글쓴이]
뼈때리는 말씀 감사합니다.
자몽에이슬
제 말투에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가지고 계신 기준이 틀리시겠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선생님은 충분히 성공하신 삶으로 보일 것 같습니다.
위만 보시기 보다는 아래도 보시면 조금더 삶의 만족도가 생기지 않으실까 싶습니다.
[글쓴이]
아닙니다. 잘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허락해주세요
우울해하시는 것 까지는 뭐 인간이면 다 그럴 수 있지요. 사람이 이성적일 수만은 없으니까요. 근데 이러다가 이상한 물 들어서 그럼 나도 한번...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글쓴이]
네 주의하겠습니다.
위에 옴닉님도 말씀하셨지만 결국 기준점을 어떻게 잡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 선생님보다 훨씬 낮은 연봉이고, 저역시도 투자나 노후 준비가 되지않은 비슷한 나이지만 딱히 우울하지는 않습니다.
어느정도 선이 제가 만족할만한 기준이고 그 안에서 행복하게 살지를 고민하는 편이여서요.
물론 가끔 저보다 훨씬 많이 버시는 분들을보면서 부럽긴 하지만 뭐 제 상황이 그렇지 못하면 그쪽을 바라보지 않는게 정신건강에 좋으니까요.
선생님께서는 지금도 훌륭하게 살고 계십니다. 다만, 현재의 지위가 있으시니 그보다 높은곳을 바라보게 되셔서 그런거 같은데 이부분을 잘 조율해보시기 바랍니다.
아 제가 할말만 하다보니 중요한걸 말씀 못드렸네요.
투자를 하신다면 절대 늦지 않은 나이십니다.
아니, 지금부터 공부하셔서 투자하시면 충분히 성공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다만...가끔 인터넷에서 보이는 벼락부자 같은 투자(투기?)는 그만큼 리스크가 높으니 그부분만 잘 염두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연봉 10%올리는게 투자로 10% 수익 올리는거보다 쉬울거거든요.
[글쓴이]
말씀 감사합니다.
연봉 1억에 자가 있으신데 인간관계, 꿈의 실현, 사랑, 가족 등등이 아니라 금전적인 면, 그것도 어떤 이유에서든 큰 지출이 생겨서 힘들다가 아니라 투자에 소흘해서 인생 잘못산거 같다는 말씀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하시면 보통은 좋은 피드백 받기 힘드실겁니다. 그만큼 잘 살고 계시다는 뜻임. 따박따박 박히는 연봉 1억은 공실 및 월세 밀릴 걱정없는 수십억원 어치 오피스텔 소유하신것과 같음.
6
[글쓴이]
나이가 먹어가면서 일에 갈아넣기에는 체력과 정신력이 딸리기 시작해서 더 그런 것 같습니다. 뼈때리는 조언 감사합니다.
1
반노동주의 정서가 MZ사이에서 유행하는 이유기도 하죠 ㅠㅠ 힘내시길
[글쓴이]
네 감사합니다.
박지운
기만이라고 욕 먹어용 ~
7
[글쓴이]
그럴 의도는 전혀 아니었는데. 죄송합니다.
니르바나
투자의 신이라는 워런 버핏조차 최고의 투자는 자기 자신에 대한 투자라고 했는 걸요. 사실 자신에게 하는 투자도 항상 성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노력해도 나아지기 힘들 수 있고.나아져도 연봉에 반영이 안 될 수도 있잖아요? 그런 측면에서 글쓴분은 투자에 성공한 셈이죠. 노력한 게 연봉에 반영 됐잖아요.
[글쓴이]
네. 조언 고맙습니다.
파란아게하
근데 이거 남이 어떻게 해줄 수 없지 않나요? 내 기분이 그런 거라. 그냥 남는 시간에 즐거운 거 하면서 사는 게 최선인 것 같네요.
2
파란아게하
+ 뭔가 나에게 성취감을 줄, 일 말고 다른 것 찾아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글쓴이]
네. 잘 생각해보겠습니다.
은때까치
영끌해서 집을 샀다 -> 레버리지 엄청나게 땡겨서 단일 자산에 투자하셨는데, 운 좋게도 대박이 터진 상황입니다 (정확히 언제 어디를 사신건지는 나와있지 않지만, 최근 시황을 보면 그럴 가능성이 매우 높죠). 사셨을 떄랑 지금 시세가 최소 1.5배는 차이나지 않나요?
[글쓴이]
네 무슨 말씀이신지 알겠습니다.
Mandarin
선생님의 상황은 잘모르겠습니다. 구체적인 자산같은거는 잘 모르니..
하지만 기회는 언제든지 올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지금 막 사회에 진입하는 20대 젊은이들이 투자를 통해 부자가 될일은 요원하겠지요.
[글쓴이]
네 말씀 감사합니다.
투자를 왜 하나요? 돈을 벌기 위해서죠. 왜 버나요? <- 일단 이것에 대한 답을 스스로 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좋은 차, 좋은 집, 명품을 위해서라면 딱히 드릴 말씀은 없지만..
노후를 위해서라는 답을 내셨다면 다음 글을 추천드립니다.
https://ppt21.com/freedom/102564?page=2&category=1
옆동네에서 최근에 올라왔던 글인데 작은것부터 차근차근 해보시길 추천합니다.
[글쓴이]
네 추천 감사합니다.
사레레
투자로 수천 수억 땡기신 주변분은 한명인가요 그런 분이 여러명인가요?
그분은 뭐로 땡기셨다고 하나요?
[글쓴이]
코인으로 번 지인들 얘기를 직간접적으로 듣고, 업무는 대충하면서 단타하던 양반이 최근 돈 많이 번걸 보고 현타가 좀 왔습니다.
듣보잡
여기 님 기준으로 님보다 안 우울할 분이 얼마나 있을까요? 사람이 이래서 메타인지가 중요합니다.
[글쓴이]
잘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귤잠수함잠수중
가진 것에 대한 기준은 사람마다 다른 것이긴 하죠. 제가 여러번 말하지만 제가 회식에서 수발드는 짬찬 의대 교수님들도
어떤 분들은 열등감에 똘똘 뭉쳐 있거든요. 나는 서울대 의대 못나왔다, 나는 집에 한두채밖에 없다.
개업해서 잘 나가는 동기를 보며 배아파하고, 자기 동네 더 부자들 보고 부러워하고....
그런 비교의식에서도 벗어나면 좋긴 합니다만 그게 어렵다면 어쩔 수 없고....

