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5/09/21 10:35:41 |
Name | kpark |
Subject | 항생제의 필요성? |
비염과 축농증을 달고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환절기에 코가 막히는 일이 잦고, 그럴땐 자면서 입으로(-_-) 호흡을 하다가 목이 붓게 될 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편도선이 부으면 몸살로 이어지면서 환절기 감기몸살은 연례행사가 됐습니다. 요 며칠도 오랜만에 연례행사를 겪었는데, 최근 몇년은 병원을 가는 대신 해열제(타이레놀)+종합감기약으로 자가처방을 하고 드러누워서 버티고 있습니다. 전엔 꼬박꼬박 병원을 갔는데 이렇게 해도 최대 3일 앓고 나면 낫더라고요. 병원 갔을 때도 낫는 기간은 비슷했습니다. 병원을 안 가게 된 이유는 어느날 처방약품의 종류를 봤더니 해열제+감기약+항생제 이렇게 나온걸 알게되어서입니다. 항생제는 실제 감기 낫는데 별 필요없단 얘기도 많이 봤고, 기타 약품은 혼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어서요. 요점은 1. 편도선염->감기몸살 콤보를 앓을 때 항생제를 먹을 필요가 있나요? 2. 지금처럼 해열제+종합감기약만 먹는 걸 유지해도 될까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kpark님의 최근 게시물
|
저는 길거리에 널리고 널린 내과 의사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단순 감기라면 안쓰는게 맞지만.. 말씀하신 정도라면 저라도 항생제를 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이상하게 항생제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많습니다만.. 어느 정도 언플의 영향도 있습니다. 실제로 외국에서도 인후두염이라던지 편도염 상병의 경우에 항생제 사용률은 60~70퍼센트에 달하며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외국이 항생제를 적게 쓴다는 통계는 j00인 common cold까지 포함한 통계였고.. 우라 나라도 만약 저렇게 잡는다면 항생제 사용율은 유... 더 보기
단순 감기라면 안쓰는게 맞지만.. 말씀하신 정도라면 저라도 항생제를 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이상하게 항생제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많습니다만.. 어느 정도 언플의 영향도 있습니다. 실제로 외국에서도 인후두염이라던지 편도염 상병의 경우에 항생제 사용률은 60~70퍼센트에 달하며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외국이 항생제를 적게 쓴다는 통계는 j00인 common cold까지 포함한 통계였고.. 우라 나라도 만약 저렇게 잡는다면 항생제 사용율은 유... 더 보기
저는 길거리에 널리고 널린 내과 의사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단순 감기라면 안쓰는게 맞지만.. 말씀하신 정도라면 저라도 항생제를 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이상하게 항생제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많습니다만.. 어느 정도 언플의 영향도 있습니다. 실제로 외국에서도 인후두염이라던지 편도염 상병의 경우에 항생제 사용률은 60~70퍼센트에 달하며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외국이 항생제를 적게 쓴다는 통계는 j00인 common cold까지 포함한 통계였고.. 우라 나라도 만약 저렇게 잡는다면 항생제 사용율은 유의미하게 낮아딜 겁니다.
그것보다도 비염 치료를 좀 적극적으로 해보세요. 코에 뿌리는 스테로이드를 좀 써봐도 증상이 확 좋아지실 겁니다. 가이드라인에는 기간을 얼마나 쓰라고 정해지진 않았지만.. 천식을 보통 3개월은 기다린 후 반응 평가를 하는 것으로 보아서.. 제 생각입니다만..3개월 정도까지는 써보는게 좋지 않을까합니다..
단순 감기라면 안쓰는게 맞지만.. 말씀하신 정도라면 저라도 항생제를 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이상하게 항생제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많습니다만.. 어느 정도 언플의 영향도 있습니다. 실제로 외국에서도 인후두염이라던지 편도염 상병의 경우에 항생제 사용률은 60~70퍼센트에 달하며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외국이 항생제를 적게 쓴다는 통계는 j00인 common cold까지 포함한 통계였고.. 우라 나라도 만약 저렇게 잡는다면 항생제 사용율은 유의미하게 낮아딜 겁니다.
그것보다도 비염 치료를 좀 적극적으로 해보세요. 코에 뿌리는 스테로이드를 좀 써봐도 증상이 확 좋아지실 겁니다. 가이드라인에는 기간을 얼마나 쓰라고 정해지진 않았지만.. 천식을 보통 3개월은 기다린 후 반응 평가를 하는 것으로 보아서.. 제 생각입니다만..3개월 정도까지는 써보는게 좋지 않을까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