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10/31 19:48:43
Name   [익명]
Subject   전기자동차 학과를 가는 것이 메리트가 있을까요?
최근에 경제 관련 팟캐스트를 듣다가 전기자동차에 관한 내용을 들으니 아마 미래엔 전기차가 대세가 될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구글에서 전기차 검색을 해보니 전문적으로 수리하는 곳이나 인원이 없어서 크게 골머리를 앓는다고 하는 기사를 봤습니다.

그런데 다른 기사를 보니 올해 최초로 모 대학에서 전기자동차 학과(2년제)를 만들고 관련 교육시설을 만들었다는 기사를 봤는데 이 학교가 제가 사는 지역의 학교더군요. 갑자기 솔깃해져서 입학기준을 보니 입학이 크게 어려워 보이진 않고.. 그래서 한번 들어가볼까? 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는데.. 문제는 제가 나이가 내년이면 30입니다. 시행착오를 겪기엔 나이도 많고 20대때 뭔가 쌓아온 커리어도 없어서 (문돌이, 대학 자퇴..) 좀 절박한 상황인데요. 공무원 쪽으로 방향을 잡고 준비하던 와중에 이런 생각이 들어서 기분이 싱숭생숭합니다.

그래서 형에게 제 고민을 얘기하니 형은
1. 거기 졸업한다고 어디 취업이 보장되는 건 아니다. 취업을 해도 현대,기아 정직원이 아닌 하청업체 뺑뺑이만 돌 것이다. 2. 너 나이가 많다. 대학 분위기도 그렇게 좋지 못할텐데 가면 후회 할 확률이 높기에 시행착오를 겪기엔 시간이 아깝다. 3. 인력이 정말 부족하다 싶으면 정부에서 직업학교 만들어서 공장식으로 정비사들 찍어내서 물량 폭발할거다. 아니면 기업에서 기존 자동차 정비인원을 재교육 시키거나 기존의 그 많은 자동차 정비사들이 새로운 기술을 더 쉽게 배울거다. 4. 한국은 기술을 천시하는 국가라 사장만 배가 부르고 넌 일만 엄청 할 것이다. 5. 너가 정비하고 그런 일을 잘 할 것 같지도 않다. 6. 그래서 결론은 닥치고 공무원해라 공무원이 짱이다.

요렇게 말하던데.. 워낙 뭐든 부정적인 성향을 가진 형이지만 아예 틀린 말 같지는 않기도 한데... 하지만 이런 학과를 나왔다고 차량정비만 하는 것은 아닐 것 같기도하고..그래서 다른 곳에서 수요가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그냥 답답해서 질게에 글 올려보네요. 혹시 여러분 생각은 어떠세요?



0


우주최강귀욤섹시
고졸, 전문대졸 등 사람들이 기술 배우면 먹고산다라고 하는데 완전히 틀린 말입니다. 만약에 전기자동차 학과를 나와서 정비소 같은 곳에서 일 하면 알바 수준을 못 벗어납니다. 중소기업도 마찬가지고. 이런 2년제를 가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건 '대기업'을 들어갈 수 있느냐 마느냐입니다. 못 들어가면 그 형님 말대로 사실상 하청 뺑뺑이 알바 수준을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이런 대기업 정규직은 그냥 블루오션으로 퉁치고 뚫기에는 경쟁률이 엄청납니다. 일단 일반적인 코스로 글 쓰신 분이 그 학과 나와서 대기업 들어가기엔 사... 더 보기
고졸, 전문대졸 등 사람들이 기술 배우면 먹고산다라고 하는데 완전히 틀린 말입니다. 만약에 전기자동차 학과를 나와서 정비소 같은 곳에서 일 하면 알바 수준을 못 벗어납니다. 중소기업도 마찬가지고. 이런 2년제를 가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건 '대기업'을 들어갈 수 있느냐 마느냐입니다. 못 들어가면 그 형님 말대로 사실상 하청 뺑뺑이 알바 수준을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이런 대기업 정규직은 그냥 블루오션으로 퉁치고 뚫기에는 경쟁률이 엄청납니다. 일단 일반적인 코스로 글 쓰신 분이 그 학과 나와서 대기업 들어가기엔 사실 나이 때문에 불가능이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그렇다면 남은 건 4년제는 나오신 것 같은데 그 4년제 학력과 전문대졸 기술을 어필해서 중소기업급 관리자로 가는 것인데 이 선택이 그렇게 매력적인 선택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결국 본인이 얼마나 잘 해야 하냐 뿐만 아니라 얼마나 괜찮은 사장을 만나냐가 되거든요. 합격이 가능하다고 본다면 그냥 최선의 선택지는 공무원이 맞다고 봅니다.
1
[글쓴이]
대학은 자퇴한 상태고.. 역시 나이가 문제려나요.
맥주만땅
만약 전문적인 일을 하고 싶다면 4년제 기계공학과를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자동차 정비 같은 일을 하시고 싶다면 폴리텍대학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
[글쓴이]
폴리텍은 전기자동차는 거의 안 배운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검색해보니 올해 신설된 관련 학과가 있어서 질문드렸네요.
맥주만땅
지금 전기자동차를 제대로 특성화해서 가르칠 수 있는 곳은 것의 없을 겁니다.
신설되었다고 해도 그냥 RC카 수준의 실습용 차 만들어보고, 시판중인 전기차 뜯어보고 하는 것이 다 일겁니다.

