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2/08 11:47:35
Name   소맥술사
Subject   복싱체육관 어디를 선택해야 할까요?
예전에 질문게시판에 복싱을 시작해볼까 하는데 괜찮을지 물어보는 글을 올렸습니다.

어제 저녁에 잠깐 알아봤는데요, 두 군데가 가까이에 있습니다. 질문의 취지를 이해하시기 위해서는 제 집과 직장의 거리를 먼저 아셔야하는데, 이게 지하철 두 정거장, 버스로는 한 네 정거장 되는 거리입니다.

일단 두 체육관 다 집과 회사의 중간에 있습니다. 두 체육관의 등록비는 같습니다. 제공하는 서비스(옷과 샤워도구 등도 같습니다)

<1번 체육관>
[거리]: 2번 체육관에 비해 멉니다. 집과 직장이 직선인데, 3/5 쯤 온 지점에서 우회전해서 다시 600미터 가량을 올라가야 합니다. 회사 퇴근하고 간다면 사실 직접가는 버스가 있는데, 집과 이 곳의 교통수단 자체는 애매해서 그냥 걸어오는 게 낫습니다. 어제 문의하고 돌아와보니 집까지 약 15분~20분 걸립니다. 시간도 시간인데 이래저래 집에서 오가는 과정이 불편합니다.

[운영시간]: 오전 6시부터 8시까지 운영하고, 오후 3시부터 10시인가 11시까지 합니다. 중간에 쉬는텀이 깁니다.

[방문시 파악한 분위기]: 초딩도 보일 정도로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있고, 다소 트렌디한 체육관 분위깁니다. 줄넘기만 1000개 시키고 절대 이런게 아니고 나름 재미있게 복싱에 재미를 붙이도록 해주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코치는 3시 이후 두 명이 상주한다고 합니다.

[시설]: 2번보다는 좀 깔끔한데 큰 차이 없습니다.

[관장]: 이 분은 인터넷 검색으로 알아본 결과 본인 직장이 따로 있는, 어린시절 부터 하드코어 취미로 체육관까지 열게된 경우로 보입니다. 뭐 실전경험이야 당연히 있지만 뭐 메달을 따거나 프로데뷔하거나 한 분은 전혀 아닌 거 같습니다.

<2번 체육관>
[거리]: 집과 직장 사이 직선상 위에 있습니다. 버스타고 오다가 두정거장만에 내려서 운동하고 집에 걸어가면 10분밖에 안걸립니다. 입지는 사실 여기가 제게 맞습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집에서 오가기가 진짜 편하긴 합니다.

[운영시간]: 오전 6시부터 11시까지 쉬는시간 없이 운영됩니다. 오전에는 관장이 가르치고 오후부터는 필리핀 출신 코치가 가르친답니다.

[방문시 파악한 분위기]: 1번 체육관에 비해서는 덜 트렌디 합니다. 뭔가 더 전통적인 체육관의 분위깁니다. 그렇다고 요즘 시대에 줄넘기 1000개부터 시킬 순 없으니 좀 더 완화된 형태로 가르치는 것 같습니다. 1번 체육관은 전반적으로 생기발랄한데 여긴 좀더 엄근진한 느낌이 있습니다.

[시설]: 1번보다는 조금 낡아보이지만, 큰 차이는 아니고 샤워실은 오히려 한 층에 다 있어 좀 편리한 면도 있어보입니다.

[관장]: 권투계에서 나름 유명한 분 같습니다. 예전 메달리스트 내지는 프로선수 였던 걸로 보입니다. 앉아서 얘기해봤는데 강력계 형사의 포스, 부리부리한 눈매와 '와 이분한테 걸리면 진짜 뼈도 못추리겠다'는(나이가 많으신데도) 느낌은 확 옵니다. ㅎㅎ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어젯밤에 고민 많이해봤는데, 뭐 어차피 곧 설연휴라 그거 끝나고 둘 중 하나 등록할 생각입니다. 홍차넷 분들의 조언을 듣고싶습니다.

지금까지 개인적으로는 입지나 운영시간으로 2번체육관이 맘에 들고, 분위기는 1번이 맘에 듭니다.



