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6/01/04 10:40:42
Name   오렌지플래닛
Subject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라캉 들뢰즈 관련)



원래는 어떤 회원분께 쪽지로 물어보려 했는데, 탈퇴하시는 바람에....질문글을 올려봅니다.

현대 철학자들 중 들뢰즈, 라캉 푸코.. 등등의 입문 철학서 중 추천해주실만한게 있을까요?

'차이와 반복'을 인터넷 카트에 넣고 이걸 사봐야 내가 읽을 수나 있을까...란 회의적인 생각이 들어서 여쭤봅니다.

김영사 지식인 마을 철학자 시리즈를 너무 재밌게 읽고서(강력히 권합니다. 아주아주 쉽고 잘읽혀요 그게 장점이자 단점이지만), 조금더 깊숙히
파고들고 싶어서 감히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전 이과고, 독서는 소설만 좋아라 읽었고 철학에 대한 배경지식은 몇 권 되지 않습니다...두껍고 어려운 책도 좋으니 대신 읽으면서 뭔소리지란
생각이 한페이지 한번은 버겁고 10페이지에 한 번씩만 나왔으면 좋겠네요 흐흐.



0


밤식빵
<욕망의 전복>,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입문>
오렌지플래닛
감사합니다! 원전 못지 않게 어려워보여서 두렵지만 도서관에서 빌려서 도전해봐야겠습니다^^
지식인 마을 시리즈를 본 적이 없어서 조심스럽습니다만 일단 사파(!)인 저의 독서를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라캉공략
1. 트위터에서 지젝봇 https://twitter.com/zizek_bot 을 구독하여 지젝에 대한 호감을 쌓는다.
2. 호감도가 쌓이면 지젝의 <How to Read 라캉>을 득템. 재밌다.
3. 2에서 라캉에 대한 호감도가 쌓이면 라캉의 원전 <세미나 11>을 산다. (주의: <욕망이론>은 절대로 사면 안됨) ... 더 보기
지식인 마을 시리즈를 본 적이 없어서 조심스럽습니다만 일단 사파(!)인 저의 독서를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라캉공략
1. 트위터에서 지젝봇 https://twitter.com/zizek_bot 을 구독하여 지젝에 대한 호감을 쌓는다.
2. 호감도가 쌓이면 지젝의 <How to Read 라캉>을 득템. 재밌다.
3. 2에서 라캉에 대한 호감도가 쌓이면 라캉의 원전 <세미나 11>을 산다. (주의: <욕망이론>은 절대로 사면 안됨)
4. 읽다가 집어던진다.
5. 라캉에 대한 증오심을 품고 루디네스코의 <라캉 전기 1.2>를 산다. 라캉이 인간적으로 나쁜놈임의 증거를 모은다. 놈과 대결할 자신감이 생긴다.
6. 숀 호머의 <라캉 읽기>를 산다. 개념 정리가 잘 되어 있다. 필기를 해가며 외운다.
# 여기서 <세미나 11>로 다시 돌아가면 대략난감...
7. 브루스 핑크의 <라캉의 주체>를 읽는다...원전은 영원히 읽을 수 없을 것 같다...

들뢰즈, 푸코는 지금쯤 입문서가 꽤 있을 텐데 뭘 읽는 게 좋을지 모르겠네요. 생각나면 댓글로 달아볼게요.
책을 고르실 때 되도록이면 2000년대 초반 이전의 책은 고르지 마세요. 번역 상태가 안습인 게 너무 많아서..
그리고 http://blog.aladin.co.kr/mramor 여기 가시면 원하시는 정보가 대략 나올 겁니다. 블로그 내 검색을 이용하세요.
들뢰즈는 <차이와 반복>보다는 <카프카>나 <니체와 철학>이 초심자가 읽기 좀더 나을 거예요.
오렌지플래닛
대단히 감사합니다! 저두 아마 moira 님의 테크트리를 밟아나가지 않을까 싶네요.

