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7/04/03 23:39:12
Name   은머리
Subject   혹시 영어 독해 되시는 분들 중에
한국에서 나서 20대까지 살다가 미국온 지 16년 넘는데 아직은 영어 스피킹이 유려하지도 않고 독해가 막 항상 술술 되는 것도 아니에요. 결단코 한국어가 훨씬 편한 사람이에요. 그런데 언어의 특징이란 게 있는 모양인지 영어를 읽는 게 이해도가  더 높아요. 훨씬 높다고 해야하나. 모르는 단어 찾아가면서 읽는 건데도요. 혹시 이런 분 계시나요?  영어기사는 잘 쓴 글 읽으면 초딩한테 설명해주는 듯한 친절한 글을 읽는 것 같아요. 한국어로 된 기사나 글은 '잘 읽히지' 않을 때가 종종 있어요. 이건 왜 그런 걸까요.



0


신문안사요
한글도 잘 씌어진 글 보면 술술 읽히죠. 누가 얼마나 정성들여 썻나가 제일 중요하지 않은가 시프요
은머리
한글기사 읽다보면 분명 읽었는데 정확하게 무슨 뜻인지 모르는 단어가 많은데도 사전을 안 찾아 보거든요. 한글이니깐. 영어는 매번 사전을 찾아보다 버릇하고 정신 바짝 차려서 읽기 때문일 수도 있을 거예요. 폰트나 레이아웃도 조금 중요한 모양인지 위키피디아 영어폰트는 확 보기 싫게 생겼어요.
DarkcircleX
영어는 한국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청자를 배려하는 언어라고 알려져 있죠. 상대적으로 논리적인 언어기도 하구요. 무엇보다도 노출빈도가 높은 영향도 있을 거에요 :)
은머리
오 네. 영어가 '청자를 배려하고 논리적'이란 말 저도 들어봤어요. 그거 참 좋은 건뎅. 부러워요.
저두요ㅋㅋ 경우가 많이 다르지만 공학수학 교재 원서는 술술 읽히는데 확률론 책은 도대체 뭔 소린지...
은머리
특히나 학문용어가 많이 나올 때 한글로 된 아티클은 머리가 팽팽 돌고 완전 이게 뭔소리야 싶은 것이;; 남들이 자기네들만의 직관을 가지고 선구적으로 일궈놓은 분야를 낑낑거리며 끼워맞추기식으로 옮겨놓다보니 전문용어의 생경함은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은머리
뭐래시는 거예욬ㅋㅋㅋㅋㅋㅋㅋ
다시갑시다
저도 비슷한 경험을 자주 하는데 전 지금까지 그냥 제가 영어가 더 편해서 그렇다고 막연히 생각하고있었네요... 정말 언어적인 차이가있다고는 생각도 못했는데 이 말을 들으니 궁금해지네요 ㅋㅋㅋ
은머리
전 결코 영어가 편한 사람은 아니라서 킄. 근데 영어는 어휘만 꽉잡고 있으면 잘 읽히긴 하는 것 같아요.
한국어 번역문이랑 영어 원문 비교를 해보면 확실히 영어가 머리에 더 잘 들어올 때가 많아요. 저는 대부분의 경우 어순 때문인 거 같아요. 영어의 어순이 더 논리적이고 친절한 플로우처럼 느껴지는... 예를 들어 한국어로는 관형절 뒤에 명사가 오기 때문에 그 절의 실체(명사)에 해당하는 것을 한참 뒤에 가서야 알 수 있지만 영어에서는 수식되는 명사가 앞에 오고 관형절이 뒤에 붙기 땜에 핵심이 빠르게 파악되는 경향이 있더구라구라
Park out!
은머리
글죠 글죠. 영어는 읽다보면 그냥 술술술 읽히는 것 같아요. 주어 다음에 일단 아싸리 동사가 빡! 오고 수식당하는 말이 선행하면서 그걸 설명하는 관계절이 주절주절 따라오니까요. 우리말은 뭔가를 묘사하는 말이 주절주절 오는데 끝까지 들어봐야 맥락이 분명해지니까 분명해지는 그 시점이 오기 전까지 좀 해맬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Park out! 웃겨잉ㅋㅋㅋㅋㅋ
저는 사실 글 읽을땐 한글/한국어 읽는 속도가 훨 빨라서 항상 이해하기는 한국어가 좀 더 편하다고 생각되었는데...
글 쓰기 할때는 영어가 훨 낫더라고요. 학교에서 더 체계적으로 배운 것 같기도 하고.. 제 어휘력이 영어가 더 나은 점도 있는 것 같고요.
제 능력치?를 떠나서 영어의 문법이나 롸이팅 스타일이 좀 더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가르쳐지고 있지 않나 생각하기도 해요.
'글 쓰는 법' 이란게 애초부터 "reader에게 내 뜻 전달"을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까 궁리하는 거니까요 ~_~

