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4/12/26 20:10:51수정됨 |
Name | [익명] |
File #1 | 42b964baa9c660b5ffec90a1adddf0ca.jpeg (171.5 KB), Download : 0 |
File #2 | 5892c8c73fa6bbc58a81c653f5badc7f.jpeg (58.8 KB), Download : 1 |
Subject | 공기업 취업했는데, 취업사기를 당한거 같아 너무 힘듭니다. |
일단 선 다섯줄 요약입니다. 1. 올해 건보에 입사를 했으나 입사하자마자 과거에 7~8년동안 부정하게 많이 올린 급여를 메꾸기 위해 전 직원 12년 임금동결이 시행됨. 2. 신입사원 입장에서는 공시된 초봉 및 앞으로 오를 급여를 보고 입사했는데 공시된 초봉은 부정하게 올린 급여였고 그걸 메꾸기 위해 전직원 12년 임금동결을 한다고 하니 취업사기를 당한 심정임 3. 임금이 12년 동결될줄 미리 알았으면 다른 선택지를 했을것. 공시되었던 초봉이 높았으니 그만큼 취준생들 선호도가 높아져 입사경쟁률도 쌨는데 그렇게 힘들게 입사했고, 당연히 기대되던 임금에 대한 부분을 나와 관련없는 잘못으로 동결한다고 하니 박탈감이 큼. 연봉동결 얘기가 퍼진 취업커뮤니티에서는 당연히 선호도 급락중임. 4. 더불어 환수방식에 대한 불만이 있음. 작년 퇴직자는 부정하게 오른급여 받을거 다받고 손해보는거 없이 퇴직했으며 올해 신규직원은 올해 입사해서 부정하게 받은것 하나없는데 손해는 다 보는것임. 5. 하지만 현실적으로 신규직원은 힘도 없고 아무도 챙겨주지도 않고 이직말고는 할수 있는게 없어서 더 답답함. 2년동안 준비해서 올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취업을 했습니다. 취업한 이유는 공기업중에서 매년 임금상승률도 높았고 초봉도 높고 워라밸좋고 제 집근처에서 근무 가능한 공기업이 건보가 유일했어요. 그래서 열심히 준비했구요. 올해 7월에 붙고나서 너무너무 기뻤습니다. 치열하게 업무에 적응하느라 노력하는데, 올해 12월 청천벽력같은 소식이 들렸습니다. 아직까지 7~8년동안 급여를 부정하게 올렸다는게 기재부 및 감사에 들켰으니, 그 댓가로 향후 12년간 임금동결을 하겠다는 내용이였습니다. 현재 신입 초봉은 4100만원인데 급여를 부정하게 올리지 않았다면 신입 초봉은 지금보다 600만원 가량 낮은, 3500만원이여야 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부정하게 올린 600만원의 갭을 줄이기 위해 향후 12년간 호봉으로 인한 임금상승분을 제외하고 전직원 임금동결을 하겠다는 얘기입니다. 이에 관해서 경영진들은, '신입사원은 원래 초봉으로 3500만원을 받아야하는데 4100만원 받고있으니 혜택을 받고있는 것이다. 혜택받았으니 신입사원도 부당하게 올린 급여에 대한 책임이 있다.' 라고 말하며 입닫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는 현재까지 진행상황이 너무나도 화가나고, 힘듭니다.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919789 관련 기사내용입니다. 제가 화가 나는 이유는 1. 올해 입사한 신입사원은 잘못한것 하나없고 혜택받은것도 없는데 경영진에게 '초봉을 많이 올렸으니 신입사원들도 혜택을 받았다' 이라는 얘기를 들었고, 다른 사번과 똑같이 12년 동결을 받는게 너무 억울합니다. 저는 입사전에 12년 임금동결 받는줄 알았으면 다른기업 준비했을겁니다. 심지어 4달전 연수원에서 상임이사가 와서 '우리가 임금 많이 올렸으니 자부심 가져라' 등등의 말도 하고 갔습니다. 2. 모든 공무원, 공기업은 호봉상승분을 제외하고 매년 물가상승률에 기반한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1~3% 사이 임금을 올리고 있고 당연히 건강보험공단에 입사할때 매년 1~3% 내지의 임금상승을 기대하고 왔는데, 12년동안 임금동결이라 하니 사실상 취업사기라고 생각합니다. 