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04/25 20:31:00 |
Name | 메존일각 |
Subject | ARS 여론조사 시 응답률에 관해... |
카테고리를 뭐로 해야 할지 몰라서... -_ㅠ 응답자가 1천명인데 응답률이 10%면 1만명에게 전화를 건다는 정도는 압니다. 1천명이 응답하였고, 9천명은 전화를 안 받거나 끊거나 하는 등 응답하지 않았고... 그리고 응답률 자체는 조사결과에 대해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말도 들어본 것 같은데요. 아시다시피 현 정권을 신뢰하지 않는(?) 분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하는 레파토리가 있죠.(당장 제1야당만 봐도) 1. ARS 여론조사는 전체적으로 응답률이 낮아서 신뢰성이 없다. 2. 하지만 좌파(?) 세력들은 여론조사 전화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가 답변을 하기 때문에 응답률이 높다.(무작위 추출 전화인데!) 미응답률이 90%에 달하기 때문에 응답률 10%는 전체 여론을 대변하지 못하여 조사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현 정부에 호의적인(?) 좌파(?) 세력들은 적극적이기 때문에 응답률이 높아서(...) 더더욱 조사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인데요. 예전에 본 신문기사 내용을 더듬어 보면... 선관위에서 내놓은 여론조사기준에 [가중값과 표본 크기를 규제하는 내용은 있지만 응답률에 대해서는 별도로 규제하지 않는다]고 본 것 같습니다. 저는 통계학을 잘 모르는 터라 그냥 그렇게 말하니까 그러겠더니 하고 넘겼는데, 주변에 몇몇 분들이 얼토당토 않는 소리를 하는 경우가 있어서 제대로 반박해줄 필요성이 느껴지는데요. [여론조사에서 응답률이 왜 크게 중요시 되지 않는지] 정도는 알고 싶습니다. 홍차넷 전문가 분들의 답변을 듣고 싶습니다. 크크 감사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메존일각님의 최근 게시물
|
응답률이 낮으면 그 자체만으로도 샘플링의 신뢰도가 낮아지는 것 자체는 맞습니다. nonresponse bias라고 하죠.
문제는 그 신뢰도가 얼마나 낮아지냐는 것이고,
다시 말해서 [한국의 대통령 및 정당 지지율 여론조사의 케이스에 nonresponse bias가 신뢰도를 훼손시킬 정도로 큰가?] 라는 것이죠.
예를 들어 에이즈에 대한 설문조사의 경우 나이든 사람이나 기독교인은 설문조사를 피하는 성향이 있었기 때문에
낮은 응답률이 전체 샘플링에 bias를 주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지율에 대한 설문조사는 nonresponse... 더 보기
문제는 그 신뢰도가 얼마나 낮아지냐는 것이고,
다시 말해서 [한국의 대통령 및 정당 지지율 여론조사의 케이스에 nonresponse bias가 신뢰도를 훼손시킬 정도로 큰가?] 라는 것이죠.
예를 들어 에이즈에 대한 설문조사의 경우 나이든 사람이나 기독교인은 설문조사를 피하는 성향이 있었기 때문에
낮은 응답률이 전체 샘플링에 bias를 주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지율에 대한 설문조사는 nonresponse... 더 보기
응답률이 낮으면 그 자체만으로도 샘플링의 신뢰도가 낮아지는 것 자체는 맞습니다. nonresponse bias라고 하죠.
문제는 그 신뢰도가 얼마나 낮아지냐는 것이고,
다시 말해서 [한국의 대통령 및 정당 지지율 여론조사의 케이스에 nonresponse bias가 신뢰도를 훼손시킬 정도로 큰가?] 라는 것이죠.
예를 들어 에이즈에 대한 설문조사의 경우 나이든 사람이나 기독교인은 설문조사를 피하는 성향이 있었기 때문에
낮은 응답률이 전체 샘플링에 bias를 주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지율에 대한 설문조사는 nonresponse bias가 유의미할지 작을지 조사를 해봐야 알겠죠.
http://www.pewresearch.org/2017/05/15/what-low-response-rates-mean-for-telephone-surveys/
일단 미국의 케이스에서는 전화 여론조사에서 nonresponse bias의 크기는 무시할만한 수준이라고 하더군요.
다시 말해서, 전화 여론조사 중 응답률 높은 거나 낮은 거나 정당 지지율 추세 차이가 별로 없었다고 합니다.
한국은 nonresponse bias의 significance에 대해 각잡고 조사해본 사람이 없는것 같아서 확답할수 없습니다만,
1. 리얼미터나 갤럽 등 많은 여론조사들이 서로 조금씩 다른 방식과 샘플을 쓰면서도 지지율 추세들이 다 비슷한점
2. 가장 최근의 대선에서 거의 정확히 맞은점
등을 고려하면 뭐 대통령이나 정당 지지율은 현실과 크게 동떨어지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겠죠.