읽는 ... 더 보기
저는 사실 글 읽을땐 한글/한국어 읽는 속도가 훨 빨라서 항상 이해하기는 한국어가 좀 더 편하다고 생각되었는데...
글 쓰기 할때는 영어가 훨 낫더라고요. 학교에서 더 체계적으로 배운 것 같기도 하고.. 제 어휘력이 영어가 더 나은 점도 있는 것 같고요.
제 능력치?를 떠나서 영어의 문법이나 롸이팅 스타일이 좀 더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가르쳐지고 있지 않나 생각하기도 해요.
'글 쓰는 법' 이란게 애초부터 "reader에게 내 뜻 전달"을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까 궁리하는 거니까요 ~_~

읽는 사람의 language preference나 각 언어에 따른 이해력?에 따라 갈릴 수도 있지만
쓰인 언어 그 자체의 structure도 차이가 있을 것 같아요.

아 그리고 한국어는 한문으로 이루어진 단어가 많으니까 한문 어휘력도 필요해서 더 그런 걸지도요 @ㅅ@
미주거주자면 한문 어휘력은 한정적일 수 밖에 없으니까요.
은머리
영어 어휘가 더 편하시다니 부러벙 부러벙.
영단어 공부하는데 같은 의미의 형용사가 어찌나 많은지 환장하겄쓰요....
비슷하지만 미묘히 다른 단어들이 많아서 글쓰기가 더 풍부?해지는 것 같아요 +ㅅ+
그래서 글 쓸 때 유의어 단어사전 Thesaurus 필수인 것 ㅋㅋㅋㅋ
제 느낌으로는 그런 비슷한 단어들 덕에 reader에게 뭔가 더 머릿속으로 상상하기가 더 쉽지 않나 싶어요.
근데 제가 영어 쓰기/읽기에 훨 많이 노출된 1인이라 편협적일 수도 있져;;... 한국어는 한국어 나름대로 찰진 포인트가 따로 있으니까요 ㅋㅋ
엘레노어님 말씀처럼 국내의 사설이나 전문성을 요하는글들에는 한문이 많이 섞여있어서 글이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제 생각에는 글에도 영어는 청자를 배려해서 쉽게 잘 읽히는 글들을 잘 쓴 글이라 하는데 한글로 쓰인 글들은 말을 어렵게 해야 잘 쓴 글이라 생각하고 쓰는 사람들이 많은것 같아요. 문화적인 차이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제 개인적인 건... 말이나 글쓰기를 간결 명확하게 해야하는데 전 그게 잘 안되어서 늘 고민이에요. 환경적인 측면이 큰데... 노력부재이기도해요. ㅠㅠ 발음은 이미 포기... 저 하고 싶은말 하고 살면... 더 보기
엘레노어님 말씀처럼 국내의 사설이나 전문성을 요하는글들에는 한문이 많이 섞여있어서 글이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제 생각에는 글에도 영어는 청자를 배려해서 쉽게 잘 읽히는 글들을 잘 쓴 글이라 하는데 한글로 쓰인 글들은 말을 어렵게 해야 잘 쓴 글이라 생각하고 쓰는 사람들이 많은것 같아요. 문화적인 차이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제 개인적인 건... 말이나 글쓰기를 간결 명확하게 해야하는데 전 그게 잘 안되어서 늘 고민이에요. 환경적인 측면이 큰데... 노력부재이기도해요. ㅠㅠ 발음은 이미 포기... 저 하고 싶은말 하고 살면 되었지해요. 가끔 말 매끈하게 잘하는 방송인들보면 부러워요. Short and Concise ㅋㅋ 국어도 영어도 다 안되어요. 이 생애에서는...봐요..지금도 길어요. ㅋㅋ 그래서 댓글 안달고 눈팅으로를 스스로한테 세뇌시키는지도 몰라요.
은머리
확실히 우리글이나 글에 대한 인식에 허세가 많은 것 같아요. 저는 간결하고 축약적인 어휘가 생각이 안 나서 막 쉽게 풀어쓰는데 그러면 재미있는 작문이 안 되거든요. 그래서 뚁땅해여 ㅠ
Paft Dunk
글 잘 쓰는 사람들이 영어권에 압도적으로 많은거 같아요.
한국어는 인터넷 글 밖에 안읽어서 그런거일수도..
근데 미국 사이트가도 영어로된 댓글이나 글들이 더 논리적이고 잘 정리되있는 느낌은 있어요. 전문성도 차이가 좀 나고..
미국 교육에서 글쓰기 훈련을 많이 해서 그런거 일수도 있겠네요.
은머리
역시 영어권 나라가 광대해서 인재도 많은 덕에 잘 쓰인 글이나 기사들을 쉽게 접하게 되는 그네 나라들 범인들은 그냥 영어쓰는 게 복이구나 싶어요.
글쓰기 훈련을 많이하는것은 맞는것 같아요. 어릴때부터 논술작문을 초등2-3학년부터 매년 시험을 치기 때문에 아이들이 생각한바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훈련을 학교서 많이 하는것 같아요.
기아트윈스
1. 글쓰기 교육이 전무하다시피 해요

