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2/06 23:42:53수정됨 |
Name | [익명] |
Subject | 착하게 살면 복 받는다는 식의 인과응보를 믿으시는지요...? |
안녕하세요.. 과학적 물리법칙이나 '행위에는 결과가 따른다'는 식의 객관적 인과응보 외에도 흔히 말하는 '뿌린대로 거둔다', '나쁜 짓 하면 벌 받고 착한 일 하면 복 받는다', '남의 눈에 눈물 나게 하면 본인 눈에서는 피눈물나게 된다'는 식의 주관적 인과응보도 있어서 그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동서를 막론하고 인과응보의 사상은 오래 전부터 존재해왔는데요.. 이러한 인과응보가 꼭 현실에서는 통용되지 않는 사례도 있어서 예전 사마천 같은 사람도 '도척은 악인이지만 평생 잘 먹고 잘 살았고, 공자의 제자인 안회는 성인이지만 평생 고생하다 죽었다. 과연 하늘의 도리란 옳은 것일까 그른 것일까?' 라고 그 인과응보의 존재에 대한 의문도 많았던 것 같습니다.. 현대에도 착한 일 하면 복 받고 나쁜 짓을 하면 벌 받는 경우가 분명 많지만, 거꾸로 악한 사람이 성공하고 선한 사람이 피해를 보는 경우도 분명 존재하는 것 같은데요 당장은 인과응보가 통하지 않는 것 같아도 착하게 살고 선행을 하면 결국은 꼭 본인이 아니더라도 그 자식대에서라도 복을 받고, 악행을 하고 남을 괴롭히면 꼭 본인이 아니더라도 그 자식들이 병에 걸리거나 평생 저주를 받게 된다, 남에게 피해주지 말고 업을 짓지 말아라, 나쁜 행동은 전부 업보가 되어 설사 당대에는 안 나타나더라도 결국은 가족, 자손 대대로 물려받게 된다고 여기는 의식도 있는데 이런 주관적 의미의 인과응보, 사필귀정을 믿는 분 계신지요...? 아니면 이런 생각은 귀신이 존재한다고 믿는 것과 같은 수준의 사고방식일까요...? 혹은 나쁜 짓을 했어도 착한 행동을 더 많이 했다면 서로 상쇄가 된다는 식으로 인과응보도 인간의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는 것일까요...? 0
|
저는 그걸 종교의 영역으로 보고 있어요
말씀하신대로, 그걸 믿지 않으면 세상이 더 무법지대가 될 것이지만 그게 자연법칙만큼 완전한 법칙은 아니니까요.
이번생에라도, 아니면 내세나 내 일가친척에라도 응보라는 형식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은 인류가 사회를 지탱하기 위해 가져 온 도덕과 윤리를 넘어서 종교의 영역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말씀하신대로, 그걸 믿지 않으면 세상이 더 무법지대가 될 것이지만 그게 자연법칙만큼 완전한 법칙은 아니니까요.
이번생에라도, 아니면 내세나 내 일가친척에라도 응보라는 형식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은 인류가 사회를 지탱하기 위해 가져 온 도덕과 윤리를 넘어서 종교의 영역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저는 안 믿습니다만
그렇게 믿고 싶어서 마음이 편해진다는 분들이 믿고 사시는 것도 존중합니다 종교도 마찬가지고요
사람이 모든 일을 이성적으로 논리적으로 다 해명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본인 마음이 편하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믿고 싶어서 마음이 편해진다는 분들이 믿고 사시는 것도 존중합니다 종교도 마찬가지고요
사람이 모든 일을 이성적으로 논리적으로 다 해명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본인 마음이 편하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좋은 일을 많이 하고 다니면
나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한명이라도 더 늘어날 것이고.... 언젠가 그들에게 호의를 받을 수 있으니
복 받을, 좋은 일이 생길 확률이 0.000001 % 라도 올라갈 것이고
내가 악행을 저지르고 다닌다면
나를 싫어하는 사람이 한명이라도 늘어날테니 언젠가 그들에게 보복을 당할 수 있겠죠.
그런 의미라면 맞는 말이라고 생각하고
선행,악행을 쌓았을때 하늘이나 절대자, 신 등이 상,벌을 내린다는 개념이면 없다고 생각합니다.
