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10/10 15:00:33
Name   벤쟈민
Subject   음악이 이미 좋은 멜로디는 다 나와 있는건가요?
https://pgr21.com/?b=8&n=78222&c=3338491

여기 글에서 리플 다신 분께서 말씀하시기를

음악은 이미 듣기 좋은 멜로디가 다 수학적 공학적으로 나와 있는 상태라서 이미 나온 것을 바탕으로 창작할 수밖에 없다고 하셨는데 음악은 이미 새로울 게 더 나올 게 없는 완결된 분야인건가요?



0


그럴리가요. 음악에서 표절의 기준을 세우기 쉽지 않다는 얘기는 맞습니다만..
벤쟈민
멜로디 코드는 좋은 게 이미 다 나와있고 사운드??에서 창작포인트가 있다고 하시는 것 같아요.
레지엔
듣기 좋은 멜로디에 한정하면 그렇습니다. 그래서 저작권 방어가 안되는 멜로디(오래 됐거나, 너무 유명하거나, 아주 단순하거나)에 사운드나 리듬 파트를 변주하는 쪽으로 변한지 꽤 됐고 결과적으로 장르의 흥망성쇠에 상당한 영향을 줬습니다. 근데 저 글에서 무단 샘플링 문제를 이 문제랑 연관시키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무단 샘플링은 '저작권 방어가 되는' 것을 침해해서 문제인거라.
벤쟈민
과학으로 치면.. 패러다임이 이미 확립된건가요..
레지엔
그거보다 견고하다고 봐야할 겁니다. 과학의 패러다임은 음악에서는 코드 진행같은 것이고 머니 코드같은게 여기에 들어갈텐데 이건 진짜 코드 변주로 새로운 가능성이 있다는 걸 5-60년대에 증명하긴 한거라... 근데 이 짓도 하다 하다 보니 진짜 남는 게 없긴 합니다. 2마디 정도를 기준으로 하면 표절(자기 표절 포함해서)에 안 걸리는게 없습니다. 4마디로 가도 멜로디 의존도가 높은 전통적인 장르들(팝, 발라드, 포크, 락, 컨트리 등등)은 장담하기 힘듭니다. 그래서 자꾸 표절 재판에서 '유사성' 하나로 법적 논지가 안 서고, '주요한 부분을 얼마나 주요한 것으로 베꼈는가'라는 자의적 판단을 배제할 수 없는 영역이 나오게 됩니다. 극단적으로는 남의 후렴구를 인트로와 사비 사이의 넘어가는 2-3마디 정도로 쓴 건 곡의 총체적 가치와 무관하다는 논지가 나올 정도...
벤쟈민
음.. 막스 플랑크가 물리학은 이제 끝났으니 너는 다른 분야를 해라라는 말을 들었었지만 결국 양자역학이라는 새 분야를 열었는데 멜로디에는 막스 플랑크가 나오기 힘들까용..
레지엔
전통적인 음계를 벗어나면 됩니다. 근데 이미 이것도 무조음악 같은 실험이 있었는데 통상적으로 넓게 쓰이지 못한다는 걸 생각한다면 별 도리가 없습니다. 딴 거보다 '다른 음악적 영향력이 없는 상태'로 간주되는 애들이 좋아하는 건 5음계 기반의 메이저 코드를 사용한 것이고 여기에 조금 더 나아가도 7-12음계의 전통적인 스케일을 좋아한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아마도 생물학적인 무언가에 의해서 심포니와 캐코포니가 구분된다는 설이 꽤나 강력한 설득력을 가진 상태라 인간이 인간이 아니게 되지 않는 이상 '누가 들어도 딱 들어서 괜찮다고 평가할만한 것'에 부합하는 멜로디는 이미 포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벤쟈민
결국.. 답은 인간의 진화 뿐인가..(?) 저 같은 음악에 문외한은 곡들이 다 달라보이는데 전문가 입장에서는 포화 상태라는 것이 놀랍네요.
레지엔
그건 문외한이라서가 아니라 그냥 이런 관점에서 곡들 쫙 세워서 안 들으셨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멜로디 포화는 진짜 한 6-7시간 들여서 톤/속도/튜닝 바꿔서 들으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영역에 이르렀습니다. 저도 음악 전문가가 아니고 저런 작업을 몇 번 당해서 아는거지요.
벤쟈민
그 정도인가요;;
레지엔
https://www.youtube.com/watch?v=u1CofawF3L4
머니코드 MONEY CHORD