1


수박이두통에게보린
단순 체력증진, 여가활동을 위해서라면 1번이 나아보입니다.
우주최강귀욤섹시수정됨
일단 꿈은 세계챔피언으로 잡고 시작해야 하는 거 아닙니까? 그러니 당연히 2번이죠!
인생의갈림길
1번이요
엉덩이가뜨거워
몸과 정신을 위해서 1번을......ㅋㅋ
nickyoPD
1번이요. 사실 복싱체육관을 다니실거면 로드워크를 런닝머신으로 하지말고 그냥 먼 거리 뛰어다니시면 되는거라..
날도 이제 풀릴테고요
미세먼지만 좀 문제가 되긴하는데 마스크하고 뛰는게 선수들의 심폐기능 강화 트레이닝 아니겠습니까?

2번은 좀 더 본격적으로 복싱하고 수행할 체육관으로 어울릴거같아서..
근데 성인 생활체육은 힘들때 체육관 스탭과 짜증 안나는게 중요한 요소라서 1번입니다
맥주만땅
최민호 이기려면 2번....
CONTAXS2
무조건 2번입니다.
가까워야합니다. 가까워야 합니다.
복싱 체육관 1년 다녔던 경험으로는 무조건 가까워야 오래 다닐 것 같은데요.
그런데 사실 본인이 잘 아실겁니다. 예전에 헬스장 거리에 상관없이 잘 다녔다 싶으시면 1번. 난 게을러서 조금이라도 가기 편해야 운동간다 싶으시면 2번이죠.
복싱 체육관 3년차 생활체육인입니다.

1번과 2번의 거리가 반대였어도 2번입니다.

관장의 프로 여부와 수준 차이는 돈을 내고 격투를 배우는 종목에서는 압도적인 차이를 만들어 냅니다.

즉, 야매냐 아니냐를 가릅니다. 헬스가 아닌 복싱 체육관에 들어가서 복싱을 배우기로 하셨다면 단언컨대 2 번입니다.

스텝, 자세, 펀치의 라인, 메스복싱, 쉐도우복싱, 뭘 하든지 1번은 2번을 이길 수가 없습니다.

다만 트렌디한 분위기와 하하호호 웃는 느낌이 아니라는 게 아쉽긴 한데, 제가 다니는 체육관은 여성 비율도 ... 더 보기
복싱 체육관 3년차 생활체육인입니다.

1번과 2번의 거리가 반대였어도 2번입니다.

관장의 프로 여부와 수준 차이는 돈을 내고 격투를 배우는 종목에서는 압도적인 차이를 만들어 냅니다.

즉, 야매냐 아니냐를 가릅니다. 헬스가 아닌 복싱 체육관에 들어가서 복싱을 배우기로 하셨다면 단언컨대 2 번입니다.

스텝, 자세, 펀치의 라인, 메스복싱, 쉐도우복싱, 뭘 하든지 1번은 2번을 이길 수가 없습니다.

다만 트렌디한 분위기와 하하호호 웃는 느낌이 아니라는 게 아쉽긴 한데, 제가 다니는 체육관은 여성 비율도 높고 분위기도 좋아서

말씀 드리기가 약간 애매하긴 하네요. 분위기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면 1번, 그 외에 모든 걸 얻고 싶으시다면 2번입니다.
행운유수
2번 6개월 다녀보고 아니다 싶으면 1번으로 가세요.
그러다 또 아니다 싶으면 다시 2번으로...
성공적
가까운 데로 가심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운동은 프로에게 제대로 배우는 게 좋습니다.
고기써는 개장수
더 파이팅 찍고 싶으면 2번이죠.
허리피세요
무조건 2번 추천드립니다.
조금 귀찮더라도 한 번이라도 더 운동하러 나갈 수 있다는게 굉장히 중요하고요,
1번 체육관의 경우 일정 수준에 접어들고 나면 계속해서 복싱에서 재미를 느끼긴 어려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복싱을 오래하지 않았지만 몇 군데 다녀본 경험을 말씀드리면.
아마복싱 출신 관장님. 스템을 많이 쓰면서 경쾌한 복싱스타일로 지도한다.
프로출신 관장님. 묵직하게 드러가면서 치고 받고 빠지는 스타일로 지도한다. (프로는 대부분이 인파이터 스타일이라..) 정도로 보이더군요.
제가 지금 다니는 체육관은 프로출신 관장님인데 지도력이 좋으셔서 1시간 거리에서도 오시는 분들도 계시더군요.(코치들도 챔피언 출신에 시합뛰는 선수)
그분들 공통점이 예전부터 제대로 복싱을 배우고 싶었다더군요.
운동해야 하는데 복싱으로 할래 하시면 집에서 ... 더 보기
복싱을 오래하지 않았지만 몇 군데 다녀본 경험을 말씀드리면.
아마복싱 출신 관장님. 스템을 많이 쓰면서 경쾌한 복싱스타일로 지도한다.
프로출신 관장님. 묵직하게 드러가면서 치고 받고 빠지는 스타일로 지도한다. (프로는 대부분이 인파이터 스타일이라..) 정도로 보이더군요.
제가 지금 다니는 체육관은 프로출신 관장님인데 지도력이 좋으셔서 1시간 거리에서도 오시는 분들도 계시더군요.(코치들도 챔피언 출신에 시합뛰는 선수)
그분들 공통점이 예전부터 제대로 복싱을 배우고 싶었다더군요.
운동해야 하는데 복싱으로 할래 하시면 집에서 조금이라도 가까운데.
난 복싱해서 운동 할 거야 하시면 조금더 공인된 체육관으로 가시며 될 것 같습니다.