나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한명이라도 더 늘어날 것이고.... 언젠가 그들에게 호의를 받을 수 있으니
복 받을, 좋은 일이 생길 확률이 0.000001 % 라도 올라갈 것이고
내가 악행을 저지르고 다닌다면
나를 싫어하는 사람이 한명이라도 늘어날테니 언젠가 그들에게 보복을 당할 수 있겠죠.
그런 의미라면 맞는 말이라고 생각하고
선행,악행을 쌓았을때 하늘이나 절대자, 신 등이 상,벌을 내린다는 개념이면 없다고 생각합니다.
현생의 기준으로 보면 믿을 수 없다고 보고요.
윤회관이나 극락이나 천당의 사후 세계를 믿는 다면 뭐 합리화 시킬 수 있는 부분이죠.
착하게 살아도 재수없게 어디서 가스관이 터져서 날아오른 멘홀 뚜겅이 수십미터를 날아가 사람이 죽기도 하고
건물 자재가 떨어져 죽기도 하니까요. 아무 죄도 안 저지른 영유아 들의 사망 역시 마찬 가지고요.
그러기 때문에 종교적인 윤회 및 내세관을 믿지 않으면 이성적으론 그냥 별 의미 없는 거라고 봐야죠.
뭐 애초에 종교적인 것도 사회 현상 유지를 위해 저런 세계관을 만든 거라고 보기 땜에 그마저도 의미가 없을 수도 있고요
윤회관이나 극락이나 천당의 사후 세계를 믿는 다면 뭐 합리화 시킬 수 있는 부분이죠.
착하게 살아도 재수없게 어디서 가스관이 터져서 날아오른 멘홀 뚜겅이 수십미터를 날아가 사람이 죽기도 하고
건물 자재가 떨어져 죽기도 하니까요. 아무 죄도 안 저지른 영유아 들의 사망 역시 마찬 가지고요.
그러기 때문에 종교적인 윤회 및 내세관을 믿지 않으면 이성적으론 그냥 별 의미 없는 거라고 봐야죠.
뭐 애초에 종교적인 것도 사회 현상 유지를 위해 저런 세계관을 만든 거라고 보기 땜에 그마저도 의미가 없을 수도 있고요
믿습니다. 남에게 해꼬지 하는 마음씀씀이로는 오래도록 평안하게 살기 힘들고 결국 자신에게 돌아오게 되어있다고 봐요. 그런 마음씀씀이로 주변에 다 해꼬지하면 주변 사람들이 다들 자기한테 원한을 갖거나 떠나갈텐데 행복할까요? 십년 후에 안 받아도 수십년 후에, 이번 생에 댓가를 안 받아도 다음생에 받을겁니다.
전모 전 대통령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밥굶지 않고 돈이 넉넉하다고 행복한건 아니니까요. 그리고 원한을 가진 사람이 수만은 될텐데 과연 계속 평안한 삶을 할지 어떨지...
경제적으로 풍족한 것을 행복이라 치... 더 보기
전모 전 대통령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밥굶지 않고 돈이 넉넉하다고 행복한건 아니니까요. 그리고 원한을 가진 사람이 수만은 될텐데 과연 계속 평안한 삶을 할지 어떨지...
경제적으로 풍족한 것을 행복이라 치... 더 보기
믿습니다. 남에게 해꼬지 하는 마음씀씀이로는 오래도록 평안하게 살기 힘들고 결국 자신에게 돌아오게 되어있다고 봐요. 그런 마음씀씀이로 주변에 다 해꼬지하면 주변 사람들이 다들 자기한테 원한을 갖거나 떠나갈텐데 행복할까요? 십년 후에 안 받아도 수십년 후에, 이번 생에 댓가를 안 받아도 다음생에 받을겁니다.
전모 전 대통령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밥굶지 않고 돈이 넉넉하다고 행복한건 아니니까요. 그리고 원한을 가진 사람이 수만은 될텐데 과연 계속 평안한 삶을 할지 어떨지...
경제적으로 풍족한 것을 행복이라 치면 이건희 회장의 막내딸이 자살할 이유는 없죠. 자기 막내딸이 자살했는데 이건희 회장은 행복할까요? 행 불행이 단편적인게 아니라서 타인은 함부로 생각할 수 없는 부분이 있습니다.
전모 전 대통령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밥굶지 않고 돈이 넉넉하다고 행복한건 아니니까요. 그리고 원한을 가진 사람이 수만은 될텐데 과연 계속 평안한 삶을 할지 어떨지...