전기차는 그냥 전자제품이라서 지금 차량에서 특별히 더 알아야 될 것은 오히려 더 적어집니다.

일단 차를 공부하고 나서 전기차를 공부하면 됩니다.
1
[글쓴이]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CONTAXS2
사람들이 많이 잘못 생각하는 것이 있는데
전기 자동차는 [전기]자동차가 아니라 전기[자동차]입니다.

애플이네 테슬라네 중국 중소기업이네 하면서 마치 아무나 만들 것 처럼 하지만
결국 자동차의 생명은 거동입니다.

전기를 끼워넣은 것뿐이지 실제로는 자동차(공학)과에서 배우거나 기계(공학)과에서 배우시는게 낫습니다.
나이때문에 짧게 마치셔야한다면 자동차과를 추천드리긴 합니다만...

이게 또 선배들도 중요하고 그래서 신설대학은 좀 꺼려지네... 더 보기
사람들이 많이 잘못 생각하는 것이 있는데
전기 자동차는 [전기]자동차가 아니라 전기[자동차]입니다.

애플이네 테슬라네 중국 중소기업이네 하면서 마치 아무나 만들 것 처럼 하지만
결국 자동차의 생명은 거동입니다.

전기를 끼워넣은 것뿐이지 실제로는 자동차(공학)과에서 배우거나 기계(공학)과에서 배우시는게 낫습니다.
나이때문에 짧게 마치셔야한다면 자동차과를 추천드리긴 합니다만...

