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6/11/26 14:38:00 |
Name | 눈부심 |
Subject | 인터넷글들, 서버 |
혹시 서버라는 게 이렇게 생긴 실물인가요? ![]() 저런 서버가 많으면 인터넷 트래픽도 빨라지고 그런 건가요? 그러면 저런 실물장치에 우리가 올리는 글들이 모두 들어있나요? 토비님이 이 사이트를 닫아버리면 모든 글들은 어떻게 되나요? 쓰던 서버를 간직해 두기만 하면 복구가 가능하나요? 전 공중에 둥둥 떠다니는 줄 알았어요. 0
|
사진의 것은 [스위치허브]라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네트워크 안에서 여러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장비입니다.
서버의 수가 많다고 해서 꼭 처리속도가 빨라지는 것만은 아닙니다. 작업의 분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거든요. 이건 임산부 10명을 모았다고 해서 아기를 1달만에 낳을 수는 없는 이치와 같습니다.
실물장치(구체적으로는 DB 서버)의 하드디스크 또는 SSD에 우리가 올리는 글의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만약 토비님이 이 사이트를 닫는다고 해도, 서버의 저장장치가 ... 더 보기
서버의 수가 많다고 해서 꼭 처리속도가 빨라지는 것만은 아닙니다. 작업의 분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거든요. 이건 임산부 10명을 모았다고 해서 아기를 1달만에 낳을 수는 없는 이치와 같습니다.
실물장치(구체적으로는 DB 서버)의 하드디스크 또는 SSD에 우리가 올리는 글의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만약 토비님이 이 사이트를 닫는다고 해도, 서버의 저장장치가 ... 더 보기
사진의 것은 [스위치허브]라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네트워크 안에서 여러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장비입니다.
서버의 수가 많다고 해서 꼭 처리속도가 빨라지는 것만은 아닙니다. 작업의 분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거든요. 이건 임산부 10명을 모았다고 해서 아기를 1달만에 낳을 수는 없는 이치와 같습니다.
실물장치(구체적으로는 DB 서버)의 하드디스크 또는 SSD에 우리가 올리는 글의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만약 토비님이 이 사이트를 닫는다고 해도, 서버의 저장장치가 멀쩡하다면야 복구가 가능하겠죠. 공중에 둥둥 떠다닌다는 것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상상하신 것 같은데, 클라우드 서비스라도 결국에는 어딘가에 있는 실물 장치에 글이 저장될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에는 그 저장되는 위치를 우리가 알기가 매우 힘들죠. 사실상 알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서버의 수가 많다고 해서 꼭 처리속도가 빨라지는 것만은 아닙니다. 작업의 분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거든요. 이건 임산부 10명을 모았다고 해서 아기를 1달만에 낳을 수는 없는 이치와 같습니다.
실물장치(구체적으로는 DB 서버)의 하드디스크 또는 SSD에 우리가 올리는 글의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만약 토비님이 이 사이트를 닫는다고 해도, 서버의 저장장치가 멀쩡하다면야 복구가 가능하겠죠. 공중에 둥둥 떠다닌다는 것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상상하신 것 같은데, 클라우드 서비스라도 결국에는 어딘가에 있는 실물 장치에 글이 저장될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에는 그 저장되는 위치를 우리가 알기가 매우 힘들죠. 사실상 알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원론적으로 디지털 정보라는 것은 실물 A에서 실물 B로 정보이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하기 힘든 경우도 있을 수 있고, 또 안 하면 아무 소용이 없지요. 생각하신 인터넷 정보의 휘발성은 정보의 보존을 중요시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문제입니다. 이 쪽 연구의 선구자는 미국인데, 왜냐면 컴퓨터를 발명한 나라다 보니까 오래된 컴퓨터에서 생산한 정보를 후대에 읽지 못하는 문제를 그만큼 빨리 알아챘기 때문이지요. 1960년대 컴퓨터에서 자기 테이프에 저장해둔 정보를 지금 와서 읽으려고 한다고 생각하면(실제로 미... 더 보기
원론적으로 디지털 정보라는 것은 실물 A에서 실물 B로 정보이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하기 힘든 경우도 있을 수 있고, 또 안 하면 아무 소용이 없지요. 생각하신 인터넷 정보의 휘발성은 정보의 보존을 중요시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문제입니다. 이 쪽 연구의 선구자는 미국인데, 왜냐면 컴퓨터를 발명한 나라다 보니까 오래된 컴퓨터에서 생산한 정보를 후대에 읽지 못하는 문제를 그만큼 빨리 알아챘기 때문이지요. 1960년대 컴퓨터에서 자기 테이프에 저장해둔 정보를 지금 와서 읽으려고 한다고 생각하면(실제로 미국에서 있었던 일이라고 합니다)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챌 수가 있지요. 설령 정보를 읽어들였다고 해도, 이걸 어떻게 해독할 수가 있을까요? 이 때문에 최근에는 후대에 전해져야 하는 중요한 정보는 그걸 생산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묶어서 저장해두는 추세입니다.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면 비교적 오래된 OS와 소프트웨어라도 구동시킬 수 있으니까요.
