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02/07 17:07:27 |
Name | [익명] |
Subject | 부모와 의절해서 잘 사는 법이 있을까요? |
결혼할 남자친구는 중학생때 부모님께서 이혼하셨습니다. 아버지와 살았고 2년 후 남자친구와 나이 차이가 얼마 나지 않는 새어머니가 오셨고요. 대학 들어간 후에 20살이 넘게 차이 나는 동생이 생겼고, 아버지의 재혼 이후로는 집에서 지원받은 것이 없습니다. 정말 기본적인 의식주만 해결해주셨어요. 이혼 사유는 아버지의 귀책이 큰 듯 합니다. 아버지 성격이 독선적이고 이기적이십니다. 남자친구는 순종적이고 착한 아들로만 살아왔고요. 아버지는 남들이 봤을때 부유한 생활을 하시고, 남자친구는 산전수전 다 겪으면서 힘들게 지금까지 살아왔습니다. 결혼 준비를 하면서 지원받는 부분은 일절 없는데 저희 집에 요구하는 부분이 많았어요. 상견례날 결국 저희 부모님께 해서는 안될말까지 하시면서 상처를 주셨습니다. 그 자리에서 박차고 나와야할 상황이었는데 저희 부모님은 남자친구를 봐서 참으셨고요. 연애한 기간이 8년이고 남자친구의 인생사를 어머니께서 다 알고 계셨거든요.. 남자친구는 본인 인생의 신조가 남에게 해입히면서 살지 말자인데, 제 가족될 사람들에게 인생에서 제일 큰 상처를 입혔다고 절망했고.. 부모라는게 부끄럽고 수치스러우며 더이상 불행하게 살고 싶지 않아서 의절을 결심했습니다. 친어머니와는 이혼 가정이 아니라고 생각할 정도로 교류가 잦고 저도 어머님과 자주 봬요. 저였다면 스무살되었을 때 아버지와 연 끊고 어머니하고만 잘 지냈을텐데 착한 아들로 지내와서 그게 쉽지 않았나봅니다. 남자친구는 현재 아버지와는 연락하지 않고 지내고 있지만 친척들과는 왕래를 하고 있습니다. 늘 착한 아들, 장남으로 지내다가 관계를 끊기 어려워보이는데...어떻게 하면 더 잘 의절할 수 있을까요? 의절하는데 잘 의절하는 법은 없겠지만... 앞으로도 관계가 지속된다면 결혼생활이 삐걱거릴 것 같아서 겁이 납니다. 0
|
의절하면 잘 살지 못할거라고 걱정하시는 이유를 잘 모르겠네요. 전 이렇게 생각합니다. 그게 가족이건 친구건 선생님이건 내게 마이너스가 되는 관계는 존재하게 마련이고, 이런건 끊을수록 삶의 질이 좋아진다구요.
아버지와는 의절을 진작 했는데, 어무이가 빚때문에 전국 방방곡곡을 돌아다니면서 일하고 있습니다.
사이는 좋으나, 실제로 시어머니? 역할은 없습니다.
제로스님 말씀처럼 혼주석에서 아버지 빼버렸었고요.
별빛님 말씀처럼 "나는 누구의 아들이 아니다" 라고 생각을 단단히 먹고 살... 아 왔었습니다 애초에.
근데, 결혼이라는 계기에 맞춰 의절을 한다면 이래저래 예랑(예비신랑;)분이 느낄 상실감이 좀 있을겁니다 아마.
예랑분의 성격이 본분에 써주신대로라면, 평균적/혹은 그 이상의 책임감이 있다고 보고
의절 자체는 잘 해내실... 더 보기
사이는 좋으나, 실제로 시어머니? 역할은 없습니다.
제로스님 말씀처럼 혼주석에서 아버지 빼버렸었고요.
별빛님 말씀처럼 "나는 누구의 아들이 아니다" 라고 생각을 단단히 먹고 살... 아 왔었습니다 애초에.
근데, 결혼이라는 계기에 맞춰 의절을 한다면 이래저래 예랑(예비신랑;)분이 느낄 상실감이 좀 있을겁니다 아마.
예랑분의 성격이 본분에 써주신대로라면, 평균적/혹은 그 이상의 책임감이 있다고 보고
의절 자체는 잘 해내실... 더 보기
아버지와는 의절을 진작 했는데, 어무이가 빚때문에 전국 방방곡곡을 돌아다니면서 일하고 있습니다.
사이는 좋으나, 실제로 시어머니? 역할은 없습니다.
제로스님 말씀처럼 혼주석에서 아버지 빼버렸었고요.
별빛님 말씀처럼 "나는 누구의 아들이 아니다" 라고 생각을 단단히 먹고 살... 아 왔었습니다 애초에.
근데, 결혼이라는 계기에 맞춰 의절을 한다면 이래저래 예랑(예비신랑;)분이 느낄 상실감이 좀 있을겁니다 아마.
예랑분의 성격이 본분에 써주신대로라면, 평균적/혹은 그 이상의 책임감이 있다고 보고
의절 자체는 잘 해내실거고, 이후의 삶에 있어서도 노력을 하겠지요.
옆에서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이면 '이놈이 내 큰아들이다..' 라고 생각하고, 노력하는 모습을 격려해주시면 잘 사실거라고 생각합니다.
당사자에겐 어렵고 막막한 일일 수도 있지만, 옆에서 같이 힘들어할 정도로 큰 일은 아닙니다.
위로와 격려만 적절하게 들어가면 잘 사시겠죠.
사이는 좋으나, 실제로 시어머니? 역할은 없습니다.
제로스님 말씀처럼 혼주석에서 아버지 빼버렸었고요.
별빛님 말씀처럼 "나는 누구의 아들이 아니다" 라고 생각을 단단히 먹고 살... 아 왔었습니다 애초에.
근데, 결혼이라는 계기에 맞춰 의절을 한다면 이래저래 예랑(예비신랑;)분이 느낄 상실감이 좀 있을겁니다 아마.
예랑분의 성격이 본분에 써주신대로라면, 평균적/혹은 그 이상의 책임감이 있다고 보고
의절 자체는 잘 해내실거고, 이후의 삶에 있어서도 노력을 하겠지요.
옆에서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이면 '이놈이 내 큰아들이다..' 라고 생각하고, 노력하는 모습을 격려해주시면 잘 사실거라고 생각합니다.
당사자에겐 어렵고 막막한 일일 수도 있지만, 옆에서 같이 힘들어할 정도로 큰 일은 아닙니다.
위로와 격려만 적절하게 들어가면 잘 사시겠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