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10/19 14:17:48
Name   [익명]
Subject   이런 아버지 어떻게 해야할까요?
밑에 글과 같은 글쓴이입니다. 주제가 많이 다른 것 같아서 글을 따로 올립니다.

어릴 때부터 아버지가 참 문제였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 답답해서 글을 올려보네요. 아버지에 대해 간략하게 얘기하자면 올해 만으로 61세구요. 여태까지 사업을 5번 넘게 하다가 죄다 실패하고 술독에 빠져 살다가 중간중간 막노동하면서 생계를 겨우 유지해왔습니다.
술,담배만 40년 가까이 하신걸로 아는데.. 그 중에 술이 너무 큰 문제입니다. 도저히 어떻게 할 방법이 없을 정도로 상태가 안 좋습니다. 제가 내년에 서른이 되는데 제가 태어나서 부터 술에 빠져 산 세월이 아닌 세월보다 더 많았습니다. 술에 취하면 집에서 소리지르고 가족들한테 폭행도 하다가 제가 성인이 되고부터는 몸싸움하다가 이젠 힘이 안되니 그나마 잠잠해지긴 했는데 그래도 상습적인 음주운전, 엘레베이터에서 취침, 집안밖에서 대소변을 못가리는 그런 비정상적인 행동을 계속해서 너무 짜증납니다. 방금 전에도 술취한 상태에서 밥먹고 바닥에 다 뱉어놔서 치우고 오는 길입니다...

그나마 술이 안 취할 때는 괜찮습니다만.. 언제부턴가 술을 안 마실 때도 술 취한 사람처럼 보일 때도 있더군요. 아침부터 돈달라고 집에서 소리치고 안 주면 집에 온갖 물건은 다 헤집어서 어떻게든 술 한병 살 돈은 마련해서 편의점으로 향합니다. 그리고 종일 술취한 상태로 밖에 돌아다니다 집에 들어와서 자고 일어나면 똑같은 행동을 반복합니다. 도저히 진지한 얘기가 안 통하는 사람이기도 하고 제가 지금 공시생으로 있어서 뭐라 할 처지가 아닌게 참으로 답답합니다. 지금으로썬 뾰족한 수가 없어서 나중에 취업을 하면 그땐 어떻게 하면 좋을지 혹시 저랑 비슷한 상황에 있는 분이 있으실지 어떤 답변이라도 좋으니 댓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레지엔
알코올 중독자고 그로 인해서 명백한 피해를 가족한테 입히는 것이라, 변호사와 상담하셔서 진행하시는게 좋습니다. 보통 금치산자나 한정치산자 등록하면서 병원 강제입원을 고려하게 됩니다. 근로가 가능해서 과연 여기까지 등록이 가능할 것인지 의문이긴 합니다만...
여담이지만 중증의 알코올 중독자가 자력으로 개심해서 끊는 것은 신앙 간증에서나 나올법한 얘기입니다. 외부의 강력한 개입 없이 치료하기 힘들어요. 특히 폭력이나 기물파손이 동반된 경우는요.
8
[글쓴이]
금치산자랑 한정치산자가 강제입원 대상이 되는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저희 큰아버지도 비슷한 케이스였는데 결국 돌아가실 때까지 그 버릇 못 고쳤습니다..이혼하고 직장잃고..술로 인간이 어떻게 망가지는지 인간의 바닥을 본 일이 있는데..원하는 답은 아니시겠지만 사람은 안변해요..
레지엔님 말씀대로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글쓴이]
정말 오늘부터 술 안 마시겠다고 한 말을 만번은 넘게 들었을겁니다.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는 말 너무 와닿네요.
기쁨평안
제 주변에 두번의 케이스가 있었는데 못고칩니다.
무조건 강제입원밖에는 답이 없습니다.

강제입원을 해서 6개월정도 지나면 술도 깨고 몸도 건강해집니다. 그럼 멀쩡해요.
그럼 어쩔수없이 퇴원을 합니다.
그러면 또 술을 찾죠..

너무 어두운 이야기만 드려서 죄송한데..

한가지 희망을 드리자면 두 케이스에서 한분은 남성, 한분은 여성이었는데,
두분다 손주가 태어나자 끊으시긴 했어요.
정말 핏줄에 대한 사랑이 얼마나 위대한지 절감했어요.

그런데 그게 아니고서는 사실...거의 불가능한 것 같고..
또 모든 알... 더 보기
제 주변에 두번의 케이스가 있었는데 못고칩니다.
무조건 강제입원밖에는 답이 없습니다.

강제입원을 해서 6개월정도 지나면 술도 깨고 몸도 건강해집니다. 그럼 멀쩡해요.
그럼 어쩔수없이 퇴원을 합니다.
그러면 또 술을 찾죠..

너무 어두운 이야기만 드려서 죄송한데..

한가지 희망을 드리자면 두 케이스에서 한분은 남성, 한분은 여성이었는데,
두분다 손주가 태어나자 끊으시긴 했어요.
정말 핏줄에 대한 사랑이 얼마나 위대한지 절감했어요.