매년 물가 상승률이 매년 2~3%사이인데 호봉 상승분 제외 임금동결이면 사실상의 임금하락이기 때문입니다. -> 근데 이에 관해, 매년 1~3% 가량의 임금상승은 근로계약서상 약속한게 아니기때문에 법적으로 다퉈볼만한 여지도 없다고 합니다. 솔직히 매년 임금상승을 사측이 약속한건 아니지만, 공무원 및 공기업은 매년 올라가는 급여와 안정성정도는 당연히 생각하고 오는거라고 생각하는데 말이죠.. 실제로도 모든 공무원 및 공공기관이 매년 급여를 소량 올리고 있으니까요. 3. 신입사원의 말을 귀기울여 들어주는 사람은 극소수고, 힘도 없으니 당할수밖에 없습니다. 내가 뭘 할수 있는게 없습니다. 이직하기에는 건강보험공단 맞춤 경력 및 스펙이라 낙장불입같은 느낌입니다. 4. 사내 블라인드에서는 다들 임금동결에 대한 한탄이 많지만, 가장 피해가 큰 신입사원들에 대해 '꼬우면 이직해라, 너만 피해봤냐, 이 직장 너가 선택하지 않았냐, 너네 입장은 알겠는데 자꾸 얘기하니 피곤하다' 등등 정말 정떨어지는 얘기를 많이 듣고있습니다. 솔직히 임금에 관하여 부정하게 취한게 있으면 이득본 사람이 내야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하면 윗사번일수록 많이 부담하고, 아랫사번으로 갈수록 적게 부담하는게 이성적인 진행방향이구요. 근데 이걸 신규사원 포함 모두에게 똑같이 부담하라고 하니 너무너무 분한겁니다. 심지어 신규사원은 그냥 24년 공시된 초봉보고 입사한건데, 들어오고나니 연봉동결이라고 하니 화딱지가 납니다. 그래서 요즘 정말로 일하기가 싫어지고 윗사람들에 대한 정이 떨어지고 블라인드 사내게시판 보면 사우들에 대한 배신감도 들고 힘든 요즘입니다. 저는 진심으로 취업사기라고 생각하는데, 제가 잘못된 생각인가요? 이런얘기 부모님한테 말하니까 '너가 뭘 바꿀순 없으니까 그냥 순응해라' 등등의 얘기만 들리고 현실적으로 맞는얘기도 같습니다만, 이 끓어오르는 분노를 어찌 할수가 없습니다. 블라인드 보면 그냥 '누칼협?, 너가선택한거니 악으로 깡으로 버텨, 너가 뭘할수 있는데?' 등등 긁히는말 투성이네요. 0
|
아마 12년간 동결은 못할 겁니다. 아무리 공기업이라지만 12년 동결은 불가능한 얘기라 보고 아마 몇년 뒤 정상적으로 돌아올 겁니다. 정권 바뀌고, 예산안 다시 짜다 보면 얘기 들어줄 수 밖에 없어요
연봉 깎지않는게 다행이라고 하면 다행일수 있겠습니다만 사기업이랑은 다르게
공공기관은 연봉 깎는방식이 연봉 동결 or 성과급 반납이라서요. 사실상 연봉깎는거랑 똑같은겁니다.
근본적인 논점은 뭐... 그냥 아무것도 잘못안하고 받은것도 없는데
갑자기 나와 관련없는 회사의 옛 부정들이 터져서 신입도 똑같은 피해를 보는게 아무리 봐도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네요.
상황을 비유하자면
초봉 높고 워라밸 좋은걸로 인재들 뽑아놓고서는 막상 뽑아놓고 나니
'너네 사실 초봉 높은거는 개구라였고 원래연봉은 그보다 낮게 받아야 맞아~ 그러니 그거 메꿔야하니 연봉동결할게 꼬우면 이직해' 이런겁니다.
공공기관은 연봉 깎는방식이 연봉 동결 or 성과급 반납이라서요. 사실상 연봉깎는거랑 똑같은겁니다.
근본적인 논점은 뭐... 그냥 아무것도 잘못안하고 받은것도 없는데
갑자기 나와 관련없는 회사의 옛 부정들이 터져서 신입도 똑같은 피해를 보는게 아무리 봐도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네요.
상황을 비유하자면
초봉 높고 워라밸 좋은걸로 인재들 뽑아놓고서는 막상 뽑아놓고 나니
'너네 사실 초봉 높은거는 개구라였고 원래연봉은 그보다 낮게 받아야 맞아~ 그러니 그거 메꿔야하니 연봉동결할게 꼬우면 이직해' 이런겁니다.
어떻게 보면 유구한(?) 역사라서 사실 위로밖에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참고로 신입사원만 콕 찝어서 했던 이 건은 복원되는데 3~5년 걸렸던걸로 기억합니다.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202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202
감사합니다. 근무 의욕은 왕창 떨어지고 선배에 대한 배신감도 들지만 제 일은 묵묵히 해나가고 있어요.