이런 걸로 대충은 알 수 있습니다. 이건 멜로디는 바뀌고 코드는 그대로인 경우지만...
벤쟈민
다 코드진행이 똑같다고 유튜브 댓글에도 써있네요. 저는 다시 들어야 할듯.. 뭔가 혼란스러워서..
사나남편
막스플랑크랑은 다른게...그건 걔가 물알못이라서 그런겁니다.
벤쟈민
그 그렇군용;;
2019영어책20권봐수정됨
.
벤쟈민
멜로디 코드가 전부가 아니라고 해서.. 그런 데에서 포인트를 얻나 싶네요.
맥주만땅
음악적인 멜로디는 뭐 이미 수학적으로 끝났나고 보아야겠고......

그래서 전위적인 음악들은 의도적으로 불협화음을 만들죠.....
벤쟈민
새 지저귀는 소리 냇물 흐르는 소리.. 이런 피아노 건반에 없는 사운드는 어떨까용..
맥주만땅
신시사이져가 나오면서 샘플링으로 다 시도해 보았죠......
벤쟈민
역시 이런 것도 시도해보았군용..
바나나코우
저도 확실히 아는건 아니지만 이 얘기가 나온 배경이 12음으로 가능한 조합 수보다 여태 만들어져 나온 곡 수가 더 많다는 논리였던 듯 합니다. 그렇지만 이 계산이 각 음이 가질 수 있는 길이, 쉼표와의 관계까지 감안한 것이라고는 생각되지 않고, 더구나 같은 멜로디를 다른 화성에 얹으면 다른 음악적 결과물이 나오는 점, 작은 멜로디 단위로 전체 곡을 구성하는 방법의 차이 등까지 고려하면, 좋은 멜로디는 이미 다 나왔다는 것은 그다지 진지하게 받아들일 이야기는 못된다고 생각합니다^^
3
벤쟈민
음.. 그렇게 여러 가지 요소들로 결국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겠네요.
레지엔
진지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저게 그냥 외부인들끼리의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로 현역 종사자들이 계속 하고 있는 이야기며 그 종사자들이 특별히 부도덕하지도 특별히 나태하지도 않거든요. 거기에 '팔리는' 멜로디가 우선적으로 포화되었을 것을 생각한다면 '단지 늦게 태어났다는 이유로 본인 듣기에도 남 듣기에도 새로울지언정 딱히 더 좋지 않은 멜로디를 발표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괜히 현대로 올수록 멜로디 의존도가 낮은 장르로 재능있는 젊은 아티스트들이 몰리는게 아니고, 전통적인 장르의 팬들이 '재능있는 애들이 다 힙합, 일렉트로니카 하느라 우리 장르는 죽는다' 소리를 하는 것도 현실입니다.
바나나코우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레지엔
별 말씀을요^^
그래서 덥스텝이나 글리치합처럼 일렉트로니카 쪽에선 아예 음색 쪽으로 새로운 시도를 하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 머 장르 이름부터가 악기(신시사이저)에 기반해 붙여졌으니 당연한 거기도 하겠습니다마능...
벤쟈민
일렉트로니카는.. 과감한 시험을 많이 하는 장르인가보군요.. 신시사이저는 위에 맥주만땅님께서도 언급하셨던 거네요.
덧붙이자면 락 쪽에서는 젠트Djent라는 세부장르가 상당히 극단적으로 리듬 쪼개기와 음색 만들기(음색은 추구하는 바가 명확한 편입니다만)를 위주로 발전해나가는 것 같더라구요. 앞으로의 가능성이 얼마나 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여튼 취미로 작곡하는 입장에서 재밌는 참고가 되고 있습니다.