그런데 그게 아니고서는 사실...거의 불가능한 것 같고..
또 모든 알콜중독자가 손주가 있다고 술을 끊는 것은 아닐테니까요....
[글쓴이]
저도 계속 강제입원만이 답이라고 생각이 들긴 했었습니다. 약물중독은 상황이 변하지 않으면 개인의 의지만으론 한계가 있는 것 같아요.
알코올 대사 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몸을 몹시 고통스럽게 만들고, 그럼으로써 금주 동기를 유발하는 disulfiram이라는 약물이 있습니다. 이 약이 한 2주 가는데, 피하 주사해서 12주 가게 만드는 제형도 있습니다.

단, 이 약 효력 있으면서 알코올을 섭취하면 죽음에 가까운 고통을 맛볼 것이므로, 알코올성이든 뭐든 치매가 이미 와 있다면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외 병원에 입원만 한다면 중독을 깨뜨릴 약들이 좀 있습니다. 물론 재발까지 막는 건 아니고요.
레지엔
디설피람 더이상 국내 시판안되지 않나요?
지금 검색해 보니, 알콜스톱정(신풍제약) 생산 자진취하라고 나오는군요. 약화 사고라도 있었나 봅니다. 제약회사가 자선단체도 아닐 거고...
[글쓴이]
그런 약물이 있었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주절주절 적었다가 너무 흥분해서 쓴 것 같아서 지웠습니다.
알콜 중독 아버지를 제가 10여년 겪으며 느낀 건...
솔직히 냉정하게 말해서 아버지는 그냥 빨리 포기하고 남은 가족이라도 살자는 심정으로 살아야 합니다.
본인이 의지가 있어도 안 끊어지는데 나는 괜찮은데 니들 왜이러냐~? 이러면? 답 없습니다.
강제입원이든 뭐든 냉정하게 남은 가족이라도 가능한 정상적으로 살 방법을 함께 논의해서 찾아나가시길 조언드립니다.
[글쓴이]
정말 아버지때문에 불안해서 살 수가 없습니다. 오늘,내일은 또 어느 일이 펼쳐질지 모르는 두려움이 엄습해오네요. 남은 가족은 살자는 심정 너무 동감합니다.
Azurespace
강제입원하려면 가족 두 명 이상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제 주변에 나아지겠지 하다가 어머니 돌아가시고 나서는 강제입원도 못 시키고 어떻게 할 방법이 없어서 엄청 힘들어하던 사람이 있었어요.
기회가 얼마 없을 수도 있습니다.
[글쓴이]
가족 두 명이면 되는군요.. 대화를 해 본 후에 최후의 카드로 써야겠군요. 감사합니다.
삼십네짤
위에도 댓글 남겼었는데요. 강제입원의 경우 저희가 시켰을때는 6개월 이후 재심사를 해야했습니다.
그게 최근엔은 3개월로 줄었다고 하더라구요.
저희 아버지의 경우는 1개월 정도 기간의 강제 입원을 3-4차례 했었습니다.
그 이후 결국 온 가족이 독한 마음을 먹고 6개월을 입원 시켜봤구요.
(스스로 인정하고 치료받겠다는 말이 나올때까지는 입원을 시킬 생각이었습니다.)
6개월을 있어도 술을 끊겠다는 말은 커녕 줄여보겠다는 소리도 안하더군요.

6개월 후 재심사에서 저와 어머니, 형까지 모두 아마 보건소 직원 같은데 그 사람과... 더 보기
위에도 댓글 남겼었는데요. 강제입원의 경우 저희가 시켰을때는 6개월 이후 재심사를 해야했습니다.
그게 최근엔은 3개월로 줄었다고 하더라구요.
저희 아버지의 경우는 1개월 정도 기간의 강제 입원을 3-4차례 했었습니다.
그 이후 결국 온 가족이 독한 마음을 먹고 6개월을 입원 시켜봤구요.
(스스로 인정하고 치료받겠다는 말이 나올때까지는 입원을 시킬 생각이었습니다.)
6개월을 있어도 술을 끊겠다는 말은 커녕 줄여보겠다는 소리도 안하더군요.

6개월 후 재심사에서 저와 어머니, 형까지 모두 아마 보건소 직원 같은데 그 사람과 통화를 해서
입원 연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연장될 수 있도록 부탁했습니다.
그런데 거절을 당했고 퇴원을 했고, 가족에 대해서 더 불신감을 갖게 되었고 술 마시는 부분이 호전된 건 없습니다.
더 악화됐다고 볼 수도 있겠죠.
아마 자신을 강제입원제도의 피해자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입원 당시 의료진을 많이 괴롭혔습니다. (인권위에 민원을 넣는 등...나름 좀 배우신 분이라 저항하는 방법도 수준이 높네요.)
의료진들이 입원 기간동안에도 상당히 피곤해했고, 아마 병원측에서 입원 연장이 필요없다는 의견을 낸 게 아닐지..
가족들은 그렇게 추측은 하고 있습니다만 진실은 모르겠습니다.
하여튼 그 이후 저희 가족은 강제 입원은 선택지로 두지 않고 있습니다.
평생 입원시킬 거 아니면 본인이 병을 인정하지 않는 이상은 부작용이 더 큰 것 같아서요.
(다만 정말 폭력적이라서 감당이 안될 정도면 계속 반복적으로 입원을 시키든..방법을 강구해야겠지요.)
저희 아버지는 다행히 아직까지 폭력성은 그렇게 심하진 않습니다. 다만 점점 과격해져가고는 있습니다.

