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4/12/31 17:38:29 |
Name | 영원한초보 |
Subject | 1600년 세계 화포술 궁금합니다 |
드라마 쇼군을 보니 영국군이 과녁을 정확히 맞추니까 엄청 신기해하는데 조선, 중국, 유럽을 포함한 화포의 기술력 수준 차이가 궁금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영원한초보님의 최근 게시물
|
조선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데, 이 당시 화포는 직사였으며 각도 조절을 할 수 없었습니다. 판옥선에 실린 화포는 동차에 실려 움직이는 것처럼 묘사되곤 하지만 1600년 정도에 동차까지 있었을 가능성은 높지 않고요.
따라서 배의 좌우 흔들림에 굉장히 큰 영향을 받았고 따라서 적선이 근접하지 않으면 명중률은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졌습니다. 학자들은 대략 50-100m 정도를 유효 사거리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화포만으로 배 자체에 어마어마한 피해를 입혔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선체의 외벽을 돛대를 부러뜨리는 정도의... 더 보기
따라서 배의 좌우 흔들림에 굉장히 큰 영향을 받았고 따라서 적선이 근접하지 않으면 명중률은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졌습니다. 학자들은 대략 50-100m 정도를 유효 사거리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화포만으로 배 자체에 어마어마한 피해를 입혔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선체의 외벽을 돛대를 부러뜨리는 정도의... 더 보기
조선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데, 이 당시 화포는 직사였으며 각도 조절을 할 수 없었습니다. 판옥선에 실린 화포는 동차에 실려 움직이는 것처럼 묘사되곤 하지만 1600년 정도에 동차까지 있었을 가능성은 높지 않고요.
따라서 배의 좌우 흔들림에 굉장히 큰 영향을 받았고 따라서 적선이 근접하지 않으면 명중률은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졌습니다. 학자들은 대략 50-100m 정도를 유효 사거리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화포만으로 배 자체에 어마어마한 피해를 입혔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선체의 외벽을 돛대를 부러뜨리는 정도의 물리적 위력은 가할 수 있었고, 이렇게 발생한 구멍에 불화살을 쏘아 적선 내부에 실질적인 공격을 가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화포가 발사될 때의 굉음이나 명중했를 때의 화력은 상대에게 심리적인 공포감을 안겨주기에 충분했을 겁니다.
따라서 배의 좌우 흔들림에 굉장히 큰 영향을 받았고 따라서 적선이 근접하지 않으면 명중률은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졌습니다. 학자들은 대략 50-100m 정도를 유효 사거리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화포만으로 배 자체에 어마어마한 피해를 입혔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선체의 외벽을 돛대를 부러뜨리는 정도의 물리적 위력은 가할 수 있었고, 이렇게 발생한 구멍에 불화살을 쏘아 적선 내부에 실질적인 공격을 가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화포가 발사될 때의 굉음이나 명중했를 때의 화력은 상대에게 심리적인 공포감을 안겨주기에 충분했을 겁니다.
해당 드라마 대충 찾아봤는데, 1600년대의 일본을 모티브로 한 평행세계쯤 되는 거 같네요? 그때 일본에 전해진 게 조총인데, 전장식 화승총이라고 해서 총구에 화약 넣고 총알 넣고 꼬질대 비슷한 거 넣어서 다진 다음에 화약 접시에 또 화약 넣고(도화선 역할) 화승에 불붙여서 방아쇠 당기면 화승이 화약접시에 넣은 화약에 불 붙여서 몇 초 후에 총알이 나가는 방식인데, 이거는 명중률이 매우 낮습니다. 장전시간도 길고요.. 숙련된 병사가 1분에 두 발인가 세 발 쏠 수 잇다고 들었어요. 강선이 없기 때문에 총알의 직진성이 낮아서 한두 정으로 쏴봐야 명중을 기대하기 어렵고 대량 집중 운용해야 효과가 있는 총이었어요. 드라마 내용은 모르지만 그래서 영국군이 과녁을 정확히 맞추니 놀랐던 게 아닌가 싶네요. 근데 유럽 총기에도 강선이 파인 건 18세기 이후라고 하네요.
드라마 시점에서 200년 지난 나폴레옹 전쟁, 남북전쟁 시대에도 조준사격은 사실상 불가능한 전장식 무강선 포를 사용했으니,
그냥 드라마적 허용이 아니었을까요?
조준 사격은 아마 현대식 포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암스트롱포가 개발된 19세기 중반 이후에나 가능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냥 드라마적 허용이 아니었을까요?
조준 사격은 아마 현대식 포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암스트롱포가 개발된 19세기 중반 이후에나 가능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