복싱이 재미가 빨리 붙는 운동이 아님니다.처음에 조금 지겹더라도 기초를 잘 배워야 링에서도 자세가 나오고 빨리 늘어요.
Danial Plainview
음... 저는 복싱 배운 지 10년인데 1번 추천이요. 필리핀 코치? 재가 외국인 코치 있는 데서 배워 봤는데 정말 말도 안 통하고 쉽지 않아요. 개인적으로 체육관을 꾸준히 나가는 방법은 올바르게 배우는 게 아니라 체육관 사람들과 정을 붙이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두 가지 유형을 다 다녀 봤는데 1번이 더 나아 보이네요.
소맥술사
음..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잘 고민해서 선택하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23 체육/스포츠웨이트 3분할 계획 좀 봐주세요. 11 선비 18/04/07 6384 1
4295 체육/스포츠. 2 [익명] 18/03/18 2927 1
4288 체육/스포츠60대 실내 사이클 괜찮나요? 11 에밀리아 18/03/15 5742 0
4275 체육/스포츠호날두 선수 이거 어떤 상황인가요? 1 리비닌 18/03/13 4141 0
4229 체육/스포츠토/일에 수영강습을 하는 수영장이 있을까요?(종로) 11 사랑하는홍차에게 18/03/02 4294 0
4123 체육/스포츠복싱체육관 어디를 선택해야 할까요? 16 소맥술사 18/02/08 8754 1
3998 체육/스포츠운동에 관한 전문적인 정보를 볼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2 [익명] 18/01/14 2441 0
3909 체육/스포츠안약은 많이 사용하면 안좋나요? 7 사람사람 17/12/27 5618 0
3875 체육/스포츠복싱을 배워볼까 하는데요... 21 소맥술사 17/12/21 8785 1
3775 체육/스포츠운동화를 신으면 발에 땀이 납니다. 7 Toby 17/12/01 4361 0
3774 체육/스포츠도움! 도움!! 운동화 추천 좀 요... ㅜㅜ 27 tannenbaum 17/12/01 4643 0
3662 체육/스포츠스포츠고글 써보신분 있나요?? 6 Broccoli 17/11/11 3420 0
3650 체육/스포츠. 5 [익명] 17/11/09 3085 0
3639 체육/스포츠헬스장 락커 어떻게 놔두고 다니시나요? 5 불타는밀밭 17/11/07 10371 0
3632 체육/스포츠운동에 따른 근육 질문입니다. 5 사나남편 17/11/05 3340 1
3607 체육/스포츠스쿼트 할땐 어디가 아파야 하나요? 18 다람쥐 17/11/01 21783 0
3576 체육/스포츠운동기구 이름 알려주세요 2 jsclub 17/10/27 4290 0
3559 체육/스포츠토요일, 정자역, 젊은 남녀 여럿, 식당 추천 바랍니다 17 레지엔 17/10/24 4685 0
3537 체육/스포츠신촌 피자몰 혼자 밥먹어도 괜찮을까요? 9 침묵 17/10/20 7209 1
3462 체육/스포츠스포츠 경기를 생방으로 안본이에게 경기결과 알려주는건 스포인가요? 16 유리소년 17/10/04 4582 1
3405 체육/스포츠가정용 로잉머신 괜찮은거 있을까요? 8 생존주의 17/09/22 9637 0
3372 체육/스포츠축구에서 선수비 후역습 vs 선수비 후역습팀이 붙으면 어떻게 되나요? 9 노루야캐요 17/09/15 4940 0
3255 체육/스포츠수영초보인데요~ 옆으로 발차기 요령이 궁금합니다. 34 오리꽥 17/08/23 9822 0
3216 체육/스포츠. 11 [익명] 17/08/16 2562 0
3143 체육/스포츠. 7 [익명] 17/08/03 2619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