예전에 니체와 쇼펜하우어의 원전을 자취방에 들어왔을때 가장 잘 보이는 곳에 꽂아놨던 대학교 초반 시절이 불현듯 떠오르네요...다시 태어나도 원전은 영원히 읽을 수 없을 듯한 아득한 느낌...결국 이 모든게 지적 허영심인데 나이 먹는다는게 이렇게까지해야 충족되는 것 같아요=

지젝은 말로만 많이 들어봤는데 끝까지 다 볼 수 있을 것 같은 용기가 생기네요. 원전은 좀 더 큰 책꽂이를 샀을때 텅 빈 자리가 공허해 보일때 장식용으로 사놔야겠습니다^^

들뢰즈도 생각나시면 나중에라도 부탁드릴게요.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Beer Inside
번역상태가 안습인 것은 대부분 책이 어려워서 입니다.

2000년대 이후의 책은 그나마 낫기는 한데 그래도 어렵습니다.

번역판을 읽어도 이해가 힘들면, 영문판이나 불문판을 읽어도 쉽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니.... 그냥 한번 더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보통은 한글판과 영문판을 나란히 두고 왔다갔다 하면서 보다가 지쳐서 항복하는 테크로... 하하
Beer Inside
번역가도 대부분 영문판을 subtext로 참고 했을 터인데, 철학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쉽지 않지요.

천하의 김현선생도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하나 번역하셨지요.
오래 사셨으면 다른 책도 번역하셨으려나.....

대부분 프랑스 유학한 박사출신이 번역하는데, 그 사람이 나도다 적게 알고 있을 가능성은 적으니.....

번역자가 이해 못하면, 나도 이해못하는 것이 당연하지요.

번역가 이윤기씨를 천재라고 느낀 것은 \'푸코의 추\'를 읽다가 빡쳐서 영문판을 구입해서 읽어본 후 였지요.
김현선생은 너무 일찍 돌아가셔서 오히려 신화로 남은 케이스..라고 생각합니다.
초기 번역에선 그냥 일상어로 번역해도 되는 부분들을 고집스럽게 테크니컬 텀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너무 많아서(이 단어는 이 철학자에게 너무 중요한 단어다!) 오히려 독서를 방해하는 경우가 많았죠. 지금은 전반적으로 많이 나아진 것 같습니다. 철학에 대한 이해도도 중요하지만 일단은 언어가 통해야...
영어로 읽으면 확실히 낫습니다. 한국어보다 이해도가 1.5배는 늡니다. 물론 입문서의 경우에 그렇습니다. 원전은 이판사판 ㅠㅠ
Beer Inside
푸코는 입문서 보다 그냥 책을 읽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입문서를 꼭 읽고 싶다면 How to read 푸코가 있습니다. 전자책으로 구매가능하군요.
구하기는 어렵겠지만, 불문학계의 거두 \'김현\'씨가 쓴 \'시칠리아의 암소\'도 입문서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그냥 푸코책 바로 읽으세요. 김현씨의 책이 나빠서가 아니라 김현씨의 글이 쉬운편이 아닌데 이것은 더 어렵습니다.)

\'감시와 처벌\', \'광기의 역사\' 부터 시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책들이 그리 두껍지는 않으니 읽는데 그리 힘들지는 않을 겁니다.

\'광기의 역사\'는 푸코가 박사학위논문으로 쓴 글입니... 더 보기
푸코는 입문서 보다 그냥 책을 읽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입문서를 꼭 읽고 싶다면 How to read 푸코가 있습니다. 전자책으로 구매가능하군요.
구하기는 어렵겠지만, 불문학계의 거두 \'김현\'씨가 쓴 \'시칠리아의 암소\'도 입문서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그냥 푸코책 바로 읽으세요. 김현씨의 책이 나빠서가 아니라 김현씨의 글이 쉬운편이 아닌데 이것은 더 어렵습니다.)

\'감시와 처벌\', \'광기의 역사\' 부터 시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책들이 그리 두껍지는 않으니 읽는데 그리 힘들지는 않을 겁니다.

\'광기의 역사\'는 푸코가 박사학위논문으로 쓴 글입니다.

그러니 푸코의 저작 중에서 비교적 초기의 저작입니다.

http://egloos.zum.com/nakyeong2/v/38425

따라서 학위논문의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책들도 대부분 학위논문과 비슷합니다.

이 책들을 읽고, 자신감이 생겼다면 \'말과 사물\'을 읽으시기를 바랍니다.