2. 한자를 안쓰면서 한자어를 써요. 이건 영어로 비유하자면 같은 음을 가진 단어를 모두 똑같은 스펠링으로 쓰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에요 (scent sent cent 를 모두 구분 없이 sent로 쓴다고 생각해보세요)

3. 한국어 syntax는 영어에 비해 더 느슨해요. 그래서 영어처럼 문장성분이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요.

4. 2번과 연결된 사실인데, 한자노출을 안하기 시작하면서 한국어 작문-독해는 수수께끼 맞추기처럼 되어버렸어요. 그래서 독해경험이 불쾌해지고,... 더 보기
1. 글쓰기 교육이 전무하다시피 해요

2. 한자를 안쓰면서 한자어를 써요. 이건 영어로 비유하자면 같은 음을 가진 단어를 모두 똑같은 스펠링으로 쓰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에요 (scent sent cent 를 모두 구분 없이 sent로 쓴다고 생각해보세요)

3. 한국어 syntax는 영어에 비해 더 느슨해요. 그래서 영어처럼 문장성분이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요.

4. 2번과 연결된 사실인데, 한자노출을 안하기 시작하면서 한국어 작문-독해는 수수께끼 맞추기처럼 되어버렸어요. 그래서 독해경험이 불쾌해지고, 이는 독서경험 총량의 감소로 이어졌어요 (전 그렇다고 믿어요. 증거 없음.)

5. 역시 2번과 연결된 사실인데, 한자노출이 없어지면서 한자어만으론 의미전달이 뚜렷하지 않게 되니 자연스럽게 말을 풀어쓰는 현상이 생겼어요. 예컨대 '연세대, 연고전 3연패'라고 할 걸 連敗인지 連霸인지 알 길이 없으니 '연세대, 연고전 3년 연속 우승' 처럼 길게 늘여쓰는 거예요. 이러다보니 한국 현대 소설은 말이 주절주절 늘어지는 만연체가 많아요 (이 문장도 사실 蔓衍體를 한자로 노출했고 독자가 한자독해에 익숙하기만 했다면 '말이 주절주절 늘어지는'이라는 절을 쓸 필요가 없었을 거예요. 덩굴처럼 덕지덕지 늘어지는 문체라는 의미를 배우지 않고도 바로 알 수 있으니까요. ). 자연히 텍스트가 간결명료(concise)하지 않다는 느낌을 주지요.