속도는 인터넷 회선과 서버의 처리속도 두가지에 영향을 받는데요. 둘 중 더 느린쪽이 병목이 됩니다. 속도는 병목이 되는 요인을 개선해야 빨라지거든요.
홍차넷의 경우에는 접속자가 많지 않은 편이라 서버보다는 회선이 병목이 됩니다. 해외 회선은 접속자가 많으면 제한이 걸려서 더 그렇구요. 안정적인 해외 접속을 위해서는 별도 회선료를 많이 내야 합니다. 그렇더라도 거리가 있기 때문에 일정 속도 이상으로 올리기가 어려운 한계도 있습니다.
글들은 저장장치. 즉 하드디스크에 저장이 됩니다.
글을 보존하려면 하드를 잘 보관해도 되고... 더 보기
홍차넷의 경우에는 접속자가 많지 않은 편이라 서버보다는 회선이 병목이 됩니다. 해외 회선은 접속자가 많으면 제한이 걸려서 더 그렇구요. 안정적인 해외 접속을 위해서는 별도 회선료를 많이 내야 합니다. 그렇더라도 거리가 있기 때문에 일정 속도 이상으로 올리기가 어려운 한계도 있습니다.
글들은 저장장치. 즉 하드디스크에 저장이 됩니다.
글을 보존하려면 하드를 잘 보관해도 되고... 더 보기
속도는 인터넷 회선과 서버의 처리속도 두가지에 영향을 받는데요. 둘 중 더 느린쪽이 병목이 됩니다. 속도는 병목이 되는 요인을 개선해야 빨라지거든요.
홍차넷의 경우에는 접속자가 많지 않은 편이라 서버보다는 회선이 병목이 됩니다. 해외 회선은 접속자가 많으면 제한이 걸려서 더 그렇구요. 안정적인 해외 접속을 위해서는 별도 회선료를 많이 내야 합니다. 그렇더라도 거리가 있기 때문에 일정 속도 이상으로 올리기가 어려운 한계도 있습니다.
글들은 저장장치. 즉 하드디스크에 저장이 됩니다.
글을 보존하려면 하드를 잘 보관해도 되고, 하드에 있는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놓아도 됩니다. 이걸 백업이라고 하는거죠.
홍차넷은 자동백업을 걸어놓기는 했습니다만, 홍차넷 하드에서 홍차넷 하드로 복사하는거라 홍차넷 하드가 망가지면 복구가 불가합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저장장치를 설치하고 자동백업을 걸어놓는 방법이 있지요. 돈이 좀 더 들어갑니다.
아니면 주기적으로 제가 제 PC로 백업을 해둔다던가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사람은 믿을것이 못되기 때문에... ㅎㅎ
홍차넷의 경우에는 접속자가 많지 않은 편이라 서버보다는 회선이 병목이 됩니다. 해외 회선은 접속자가 많으면 제한이 걸려서 더 그렇구요. 안정적인 해외 접속을 위해서는 별도 회선료를 많이 내야 합니다. 그렇더라도 거리가 있기 때문에 일정 속도 이상으로 올리기가 어려운 한계도 있습니다.
글들은 저장장치. 즉 하드디스크에 저장이 됩니다.
글을 보존하려면 하드를 잘 보관해도 되고, 하드에 있는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놓아도 됩니다. 이걸 백업이라고 하는거죠.
홍차넷은 자동백업을 걸어놓기는 했습니다만, 홍차넷 하드에서 홍차넷 하드로 복사하는거라 홍차넷 하드가 망가지면 복구가 불가합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저장장치를 설치하고 자동백업을 걸어놓는 방법이 있지요. 돈이 좀 더 들어갑니다.
아니면 주기적으로 제가 제 PC로 백업을 해둔다던가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사람은 믿을것이 못되기 때문에... ㅎㅎ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