여하튼 지금은 그 기간이 3개월로 줄었다고 들었고, 아마 재심사도 더 까다롭지 않을까 합니다.
가족과 잘 상의해서 결정하길 바라고...

한 가지 조언 드리고 싶은 것은 강제 입원 시킨다고 하고, 아버지 술 못마시게 간섭하고 그러면 주변에서 이상하게 볼지도 모릅니다.
어떤 사람들은 자세한 상황도 모르면서 가족들을 욕하기도 합니다.
멀쩡한 사람 정신병자 만든다는 둥...남자가 술 좀 마실수도 있지 뭘 그런걸로 그러냐는 둥...
목숨 걸고 아버지를 간호하는 어머니한테는 니가 다른 남자랑 바람이 나서 그러는거 아니냐는 둥...
다 깡그리 무시하고 그런 인간들 인간관계는 다 끊어버리시는 게 좋습니다.
하등 도움이 안되는 인간들입니다.
저는 저희 아버지 친척들이 그 난리를 쳐서 그 이후로 연을 끊었습니다.
[글쓴이]
장문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 보니 역시 쉽게 생각할 것이 아니었네요. 실제로 아버지를 강제입원 시키면 윗 상황과 같은 일이 벌어질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저희 아버지는 피해의식도 좀 있고 원래부터 한 성격 하시는지라.. 병원에 간다면 난장판 될 것 같네요. 주변 지인분이나 친척들의 거센 항의도 예상되구요. 저는 이런 과정을 버틸 자신이 있는데 어머니는 그럴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워낙 주위 사람들 신경을 많이 쓰고 사시는 분이라서요. 참 어려운 문제네요.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됐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64 경제전세자금대출시 배우자 부채내역도 공유가 되나요? [익명] 18/10/16 7464 0
5666 IT/컴퓨터인터넷 연결이 안됩니다. 1 緑谷出久 18/10/16 3149 0
5667 기타도쿄 나카노역 근처에 점심맛집있을까요? 5 계피 18/10/16 3582 0
5668 기타요리 관련일까요? 좀 뻘질문;; 13 18/10/16 4255 0
5669 기타만약 독도에서 석유가 나온다면...? 4 덕후나이트 18/10/16 3637 0
5670 기타과일이나 채소를 뜨거운 물에 담가 씻기...?? 6 grey 18/10/16 4047 0
5671 기타직장 선배의 뒷담화를 들었습니다. 13 [익명] 18/10/16 5999 0
5672 진로휴학할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12 [익명] 18/10/17 2949 0
5673 기타백신 프로그램 질문입니다 3 김치찌개 18/10/17 2755 0
5674 기타신차 인수 관련 질문입니다 2 혼돈의카오스 18/10/17 3377 0
5675 진로대학 입학 면접 볼 때 팁이 있을까요? 26 호라타래 18/10/17 2884 0
5676 연애도도하고 당당한 여자와는 어떻게 친해질 수 있을까요...? 17 [익명] 18/10/17 3024 0
5677 가정/육아놀이매트에 묻은 네임펜 지우는 방법 아시는 분... 4 SCV 18/10/17 8721 0
5678 IT/컴퓨터테더링 어플 추천 받습니다(안드로이드) 별빛 18/10/17 3519 0
5679 IT/컴퓨터모바일용 링크에 접속해도 PC페이지로 7 OshiN 18/10/18 4812 0
5680 의료/건강코 세척기 써보신 분 있나요? 괜찮은지요? 3 [익명] 18/10/18 2545 0
5681 의료/건강육회비빔밥과 안전 5 지금여기 18/10/18 4561 0
5682 의료/건강인데놀 질문드립니다. 7 비비아리 18/10/18 7477 0
5683 연애애정표현 차이 때문에 많이 섭섭합니다 40 [익명] 18/10/18 15047 0
5684 의료/건강술자리에서 술 안마실 수 있는 최고의 핑계?? 18 [익명] 18/10/18 12861 0
5686 법률교통사고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3 [익명] 18/10/18 2162 0
5687 의료/건강 흉터 연고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리페이스 18/10/19 4918 0
5688 기타킨텍스 가면 점심은 어디서 해결하나요?? 3 [익명] 18/10/19 2734 0
5689 가정/육아주류구매만 막는 신용카드가 있을까요? 10 [익명] 18/10/19 3068 0
5690 가정/육아이런 아버지 어떻게 해야할까요? 16 [익명] 18/10/19 320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