6. 그래서 전 80-90년대를 주름잡던 민족주의자들이, 특히 한글전용론자(이 여섯 음절 단어에 한자가 다섯 개나 있네요)들이 [자해]를 했다고 생각해요. 그분들 덕분에 우리가 눈치채지 못하게 천천히, 그러나 분명히, 한국 문어(文語)가 썩어들어가고 있는 거예요.
의미전달이 어려워서, 덩굴처럼 덕지덕지 늘어지는 문체 -> 핵심인 것 같아요. 반성반성...단어실력을 늘려야해요.
은머리
캬흐~! 고딩 때 한문 포기한 사람으로서 좀 찔립니뎅. 어휘 땜에 천자문을 공부해야하나란 생각도 해봤다니깐요.
많은 부분 동의합니다. 동음이의어가 너무 많아지면서 의미전달이 교란되는 것 뿐 아니라 발음의 장단 같은 것도 섞이면서 퇴행되는거 같습니다. 그래서 단순 허세를 위한 소위 보그체가 아니라, 뜻을 명확히 하기 위해 영어를 섞거나 영어 단어를 병가하는 현상이 가속되고 있습니다.
오옹, '러프하다' 같은 거요. 이게 '거칠다'는 분명 아닌데, 이 느낌을 어떤 단어로 쓰면 깔끔하게 전할 수 있는지 모르겠어요. 끙.
그러게요. 음음...
베누진A
한자에 관련해서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런 측면도 있겠으나 본질적인 포인트는 아닙니다.
베누진A
2. 이론과 맥락 하에 큰 불편 없이 구별됩니다.
4. 근거 없습니다.
5. 글을 풀어쓴다고 꼭 독해에 장해요소는 아닙니다.
6. 한국 문어는 예전보다 나아지고 아름다워지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건 그냥 제 주관..
파란아게하
전 잘 안 읽히는 글 보면 욕합니다...
이걸 읽으라고 쓰는 건가....하고요.
은머리
화르륵!!
은머리
우아 정성가득한 댓글 감사합니다. 저는 이해하기 힘든 글은 싫어하지만 언어유희를 굉장히 좋아해요. 잘 못해서 글치 ㅋㅋ.
언어가 언어사용자의 사고방식에 영향을 끼친다 하셨는데 그 부분이 저는 참 궁금해요. 한국어를 하는 사람은 한국어의 어떤 점 때문에 어떤 사고를 하게 되며 영어를 하는 사람은 영어의 어떤 점 때문에 어떤 사고를 하게 되는지. ten 님이 생각하시기에 언어유희를 최고로 만끽할 수 있는 글은 누구의 글이라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파란아게하
좋은 댓글 잘 읽고 갑니다
영어도 불친절한 글은 읽기 힘들어요. 방법론 이라던지 규범이라던지 이런건 일부러 좀 딱딱하게 쓰는 경우가 많아서 ㅠ
은머리
그럼요. 영어하는 사람도 글 못쓰는 사람의 것은 매우 읽기 힘들 거예요. 저도 대충 보고 삘이 오는 것만 읽어요. 그런데 공부하시는 분들은 참고 무조건 읽어야 해서 고충이 심하겠어요.
베누진A
She said, "I'm beautiful."
그녀는 "나는 아름답다"고 말했습니다.

여기에서 영어는
S+V S+V 의 반복으로 나아가고
한국어는
S S+V V 처럼 문장을 서로 안고/안기고 들어가요.
전자가 직관적으로 더 보기/이해하기 편하죠?


내가 기대하고 원했으나 끝내 나를 져버렸던 그녀
A girl whom I expected and wanted but who betrayed me

긴 수식어를 줄줄 말한 후에야 비로소 피수식어를 내뱉는 한국어.. 머릿속에 그림을 그리기 힘들어요.


sy... 더 보기
She said, "I'm beautiful."
그녀는 "나는 아름답다"고 말했습니다.

여기에서 영어는
S+V S+V 의 반복으로 나아가고
한국어는
S S+V V 처럼 문장을 서로 안고/안기고 들어가요.
전자가 직관적으로 더 보기/이해하기 편하죠?


내가 기대하고 원했으나 끝내 나를 져버렸던 그녀
A girl whom I expected and wanted but who betrayed me

긴 수식어를 줄줄 말한 후에야 비로소 피수식어를 내뱉는 한국어.. 머릿속에 그림을 그리기 힘들어요.


syntax의 문제가 절대적입니다.




또 영어식 사고 및 표현하는 방식과 한국어식 사고 및 표현하는 방식도 구조적으로 다른데 이것도 큰 영향이 있을듯.. 하지만 여기에 대해서는 제가 아는 바 없어요. 다만 한국어보다 영어는 결론을 미리 내고, 디테일한 의미보다 전체적인 형식을 먼저 말하는데 이게 결정적.