제 동기는 화나서 태업한다 뭐다 얘기하지만, 결국 태업하면 열심히 하는 다른 누군가가 일을 더 많이 해야하는거니까요.
위로가 됩니다.
제 동기는 화나서 태업한다 뭐다 얘기하지만, 결국 태업하면 열심히 하는 다른 누군가가 일을 더 많이 해야하는거니까요.
위로가 됩니다.
채용절차법 제4조(거짓 채용광고 등의 금지)
① 구인자는 채용을 가장하여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의 채용광고를 내서는 아니 된다.
② 구인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의 내용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구인자는 구직자를 채용한 후에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에서 제시한 근로조건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사기업 기준으로 보았을 때, 공고에 임금상승률 같은 것도 같이 기재되어 있는 예외적인 사유라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 더 보기
① 구인자는 채용을 가장하여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의 채용광고를 내서는 아니 된다.
② 구인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의 내용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구인자는 구직자를 채용한 후에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에서 제시한 근로조건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사기업 기준으로 보았을 때, 공고에 임금상승률 같은 것도 같이 기재되어 있는 예외적인 사유라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 더 보기
채용절차법 제4조(거짓 채용광고 등의 금지)
① 구인자는 채용을 가장하여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의 채용광고를 내서는 아니 된다.
② 구인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의 내용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구인자는 구직자를 채용한 후에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에서 제시한 근로조건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사기업 기준으로 보았을 때, 공고에 임금상승률 같은 것도 같이 기재되어 있는 예외적인 사유라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내용이 없었다면 공고상의 초봉은 그대로 인정해주면서 장기간에 걸쳐 임금인상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법률위반이 성립하지는 않습니다.
① 구인자는 채용을 가장하여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의 채용광고를 내서는 아니 된다.
② 구인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의 내용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구인자는 구직자를 채용한 후에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에서 제시한 근로조건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사기업 기준으로 보았을 때, 공고에 임금상승률 같은 것도 같이 기재되어 있는 예외적인 사유라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내용이 없었다면 공고상의 초봉은 그대로 인정해주면서 장기간에 걸쳐 임금인상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법률위반이 성립하지는 않습니다.
이런게 분하고 못참겠다 하면 방법이 현실적으로 두가지정도긴합니다. 이직하거나, 노조활동하거나. 결국 이런문제도 일을 크게만들어야 해결하거나 짜부러지거나 선택지를 나눠볼수있어서..
다만 직장에대한 기대수익은 저는 마치 좋은주식을 투자하는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앞으로 얻을 기대소득이 줄어들었다는건 설득력이 부족한거 같습니다. 마음이 이해가안가는건아닌데 공감의 문제라기보단 기대수익을 계약에 잠재적으로 포함해생각하는건 너무 좋은쪽으로만 생각하신거아닐까... 계산기 두들기는행위엔 리스크도 있는거니까요. 건보공단이 적자폭탄으로 미래가 불... 더 보기
다만 직장에대한 기대수익은 저는 마치 좋은주식을 투자하는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앞으로 얻을 기대소득이 줄어들었다는건 설득력이 부족한거 같습니다. 마음이 이해가안가는건아닌데 공감의 문제라기보단 기대수익을 계약에 잠재적으로 포함해생각하는건 너무 좋은쪽으로만 생각하신거아닐까... 계산기 두들기는행위엔 리스크도 있는거니까요. 건보공단이 적자폭탄으로 미래가 불... 더 보기
이런게 분하고 못참겠다 하면 방법이 현실적으로 두가지정도긴합니다. 이직하거나, 노조활동하거나. 결국 이런문제도 일을 크게만들어야 해결하거나 짜부러지거나 선택지를 나눠볼수있어서..
다만 직장에대한 기대수익은 저는 마치 좋은주식을 투자하는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앞으로 얻을 기대소득이 줄어들었다는건 설득력이 부족한거 같습니다. 마음이 이해가안가는건아닌데 공감의 문제라기보단 기대수익을 계약에 잠재적으로 포함해생각하는건 너무 좋은쪽으로만 생각하신거아닐까... 계산기 두들기는행위엔 리스크도 있는거니까요. 건보공단이 적자폭탄으로 미래가 불투명해지면 기대한 안정성이 없다고 사기라고 할 수 없듯이..
