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3/22 21:19:52 |
Name | 장자 |
Subject | 진화론에 대해서 생각해보다가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
1. 사람의 기원이 원숭이라면 원숭이를 무한한 시간동안 번식시킨다면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 2. 인간은 원숭이가 진화한것이고, 원숭이는 무척추동물에서 진화한것처럼 이런 식으로 반복하다보면 최초의 유기체가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2-1)최초의 유기체는 과연 한종이였을까요? 모두가 같은기원에서부터 출발하였는지 아니면 생명체마다 기원이 달랐을 것인지 궁금합니다 2-2)최초의 유기체는 어떻게 탄생한건가요? 최초이후에는 진화론을 대입할수있지만 최초에는 무기물이 유기물이 되어야하는것인데 이것도 진화론으로 설명이 가능한가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장자님의 최근 게시물 |
1. 사람의 조상은 원숭이가 아닙니다. 원숭이와 사람이 공통의 조상을 공유할 뿐입니다.
2. 적절한 조건이 갖춰지면 무기물에서 유기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최초 지구의 조건이 어떠했는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2. 적절한 조건이 갖춰지면 무기물에서 유기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최초 지구의 조건이 어떠했는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1. 위에서 많이들 설명하셨지만
좀더 첨언하자면
원숭이가 번식하되 똑똑한 애들만 지속적으로 살아남는 진화압력이 존재하면 인간의 지능수준 까지 "우연히" 올라올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 개체가 인간은 아니겠죠. 지성을 지닌 또다른 영장류의 한 종이지.
2. 우연히 자기자신(의 구성 및 구조)을 복제하는 기능을 가진 무기물의 집합이
전기적/화학적 자극에 의해 무기물 스프(바다? 웅덩이?)에서 "발생"하고 지속적인 자기복제 및 돌연변이에 의한 구조의 복잡도/안정성 상승 에 의해서 생명체가 탄생했다고 보는게 학계의 중론인 것... 더 보기
좀더 첨언하자면
원숭이가 번식하되 똑똑한 애들만 지속적으로 살아남는 진화압력이 존재하면 인간의 지능수준 까지 "우연히" 올라올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 개체가 인간은 아니겠죠. 지성을 지닌 또다른 영장류의 한 종이지.
2. 우연히 자기자신(의 구성 및 구조)을 복제하는 기능을 가진 무기물의 집합이
전기적/화학적 자극에 의해 무기물 스프(바다? 웅덩이?)에서 "발생"하고 지속적인 자기복제 및 돌연변이에 의한 구조의 복잡도/안정성 상승 에 의해서 생명체가 탄생했다고 보는게 학계의 중론인 것... 더 보기
1. 위에서 많이들 설명하셨지만
좀더 첨언하자면
원숭이가 번식하되 똑똑한 애들만 지속적으로 살아남는 진화압력이 존재하면 인간의 지능수준 까지 "우연히" 올라올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 개체가 인간은 아니겠죠. 지성을 지닌 또다른 영장류의 한 종이지.
2. 우연히 자기자신(의 구성 및 구조)을 복제하는 기능을 가진 무기물의 집합이
전기적/화학적 자극에 의해 무기물 스프(바다? 웅덩이?)에서 "발생"하고 지속적인 자기복제 및 돌연변이에 의한 구조의 복잡도/안정성 상승 에 의해서 생명체가 탄생했다고 보는게 학계의 중론인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왜 하필이면 지구에 생겼냐구요?
x264628에서 생겼으면 왜 하필 x264628에만 생겼을까 거기서도 고민하고 있겠죠.
좀더 첨언하자면
원숭이가 번식하되 똑똑한 애들만 지속적으로 살아남는 진화압력이 존재하면 인간의 지능수준 까지 "우연히" 올라올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 개체가 인간은 아니겠죠. 지성을 지닌 또다른 영장류의 한 종이지.
2. 우연히 자기자신(의 구성 및 구조)을 복제하는 기능을 가진 무기물의 집합이
전기적/화학적 자극에 의해 무기물 스프(바다? 웅덩이?)에서 "발생"하고 지속적인 자기복제 및 돌연변이에 의한 구조의 복잡도/안정성 상승 에 의해서 생명체가 탄생했다고 보는게 학계의 중론인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왜 하필이면 지구에 생겼냐구요?
x264628에서 생겼으면 왜 하필 x264628에만 생겼을까 거기서도 고민하고 있겠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