문제는 그 신뢰도가 얼마나 낮아지냐는 것이고,
다시 말해서 [한국의 대통령 및 정당 지지율 여론조사의 케이스에 nonresponse bias가 신뢰도를 훼손시킬 정도로 큰가?] 라는 것이죠.
예를 들어 에이즈에 대한 설문조사의 경우 나이든 사람이나 기독교인은 설문조사를 피하는 성향이 있었기 때문에
낮은 응답률이 전체 샘플링에 bias를 주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지율에 대한 설문조사는 nonresponse bias가 유의미할지 작을지 조사를 해봐야 알겠죠.
http://www.pewresearch.org/2017/05/15/what-low-response-rates-mean-for-telephone-surveys/
일단 미국의 케이스에서는 전화 여론조사에서 nonresponse bias의 크기는 무시할만한 수준이라고 하더군요.
다시 말해서, 전화 여론조사 중 응답률 높은 거나 낮은 거나 정당 지지율 추세 차이가 별로 없었다고 합니다.
한국은 nonresponse bias의 significance에 대해 각잡고 조사해본 사람이 없는것 같아서 확답할수 없습니다만,
1. 리얼미터나 갤럽 등 많은 여론조사들이 서로 조금씩 다른 방식과 샘플을 쓰면서도 지지율 추세들이 다 비슷한점
2. 가장 최근의 대선에서 거의 정확히 맞은점
등을 고려하면 뭐 대통령이나 정당 지지율은 현실과 크게 동떨어지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겠죠.
그리고
[하지만 좌파(?) 세력들은 여론조사 전화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가 답변을 하기 때문에 응답률이 높다.(무작위 추출 전화인데!)
미응답률이 90%에 달하기 때문에 응답률 10%는 전체 여론을 대변하지 못하여 조사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현 정부에 호의적인(?) 좌파(?) 세력들은 적극적이기 때문에 응답률이 높아서(...) 더더욱 조사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인데요.]
뭐.. 이거는 저런 말을 하는 사람이 [현 정부에 호의적인 응답자가 응답률이 더 높다... 더 보기
[하지만 좌파(?) 세력들은 여론조사 전화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가 답변을 하기 때문에 응답률이 높다.(무작위 추출 전화인데!)
미응답률이 90%에 달하기 때문에 응답률 10%는 전체 여론을 대변하지 못하여 조사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현 정부에 호의적인(?) 좌파(?) 세력들은 적극적이기 때문에 응답률이 높아서(...) 더더욱 조사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인데요.]
뭐.. 이거는 저런 말을 하는 사람이 [현 정부에 호의적인 응답자가 응답률이 더 높다... 더 보기
그리고
[하지만 좌파(?) 세력들은 여론조사 전화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가 답변을 하기 때문에 응답률이 높다.(무작위 추출 전화인데!)
미응답률이 90%에 달하기 때문에 응답률 10%는 전체 여론을 대변하지 못하여 조사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현 정부에 호의적인(?) 좌파(?) 세력들은 적극적이기 때문에 응답률이 높아서(...) 더더욱 조사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인데요.]
뭐.. 이거는 저런 말을 하는 사람이 [현 정부에 호의적인 응답자가 응답률이 더 높다] 라는 것에 대한 근거를 먼저 가져와야 말이 되는 소리겠죠.
저런식의 논리면 [현 정부에 적대적인 응답자가 여론조사에 자기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응답률이 더 높다. 그래서 지지율이 실제보다 낮게 나오는 거고 실제로는 한 90%정도임] 라고 우길수도 있는걸요.
[하지만 좌파(?) 세력들은 여론조사 전화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가 답변을 하기 때문에 응답률이 높다.(무작위 추출 전화인데!)
미응답률이 90%에 달하기 때문에 응답률 10%는 전체 여론을 대변하지 못하여 조사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현 정부에 호의적인(?) 좌파(?) 세력들은 적극적이기 때문에 응답률이 높아서(...) 더더욱 조사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인데요.]
뭐.. 이거는 저런 말을 하는 사람이 [현 정부에 호의적인 응답자가 응답률이 더 높다] 라는 것에 대한 근거를 먼저 가져와야 말이 되는 소리겠죠.
저런식의 논리면 [현 정부에 적대적인 응답자가 여론조사에 자기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응답률이 더 높다. 그래서 지지율이 실제보다 낮게 나오는 거고 실제로는 한 90%정도임] 라고 우길수도 있는걸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