경제적으로 풍족한 것을 행복이라 치면 이건희 회장의 막내딸이 자살할 이유는 없죠. 자기 막내딸이 자살했는데 이건희 회장은 행복할까요? 행 불행이 단편적인게 아니라서 타인은 함부로 생각할 수 없는 부분이 있습니다.
물리 법칙 처럼 법칙으로 존재하지 않겠지만 확률론 측면에서 저는 그런 사상을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내가 악행을 저지름으로 인해서 세상에 악행 하나가 늘어나는 변수가 적용될 것이고 그 악행 하나의 영향이 나비효과처럼 우리가 예측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작용하고 결국 그것이 돌아와 나와 내 가족, 내 지인에게 해가 될 확률이 올라간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추정하더라도 확률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돌아오지 않고 오히려 더 이득이 되는 경우의 수도 존재하겠죠.
선행은 반대로 내가 누군가를 용서하고 도움을... 더 보기
내가 악행을 저지름으로 인해서 세상에 악행 하나가 늘어나는 변수가 적용될 것이고 그 악행 하나의 영향이 나비효과처럼 우리가 예측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작용하고 결국 그것이 돌아와 나와 내 가족, 내 지인에게 해가 될 확률이 올라간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추정하더라도 확률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돌아오지 않고 오히려 더 이득이 되는 경우의 수도 존재하겠죠.
선행은 반대로 내가 누군가를 용서하고 도움을... 더 보기
물리 법칙 처럼 법칙으로 존재하지 않겠지만 확률론 측면에서 저는 그런 사상을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내가 악행을 저지름으로 인해서 세상에 악행 하나가 늘어나는 변수가 적용될 것이고 그 악행 하나의 영향이 나비효과처럼 우리가 예측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작용하고 결국 그것이 돌아와 나와 내 가족, 내 지인에게 해가 될 확률이 올라간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추정하더라도 확률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돌아오지 않고 오히려 더 이득이 되는 경우의 수도 존재하겠죠.
선행은 반대로 내가 누군가를 용서하고 도움을 준다면 내가 힘들거나 내 주위 사람이 어려울때 그 도움이 돌아올 확률이 올라간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한 행위 자체가 절대 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겠지만 분명한 것은 이 세상을 이루고 있는 요소이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비유하자면 우리가 투표를 할때 내가 뽑음으로써 해당 후보자가 당선이 되지는 않겠지만 내가 그 후보를 지지하는 행위가 선거에 한 요소로 영향을 주고 결국 그런 것들이 모여서 누군가는 당선이되고 탈락을 하는 것이죠. 인과응보도 그러한 영역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착하게 살지는 못해도 나쁘게 살진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나의 존재가 이세상에 악영향은 되지 않았으면 해서요.
그리고 요즘 보면 제가 생각했던 것처럼 선행과 악행들이 크게 돌아서 오는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연예인 마닷의 경우만 생각해봐도 부모의 악행이 거의 바로 자식에게 돌아간 케이스가 있으니까요...
내가 악행을 저지름으로 인해서 세상에 악행 하나가 늘어나는 변수가 적용될 것이고 그 악행 하나의 영향이 나비효과처럼 우리가 예측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작용하고 결국 그것이 돌아와 나와 내 가족, 내 지인에게 해가 될 확률이 올라간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추정하더라도 확률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돌아오지 않고 오히려 더 이득이 되는 경우의 수도 존재하겠죠.
선행은 반대로 내가 누군가를 용서하고 도움을 준다면 내가 힘들거나 내 주위 사람이 어려울때 그 도움이 돌아올 확률이 올라간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한 행위 자체가 절대 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겠지만 분명한 것은 이 세상을 이루고 있는 요소이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비유하자면 우리가 투표를 할때 내가 뽑음으로써 해당 후보자가 당선이 되지는 않겠지만 내가 그 후보를 지지하는 행위가 선거에 한 요소로 영향을 주고 결국 그런 것들이 모여서 누군가는 당선이되고 탈락을 하는 것이죠. 인과응보도 그러한 영역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착하게 살지는 못해도 나쁘게 살진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나의 존재가 이세상에 악영향은 되지 않았으면 해서요.
그리고 요즘 보면 제가 생각했던 것처럼 선행과 악행들이 크게 돌아서 오는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연예인 마닷의 경우만 생각해봐도 부모의 악행이 거의 바로 자식에게 돌아간 케이스가 있으니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