벤쟈민
듣기만 해도 흥미롭네요 ㅎㅎ 정보 주셔서 고맙습니다. 락 중에 젠트라..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만 작곡보단 프로듀싱이 중요한 시대긴 합니다.
같은 멜로디와 코드로 음악을 만들어도 어떻게 프로듀싱 하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이고 비트를 어떻게 찍느냐가 중요하거든요.
그런 면에선 힙합과 일렉트로닉 음악이 충분히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 음악을 이해하려면 뉴스쿨 힙합과 일렉트로닉 음악의 이해는 필수적이죠.
벤쟈민
작곡보다 프로듀싱이 중요하다는 말은 얼핏 들었는데 그게 이렇게 연결되는 개념이었군요..
개인적으론 쓸만한 멜로디는 다 쓰여졌다는 말은 멍멍이 소리라고 생각합니다.
샘플링이나 프로듀싱의 중요성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접근성이 올라가면서 점점 메타가 그렇게 바뀌어서 그런거지
나올 멜로디가 다 나와서 메타가 그렇게 바뀌었다고는 동의가 어렵습니다.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말도 아니에요.
벤쟈민
음 그렇군요.. 저 말을 적당히 필터링해서 받아들여야겠어요. :)
키티호크
비틀즈가 위대한 것도 그 당시 출현한 밴드로서 미래에까지 할 수 있는 모든 음악적 시도가 다 있어서 그렇다는 야그를 배철수아저씨가 하더군요.
시도와 충분한 보급은 다르겠지만 감동주는 노래 많아요
벤쟈민
역시 새로운 시도를 하려면 더 먼저 태어나야.. 쿨럭
키티호크
그래도 후대들도 희망을 버리지 말아야한다는 이야기인뎅
^^;
벤쟈민
그럼요, 전세계의 뮤지션분들 지금도 여전히 좋은 노래들 많이 만드시는걸요 ㅎㅎ
음악의 3요소가
멜로디 리듬 하모니 입니다
멜로디는 음이 어떻게 올라가고 내려가는 지 (도 다음에 도가 올 것인지, 낮은 시가 올 것인지 레가 올 것인지)
하모니는 화음을 어떻게 쌓는지 구요 (도에서 미와 솔을 얹을 것인지 파와 라를 얹을 것인지)
멜로디와 하모니를 연구하다보니 이런 화음으로 한 마디 진행하고, 그 다음은 이 화성으로 가면 어떤 느낌이 들더라, 이런 얘기가 코드진행에 대한 얘기구요

리듬은 또 박자, 속도, 악센트랑 루프(반복)이 구성하는데
같은 멜로디나 화성이라고 빠른거랑 느린거랑 느낌이 다으고 두번 ... 더 보기
음악의 3요소가
멜로디 리듬 하모니 입니다
멜로디는 음이 어떻게 올라가고 내려가는 지 (도 다음에 도가 올 것인지, 낮은 시가 올 것인지 레가 올 것인지)
하모니는 화음을 어떻게 쌓는지 구요 (도에서 미와 솔을 얹을 것인지 파와 라를 얹을 것인지)
멜로디와 하모니를 연구하다보니 이런 화음으로 한 마디 진행하고, 그 다음은 이 화성으로 가면 어떤 느낌이 들더라, 이런 얘기가 코드진행에 대한 얘기구요

리듬은 또 박자, 속도, 악센트랑 루프(반복)이 구성하는데
같은 멜로디나 화성이라고 빠른거랑 느린거랑 느낌이 다으고 두번 끊어 치는거랑 세번 끊어치는게 다르죠.