반면에 왜 혜택누린 사람들이 책임지지않냐 이런포인트를 부각시키는게 더 중요하지않나 싶긴하지만 따지고보면 결국 전선을 잡기가 어려워보이긴하네요. 요는 초봉인상을 되감는게 아니라 인상률을 올리는걸 멈추는거라서 호봉제자체는 유지되실테니까요. 전략을 잘 짜서 적극적으로 노조활동을통해 반전을꾀해보시거나 이직하시거나.. 아님 지나다보면 나아지겠지 하시거나.. 어느쪽이든 주변 가까이 편들어줄 분들이랑 소주 많이드시면서 분풀이부터 하시고 실천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힘내세요~
다만 직장에대한 기대수익은 저는 마치 좋은주식을 투자하는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앞으로 얻을 기대소득이 줄어들었다는건 설득력이 부족한거 같습니다. 마음이 이해가안가는건아닌데 공감의 문제라기보단 기대수익을 계약에 잠재적으로 포함해생각하는건 너무 좋은쪽으로만 생각하신거아닐까... 계산기 두들기는행위엔 리스크도 있는거니까요. 건보공단이 적자폭탄으로 미래가 불투명해지면 기대한 안정성이 없다고 사기라고 할 수 없듯이..
반면에 왜 혜택누린 사람들이 책임지지않냐 이런포인트를 부각시키는게 더 중요하지않나 싶긴하지만 따지고보면 결국 전선을 잡기가 어려워보이긴하네요. 요는 초봉인상을 되감는게 아니라 인상률을 올리는걸 멈추는거라서 호봉제자체는 유지되실테니까요. 전략을 잘 짜서 적극적으로 노조활동을통해 반전을꾀해보시거나 이직하시거나.. 아님 지나다보면 나아지겠지 하시거나.. 어느쪽이든 주변 가까이 편들어줄 분들이랑 소주 많이드시면서 분풀이부터 하시고 실천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힘내세요~
정말 답답하고 화가 나셨을 것 같네요. 입사하기 전에는 전혀 모르셨던 상황이고, 다른 공공기관들처럼 당연히 매년 임금 인상이 있을 거라 기대하셨을 텐데요.
상황을 보니 공단도 나름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직급 포화 문제를 해결하려다 예산 지침을 벗어난 운영을 했고, 그 부담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네요.
그렇다고 해도 그 책임을 전혀 관계없는 신입 직원들에게까지 동일하게 지우는 건 불공정합니다.
하지만, 시스템 구조상 신입 사원들만 연봉을 올리는 것 또한 불가능할거에요.
현재 여러 공공기관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 더 보기
상황을 보니 공단도 나름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직급 포화 문제를 해결하려다 예산 지침을 벗어난 운영을 했고, 그 부담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네요.
그렇다고 해도 그 책임을 전혀 관계없는 신입 직원들에게까지 동일하게 지우는 건 불공정합니다.
하지만, 시스템 구조상 신입 사원들만 연봉을 올리는 것 또한 불가능할거에요.
현재 여러 공공기관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 더 보기
정말 답답하고 화가 나셨을 것 같네요. 입사하기 전에는 전혀 모르셨던 상황이고, 다른 공공기관들처럼 당연히 매년 임금 인상이 있을 거라 기대하셨을 텐데요.
상황을 보니 공단도 나름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직급 포화 문제를 해결하려다 예산 지침을 벗어난 운영을 했고, 그 부담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네요.
그렇다고 해도 그 책임을 전혀 관계없는 신입 직원들에게까지 동일하게 지우는 건 불공정합니다.
하지만, 시스템 구조상 신입 사원들만 연봉을 올리는 것 또한 불가능할거에요.
현재 여러 공공기관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대부분이 일정 기간에 많은 사람을 채용하는 바람에(정부 정책)
일부 직급이 과포화되어 있습니다. 제가 다니는 공기업도 그렇구요.
얼마전 방문했던 모 기관은 80%가 15년 이상 일한 5급 직급이더군요. 몇백명의 직원중 1년에 4급 진급이 1~2명 밖에 안되서 난리라고 합니다.
그래서 직원들 사기가 떨어질대로 떨어진 상태인데, 재정도 좋지 않아 사면초가더군요.
건보는 일단 승진에 대한 불만을 상위 직급 퇴사자의 인건비를 하위 직급에 n빵해서 급여를 올리는 방식으로 해결한듯 보입니다.
그렇게 연봉이 오른 사람들도 지금 불만이 많을거에요. 그냥 승진을 시켜줬다면 본인 연봉도 12년간 동결이 될일이 없었을테니까요.
경영진이 선택한 해결책이 언발에 오줌누기가 된거죠.