한자의 동음이의어 문제니 한글전용론의 문제니 이런 건 전혀 본질적인 게 아닙니다. 어휘는 이론과 맥락 하에 그 의미에 기대어 읽히는 것인데 한자 안다고 그 어휘의 의미를 아는 것도 아니고 또 더 편하게 읽히는 것도 아니에요.
은머리
베누진 님이 등판을 ㅎㅎㅎ. 공부는 잘 하고 계신가요~!
그러고보니 이거 베누진 님이 가장 열정적으로 관심 가지고 계신 분야네요!
베누진A
네.. 공부 때문에 잠시 쉬고 있습니다. ㅎㅎ 말 한마디 없이 그냥 잠적해서 죄송해요 ㅠㅠ

영어는 논리적인 언어입니다. 반면 한국어는 논리적인 측면에서는 영어보다 뒤쳐지죠.
난커피가더좋아
흠 영국학파의 국제사회론 계열 아티클 읽어보시면 이런 말씀 못하실텐데. 진짜 죽이고 싶거든요. 근데 그와 별개로 제가 가장 편하게 읽힌다고 생각하는 건 한국사람이 영어공부 열심히 한 다음에 쓴 영어글이더군요. 그런 사람이 한국어로 쓰면 이해 안됨. ㅋㅋㅋㅋ
은머리
어려운 영어는 아예 읽어볼 생각을 하지 않아서 그럴 거예요 킄. 저도 한국사람이 쓴 영어글은 기똥차게 쉽게 읽혀요 ㅎ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52 교육한자 1급 공부량이 어느정도 되나요? 2 [익명] 18/02/12 5686 0
4150 교육영어로 된 직장인교육 사이트가 있을까요?? 13 사랑하는홍차에게 18/02/12 5908 0
4140 교육교육봉사 할 수 있는 단체 추천 부탁드려요. 6 [익명] 18/02/10 2233 0
4084 교육과외비를 얼마나 받아야 할까요? 5 [익명] 18/01/31 3722 0
3696 교육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으핫핫핫 17/11/16 4588 0
3622 교육철학 배울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8 아침 17/11/03 4877 0
3618 교육대학 조별과제 질문입니다! 28 벚문 17/11/02 5848 0
3519 교육영어 공부 어떻게 해야 되나요.... 10 은우 17/10/15 4219 0
3515 교육원서 요약 꿀팁이 있을까요? 8 여우왕 17/10/15 4135 0
3495 교육문이과 공부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10 지식의늪지대 17/10/11 3890 0
3273 교육수능 수학(나형)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11 Uhfu 17/08/25 4304 0
2983 교육일반적인 대학원생의 수입이 어떻게 되나요? 15 선비 17/06/30 2974 0
2950 교육Tv나 인터넷으로 강연 추천 부탁드려요 1 차우차우 17/06/24 3187 0
2939 교육고등학교 2학년 인문계(문과) 조카를 도와주려 합니다. 10 사케 17/06/22 2783 0
2862 교육춘추전국시대이야기와 한나라 건국에 관한이야기... 5 사나남편 17/06/04 3393 0
2833 교육컴퓨터공학에서의 기초,핵심과목엔 무엇이 있나요? 6 낙화 17/05/29 6433 0
2604 교육혹시 영어 독해 되시는 분들 중에 40 은머리 17/04/03 4832 0
2506 교육이과 수학 시강 고민입니다. 8 줄리엣 17/03/14 4451 0
2404 교육영어 과외 관련입니다. 28 깊은잠 17/02/24 4212 0
2346 교육공책(노트) 쓰시는 분 계신가요? 5 진준 17/02/18 3191 0
2272 교육논술은 돈이 많이 드나요? 12 도화 17/02/07 3892 0
2235 교육스페인어 아시는 분 계세요?(도라 디 익스플로러 속 간단문장) 7 로즈니스 17/02/03 4778 0
2203 교육고3 영어 과외 조언 구합니다 9 라싸 17/01/29 6213 0
2193 교육Bless you 있잖아요. 4 은머리 17/01/27 3653 0
2037 교육대체효과, 소득효과 3 님니리님님 17/01/06 7249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