이렇게 음악의 3요소에 변화를 주어서 비트는 시도를 기십년 하다보니까 듣기 좋은 자원이 고갈되었다는 소리죠

제 생각은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고 봅니다.

1마디 8비트 기준으로 쉼표랑 8분음표로 만들 수 있는 리듬의 개수가 2^8 개잖아요? 여기에 12개의 음가를 활용해 멜로디랑 코드도 변주하면 아무리 변주를 해도 그 경우의 수가 무한대는 아니잖아요. 그래서 알파고가 작곡하면 뭔가 좋은게 나올지는 몰라도, 지금 음악시장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뭘 만들어내기에는 힘들다는 얘기에용
벤쟈민
벚문님 말씀 들으니 여태까지의 여러 생각이 명쾌하게 정리되네요. 알파음악을 기대하며..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39 기타인터넷 구매가 가능한 조금 마이너한 스트릿 브랜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3 homo_skeptic 18/10/12 4684 0
5640 홍차넷홍차넷 포인트는 왜 있는 건가요? 15 지금여기 18/10/12 4128 0
5641 의료/건강스포츠 마사지 많이 받으면 어깨 뭉친게 좀 풀릴까요. 12 불타는밀밭 18/10/12 3457 0
5642 IT/컴퓨터컴을 업그레이드 하는데 질문 드릴 게 있습니다. 3 불타는밀밭 18/10/12 4035 0
5643 과학화요 마셔본 적이 없어서 21 지금여기 18/10/12 5324 0
5644 의료/건강병원에 가서 병력은 어디까지 얘기해야 할까요? 9 기역디귿이응 18/10/12 3275 0
5645 여행부산 벡스코 주변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7 moneyghost 18/10/12 4904 0
5646 기타[설문조사]만약 비브라늄이 주어진다면 무엇을 만들고싶으세요? 17 기쁨평안 18/10/13 3470 1
5647 IT/컴퓨터요즘 폰 바꾸려면 어떤루트로 해야하나요? 5 자동완성 18/10/13 3991 0
5648 홍차넷포인트 관련한 의문 몇가지가 있습니다. 2 알겠슘돠 18/10/13 2799 0
5649 기타아메리칸 파이 같은 성장영화를... 12 [익명] 18/10/13 2857 0
5650 기타피부 질문입니다 4 김치찌개 18/10/13 3460 0
5651 IT/컴퓨터폰 카메라가 흔들흔들해요 3 초이 18/10/13 3677 0
5652 기타간부출신 예비군이 병사 예비군한테 보통 반말하나요? 22 18/10/13 6520 0
5653 교육영어 문장 질문 6 DarkcircleX 18/10/14 3721 0
5654 의료/건강치과 치아교정 질문입니다.! 1 배차계 18/10/14 3417 0
5655 기타휴대폰 알람앱 추천 부탁드려요. 2 소환사쇽쇽 18/10/14 4323 0
5656 IT/컴퓨터이어폰 질문입니다. 10 메존일각 18/10/14 3381 0
5657 IT/컴퓨터5가지 후보군 중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메존일각 18/10/14 3538 0
5658 기타선조 vs. 인조? 11 덕후나이트 18/10/15 3427 0
5659 기타선조 몽진과 이승만 빤스런이 뭐가 다르죠? 35 벤쟈민 18/10/15 6762 0
5660 기타핸드폰 요금제 제가 잘 이해한건가요? 2 John Petrucci 18/10/15 3862 0
5661 연애의료이자 연애이긴한데요... 9 [익명] 18/10/15 9160 0
5662 IT/컴퓨터엑셀 그래프 질문드립니다. 9 렐랴 18/10/15 7352 0
5663 기타이런 방문 손잡이는 어떻게 고쳐야 할지요...?; 3 [익명] 18/10/15 240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