공공기관의 경영진들은 결코 기관의 미래를 신경쓰지 않습니다. 외부에서 온 사람들이고, 몇년만 하면 사라질테니까요.
그래서 늘 미봉책을 내놓는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 그만큼 실무자들이 잘 싸워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몇년 후 문제가 생기면 크게 감사를 받는데, 감사를 받는 사람은 당시의 임원이 아닌 아래에서 일하던 실무자들입니다.. 슬픈 현실이죠.
공공기관 생활 시작부터 우울한 일이 생기셨다니 많이 안타깝습니다.
그래도 12년간 동결하기는 어려울거에요. 또 누군가가 언발에 오줌을 눌테고, 겨울이 끝나서 더 이상 얼지 않는 날이 올거에요.
남 이야기가 아닌 것 같아 주저리 주저리 길게 써봤습니다.
상황을 보니 공단도 나름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직급 포화 문제를 해결하려다 예산 지침을 벗어난 운영을 했고, 그 부담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네요.
그렇다고 해도 그 책임을 전혀 관계없는 신입 직원들에게까지 동일하게 지우는 건 불공정합니다.
하지만, 시스템 구조상 신입 사원들만 연봉을 올리는 것 또한 불가능할거에요.
현재 여러 공공기관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대부분이 일정 기간에 많은 사람을 채용하는 바람에(정부 정책)
일부 직급이 과포화되어 있습니다. 제가 다니는 공기업도 그렇구요.
얼마전 방문했던 모 기관은 80%가 15년 이상 일한 5급 직급이더군요. 몇백명의 직원중 1년에 4급 진급이 1~2명 밖에 안되서 난리라고 합니다.
그래서 직원들 사기가 떨어질대로 떨어진 상태인데, 재정도 좋지 않아 사면초가더군요.
건보는 일단 승진에 대한 불만을 상위 직급 퇴사자의 인건비를 하위 직급에 n빵해서 급여를 올리는 방식으로 해결한듯 보입니다.
그렇게 연봉이 오른 사람들도 지금 불만이 많을거에요. 그냥 승진을 시켜줬다면 본인 연봉도 12년간 동결이 될일이 없었을테니까요.
경영진이 선택한 해결책이 언발에 오줌누기가 된거죠.
공공기관의 경영진들은 결코 기관의 미래를 신경쓰지 않습니다. 외부에서 온 사람들이고, 몇년만 하면 사라질테니까요.
그래서 늘 미봉책을 내놓는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 그만큼 실무자들이 잘 싸워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몇년 후 문제가 생기면 크게 감사를 받는데, 감사를 받는 사람은 당시의 임원이 아닌 아래에서 일하던 실무자들입니다.. 슬픈 현실이죠.
공공기관 생활 시작부터 우울한 일이 생기셨다니 많이 안타깝습니다.
그래도 12년간 동결하기는 어려울거에요. 또 누군가가 언발에 오줌을 눌테고, 겨울이 끝나서 더 이상 얼지 않는 날이 올거에요.
남 이야기가 아닌 것 같아 주저리 주저리 길게 써봤습니다.
이런말씀 드리기 좀 망설여지지만...
저 같은 경우는 연봉협상에서 500만원 차이로 한달동안 입씨름하고나서 결국 받아내고 나니까 마음이 헛헛하더라구요. 누군가는 500만원을 비트코인 차트 무빙 한번에 벌기도 하는데 나는 1년에 500 더 벌겠다고 이렇게 난리치고 감정 소모하는 제 자신이 부끄러웠습니다. 지금 연봉 동결된게 막막하시겠지만 길게 생각해보면 그깟 500만원 아무것도 아니에요. 오히려 지금의 분노를 마음에 품으면서 정신소모하는게 더 아깝습니다. 일단 앞으로 12년의 미래는 fix되어 있으니 다른길을 찾아보실때 고민하시기 편할거에요. 화이팅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연봉협상에서 500만원 차이로 한달동안 입씨름하고나서 결국 받아내고 나니까 마음이 헛헛하더라구요. 누군가는 500만원을 비트코인 차트 무빙 한번에 벌기도 하는데 나는 1년에 500 더 벌겠다고 이렇게 난리치고 감정 소모하는 제 자신이 부끄러웠습니다. 지금 연봉 동결된게 막막하시겠지만 길게 생각해보면 그깟 500만원 아무것도 아니에요. 오히려 지금의 분노를 마음에 품으면서 정신소모하는게 더 아깝습니다. 일단 앞으로 12년의 미래는 fix되어 있으니 다른길을 찾아보실때 고민하시기 편할거에요. 화이팅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