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10/11 11:12:23 |
Name | 덕후나이트 |
Subject | 유튜브 게임 리뷰는 저작권 침해가 아닌가요? |
요즘 유튜브 등으로 게임, 영화 리뷰를 하거나 게임 플레이하는 영상을 만들고 광고를 걸어서 돈을 버는 사람들 있잖아요? 외국의 퓨디파이, 솔직한 예고편, HISHE, Nostalgia Critic, 앵그리 죠, 기타 등등... 한국에도 있는 것 같고...솔직히 제가 이런걸 많이 보는게 아니라서 누구누구 있는진 잘모르지만 근데 이거 따지고 보면 저작권 침해에요? 게임 제작자, 영화 제작자들이 게임, 영화를 만든 이유가 "그 게임을 플레이해서 즐기라고", "그 영화를 보고 즐기라고" 만든거지 "그 게임 플레이 영상 올려서 돈 벌라고" 만든 것 같진 않은데요? 물론 제가 법에 대해서 잘 모르니 실제로는 합법일 수도 있고 설령 불법이더라도 제가 경찰도 아니니 그 사람들한테 따질 수도 없지만 최소한 합법인지 불법인지만이라도 알고 싶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덕후나이트님의 최근 게시물
|
http://hellamerdurial.blogspot.com/2015/02/youtube.html
게임사마다 케바케이긴 합니다.
저작권자 동의 없이 수익 창출하면 불법인데 그거 일일이 잡을 여력이 없다에 가깝겠지요.
게임사마다 케바케이긴 합니다.
저작권자 동의 없이 수익 창출하면 불법인데 그거 일일이 잡을 여력이 없다에 가깝겠지요.
미국 저작권법상 예외(fair use)가 있습니다. 교육 목적, 비판, 코멘트, 재창작물(패러디물 등) 등에 대해서요. 여기서 리뷰는 비판카테고리에 가장 가까울 것 같은데, 또 '비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요소들(factors)이 있습니다.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였는지, 저작물 전체(3분짜리 노래 끝까지 틈)에 대해 위반했는지, 비판의 비율이 높은지(1시간 영화 틀고 이 영화 진짜 괜찮네요 한 마디 코멘트가 전부..) 등 그 요소들을 전부 따져보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반적인 저작권 법 위반에 해당하나 예외의 적용대상이라 ... 더 보기
미국 저작권법상 예외(fair use)가 있습니다. 교육 목적, 비판, 코멘트, 재창작물(패러디물 등) 등에 대해서요. 여기서 리뷰는 비판카테고리에 가장 가까울 것 같은데, 또 '비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요소들(factors)이 있습니다.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였는지, 저작물 전체(3분짜리 노래 끝까지 틈)에 대해 위반했는지, 비판의 비율이 높은지(1시간 영화 틀고 이 영화 진짜 괜찮네요 한 마디 코멘트가 전부..) 등 그 요소들을 전부 따져보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반적인 저작권 법 위반에 해당하나 예외의 적용대상이라 처벌을 면하게 되는지 결정하게 됩니다. 하지만, 신차 발표회에 허락없이 신나는 어떤 가수의 노래를 튼다든지 하는건 어쨌든 신차를 프로모션하기 위한 `상업적 용도`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저작권 위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미국 디지털 밀레니엄 법이 있는데, 이는 원 저작자가 유튜브 등에 올라온 자신의 저작물에 위반신고를 직접 해야 처번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즉, "어? 슬랭덩크 누가 전편 다 올렸네ㅎㅎ 개이득."이라고 해도, 슬래덩크 원 저작자인 이노우에가 "제꺼 누가 허락없이 여기 통째로 올렸어요. 저작권법 위반이에요."라고 신고해야, 그걸 올린 사람이 처벌 받는 것입니다.
그리고, "No copyright infringement intended"라고 쓴 유튜버들이 많은데 이 문구는 소용이 없습니다..
또한, 미국 디지털 밀레니엄 법이 있는데, 이는 원 저작자가 유튜브 등에 올라온 자신의 저작물에 위반신고를 직접 해야 처번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즉, "어? 슬랭덩크 누가 전편 다 올렸네ㅎㅎ 개이득."이라고 해도, 슬래덩크 원 저작자인 이노우에가 "제꺼 누가 허락없이 여기 통째로 올렸어요. 저작권법 위반이에요."라고 신고해야, 그걸 올린 사람이 처벌 받는 것입니다.
그리고, "No copyright infringement intended"라고 쓴 유튜버들이 많은데 이 문구는 소용이 없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