이게 또 선배들도 중요하고 그래서 신설대학은 좀 꺼려지네요. 공무원 공부하시느라 힘드셔서 딴데 잠깐 눈을 돌리신거라면 ... 저라도 공무원을 ㅠ
근데 그게 또 승률이 어떨라나 모르겠고 ㅠ
5
[글쓴이]
그냥 묵묵히 시험 준비만 해야겠네요. 원래부터 자동차에 대해 크게 관심이 있었던 것도 아니였는데 기사들을 보니 갑자기 감정적으로 생각한 것 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우주최강귀욤섹시
덧붙여 좋은 직업이라는 것은 그 장벽이 법적으로든, 정치적으로든 진입에 있어 보호가 되는 직업이 좋은 직업입니다. 노조가 보호해주는 정규직이든, 법적으로 신분을 보장하는 전문직이든 공무원이든요. 그 것이 아니라면 그냥 무한경쟁 승자독식구조밖에 없습니다. 그 형님 말대로 전기차 시장 유망하면 유망한 만큼, 수요가 있는 만큼 죄다 그 시장으로 뛰어들텐데 거기서 경쟁력 없으면 낙오되는 겁니다. 새로운 인력이든 기존 인력의 재배치든간에요.
1
[글쓴이]
형과 비슷한 얘기를 하시는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다람쥐
다른것보다 나이가 젤 문젠거같아요
지금 실업계 고등학생들이 학교에서 연수로 일하다가 전문대나와서 취직하거나 실업계 전형으로 곧바로 취직할텐데 글쓴님과 띠동갑인데다 ㅠㅠ
그런 기술직일수록 일 시킬때 편리함+빠른 습득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어린 사람 좋아하는것같습니다
1
[글쓴이]
마지막 줄은 저도 공감하네요. 몇 달 뒤면 나이 앞자리가 바뀐다는 게 실감이 안 납니다. 하하;
답변 감사합니다.
다시갑시다
인턴이였지만 테슬라에서 일해보기도했고 여전히 테슬라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한다리 건너 많은데 “전기자동차” 전공은 별소용 없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CONTAX2님 말이 가장 정확해요. 전기 자동차도 결국엔 [자동차]인것을 벗어날수는 없습니다. 기존 차보다 전자제품이 조금 더 들어간 [자동차]에요. 기계공학이나 아날로그 전자공학하는게 훨씬 유리할거에요. 특히나 한국에는 애초에 전기자동차가 언제 제대로 들어갈지도 모르겠는데 전기자동차 정비사라는 것을 목표로 무언가를 시작하는 리스크가 너무 큰 선택 같습니다.
4
[글쓴이]
리플들을 보니 그냥 막연한 생각이었네요. 원래 준비하던 시험이나 집중해야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현타247
우와 텟쓸라 인턴 넘모 머시써여
다시갑시다
다른 회사 다녀본건 아니지만 정작 가보면 다른곳이랑 큰차이 없을거라 생각해요 ㅋㅋ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67 여행처음으로 스페인 패키지여행을 갑니다. 여행관련 팁좀 부탁드려요 7 모모이 하루코 18/10/29 4195 0
5768 의료/건강[의료넷]발가락 골절 질문입니다 7 제피 18/10/29 6199 0
5769 경제은행대출 이자 납입과 카드론. 5 침묵의공처가 18/10/29 3700 0
5770 기타시계를 사고 싶습니다... 12 의미있는삶 18/10/29 3128 0
5771 의료/건강아기 발톱이 빠졌습니다 ㅠㅠ 9 쉬군 18/10/29 5540 0
5772 기타북한 사람들 정말로 굶주리며 사나요? 12 덕후나이트 18/10/29 3480 0
5773 진로2차 임원면접 질문 2 [익명] 18/10/29 3251 0
5774 여행여자 혼자 갈수있는 여행지 추천 4 셀레네 18/10/30 3522 0
5775 연애배우자의 성격/외모를 총합 100 능력치로 나눈다면? 16 [익명] 18/10/30 2994 0
5776 의료/건강죽고 싶다는 지인 9 [익명] 18/10/30 2664 0
5777 의료/건강스케일링 비용도 실비보험 청구가 되나요? 2 [익명] 18/10/30 7085 0
5778 문화/예술폴킴도 조작인가요? 14 Toby 18/10/30 6548 0
5779 진로31살.. 공무원준비는 늦었을까요? 12 라면인건가 18/10/30 11903 0
5780 홍차넷홍차넷 종모 7 psyredtea 18/10/30 4065 0
5781 가정/육아결혼 결심에 대하여 20 [익명] 18/10/30 2811 0
5782 의료/건강통증 문의 [익명] 18/10/30 2365 0
5784 기타서울 막국수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쿠치킹 18/10/31 4161 0
5785 IT/컴퓨터아이폰 앱 차단방법 질문합니다. Darwin4078 18/10/31 3631 0
5786 의료/건강의료소송 가능성 등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19 [익명] 18/10/31 3357 0
5789 기타여행자도 외국에서 계좌/통장 만들 수 있는지요...? 6 [익명] 18/10/31 3115 0
5790 기타전기포트 추천 부탁드려요. 12 하얀 18/10/31 4615 0
5791 가정/육아초음파식 가습기는 절대 안써야하나요? 6 [익명] 18/10/31 2979 0
5792 게임혹시 PS3, 엑박 360 세대 잘 아시는 분 있나요? 4 덕후나이트 18/10/31 3336 0
5793 기타보일러 교체 관련 질문입니다. 7 쉬군 18/10/31 3305 0
5794 진로전기자동차 학과를 가는 것이 메리트가 있을까요? 16 [익명] 18/10/31 340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