두번째로는 지나간 것에 대한 후회하는 측면인데 이것이야말로 정말 헛수고 아닐까요?
이미 누구보다 열심히 살고 많이 성취하셨는데, 그럼에도 ... 더 보기
가진 것에 대한 기준은 사람마다 다른 것이긴 하죠. 제가 여러번 말하지만 제가 회식에서 수발드는 짬찬 의대 교수님들도
어떤 분들은 열등감에 똘똘 뭉쳐 있거든요. 나는 서울대 의대 못나왔다, 나는 집에 한두채밖에 없다.
개업해서 잘 나가는 동기를 보며 배아파하고, 자기 동네 더 부자들 보고 부러워하고....
그런 비교의식에서도 벗어나면 좋긴 합니다만 그게 어렵다면 어쩔 수 없고....

두번째로는 지나간 것에 대한 후회하는 측면인데 이것이야말로 정말 헛수고 아닐까요?
이미 누구보다 열심히 살고 많이 성취하셨는데, 그럼에도 후회가 되는 부분이 있으시겠지만
이것에 대한 답은 명쾌합니다. 지금부터라도 그 후회되는 부분을 고쳐서 하는 수밖에 없죠.
과거에 그랬어야했는데...라고 생각하는 것은 정말 하등 쓸데없는 짓입니다.
그렇게 시간을 보내는 것은 돈보다 더 귀중한 시간의 낭비가 아닐까요.

길게 주절주절 써봤습니다. 우울감 잘 이겨내시고,
더 갖기 위해 노력하더라도, 부족함을 느끼면서 하기보다는
이미 가진 것에 만족하면서 좀 더 노력해보는 게 더 건강하지 않을까....이야기 드려봅니다.
[글쓴이]
잘 새겨듣겠습니다.
[글쓴이]
여러분들의 말씀 잘 새겨들었습니다. 위로의 말씀, 쓴소리 다 도움이 되었습니다. 모든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본문에서 처음에 말씀드린대로 글은 지우도록 하겠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365 기타캡모자를 사고 싶읍니다. 9 쉬군 24/12/10 748 0
16363 기타과일 선물을 보내고 싶읍니다. 6 니르바나 24/12/10 748 0
16357 기타시민이 가져야 할 진정한 중립적인 자세란 무엇인가요? 30 오구 24/12/08 1873 0
16356 기타간츠 O 마지막 장면 질문 2 21700 24/12/08 784 0
16353 기타손편지 직접 전하는게 좋을까요? 7 [익명] 24/12/06 798 0
16347 기타마케팅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8 분투 24/12/02 977 0
16335 기타친구들보다 좋은 직장에 들어갔는데, 태도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13 [익명] 24/11/28 1151 0
16333 기타싱크대 누수의 경우 어떤 업체에 연락하나요? 9 골든햄스 24/11/27 860 0
16327 기타이 재택근무 업무 사기일까요 진짜일까요? 10 [익명] 24/11/26 1468 0
16324 기타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런린이 24/11/26 815 0
16318 기타스스로를 바꾸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직장인 공부) 18 눈사람 24/11/24 1214 1
16313 기타외제차는 국산차보다 유지비도 훨씬 많이 더 나오는지요...? 15 홍당무 24/11/23 1266 0
16312 기타차량 선택장애가 왔습니다 (카니발 vs 펠리세이드) 8 쉬군 24/11/23 1113 0
16305 기타차량에 사제 어라운드뷰 설치해보신 분 계실까요? 7 쉬군 24/11/20 1134 0
16297 기타밀도 있게 일하는 법은 무엇일까요? 3 데굴데굴 24/11/18 1007 1
16296 기타디지털 피아노 혹시 아시는 분 있을까요? 19 TEMPLATE 24/11/18 1022 0
16294 기타자동차 보험은 한 회사로 쭉 가는게 나은 건가요? 13 퍼그 24/11/18 1045 0
16286 기타사무실 형광등 교체를 안하고 밝게 사용할 방법이 있을까요? 11 오리꽥 24/11/14 1357 0
16284 기타공무원&고시 준비하시는 분들 어떻게 하실까요? 2 [익명] 24/11/13 1011 0
16280 기타카니발 신차 구매 질문드립니다. 9 쉬군 24/11/11 912 0
16272 기타바이든을 대신할만한 인물이 미국 민주당에는 없었던 것일까요? 10 홍당무 24/11/10 1186 0
16271 기타커피머신 잘 아시는분들께 질문 드립니다. 14 쉬군 24/11/10 908 0
16268 기타이사를 어디로 가야 할까 고민입니다 3 [익명] 24/11/09 954 0
16263 기타평범한 직장인입니다. 인생 잘못 살아온거 같습니다. 우울함을 어떻게 하면 떨칠수 있을까요? 61 [익명] 24/11/07 1891 0
16257 기타몬스테라 분갈이 때일까요? 9 다람쥐 24/11/05 88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