\'말과 사물\'은 이전의 책과는 조금 다른 양상이기는 하지만, 광기의 역사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그리 힘들지는 않을 겁니다.
(파리 시민들이 휴가를 갈 때 가지고 갔다는 전설의 책이지만, 과연 휴가지에서 읽었는지는 의심이 가는 책이지요)
이것을 읽기전에 가능하면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를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고로 \'성의 역사\'를 책 제목에 홀려서 다른 책들 보다 먼저 읽게 된다면 큰 화를 입을 것이니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참고서적으로는 소쉬르, 들뢰즈,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보르헤스의 책들을 읽으시면 좋겠습니다만..........
(들뢰즈가 쓴 푸코도 있지만 읽어보지는 않아서...)

그냥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를 한권 구입해서 한번 읽어 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푸코의 책 중에서 가장 친절한 책입니다.
오렌지플래닛
감사합니다(__)

\'광기의 역사\'를 읽었지만 읽은 것도 아니고 안 읽은 것도 아닌 멍한 상태가 기억나네요. 20대 초반에 아무 생각없이 읽었던 책이 30대되어서 다시 읽었을 때 아니 이게 이런 의미였나...싶을 정도로 새롭게 다가왔던 경험 중이라.. 꼭 다시 읽어봐야겠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푸코에 대해서도 다른 홍차넷 분들과 이야기 나눠보고 싶어요. 내공이 쌓여야겠지만...

참, 보르헤스는 알 수 없는 번역이지만 단편집을 전부 사서 여러 번 읽었을 정도로 정말 좋아하는 작가입니다. 푸코와 무슨 관계가 있는지는... 더 보기
감사합니다(__)

\'광기의 역사\'를 읽었지만 읽은 것도 아니고 안 읽은 것도 아닌 멍한 상태가 기억나네요. 20대 초반에 아무 생각없이 읽었던 책이 30대되어서 다시 읽었을 때 아니 이게 이런 의미였나...싶을 정도로 새롭게 다가왔던 경험 중이라.. 꼭 다시 읽어봐야겠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푸코에 대해서도 다른 홍차넷 분들과 이야기 나눠보고 싶어요. 내공이 쌓여야겠지만...

참, 보르헤스는 알 수 없는 번역이지만 단편집을 전부 사서 여러 번 읽었을 정도로 정말 좋아하는 작가입니다. 푸코와 무슨 관계가 있는지는 지금으로썬 알수 없으니 오히려 두근두근하네요^^

다시 한 번 답글 감사합니다=
Darwin4078
말과 사물 하니, 중2병이 몸속에서 용트림을 하던 고3때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오역이 난무하는 1권짜리-을 읽고 감동해서 바로 푸코의 추-역시 오역이 난무하는 2권짜리-를 읽다가 이건 좀 아니다 싶어서 봉인해뒀다가 중2병이 흐..흐콰한다!! 싶었던 대학 1학년때 푸코라는 이름 하나만 믿고 대우학술총서판 말과 사물을 사서 읽었는데...

와우...

이건 중2병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더라구요.

나중에 중2병이 낫고, 올바른 정신으로 광기의 역사, 임상의학의 탄생을 읽어보니 참 대단한 양반이구나...싶었습니다.
Beer Inside
푸코부터 뭐 그랑제콜에 입학하기 위해서 4수를 했고, 그랑제콜에서도 답답해서 못살겠다고 자살시도를 하는 등...

중2병의 결정체같은 사람이지만 능력이 있는 사람이 그러는 것은 중2병이 아니지요.

여하튼 푸코를 읽고 있다는 것 자체가 중2병이 치료되었다고 보기는.....
Darwin4078
중2병 못고치나요. ㅠㅠ
Beer Inside
나이가 들어도 권력을 가지면 중2병 환자 같은 소리를 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힘든 것 같습니다.

\'정말 간절하게 원하면 전 우주가 나서서 다 같이 도와준다.\'와 \'내 드릴은 하늘을 만들 드릴이다.\' 발언의 수준 차이가 없지 않습니....
Darwin4078
제 중2병이 나은줄 알았는데, 아니었군요.
평생 자중하면서 살아야겠습니다.
오로지
푸코에 대해서는 폴 벤느. 『푸코: 사유와 인간』. 산책자. 2009 를 언제나 추천드립니다. 읽기가 쉽지는 않지만 오류는 적은 개론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엥겔스가 마르크스 소개 글을 썼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렌지플래닛
감사합니다! 읽어야할 책이 늘어서 막막한(?) 즐거움을 느끼고 있네요=
Darwin4078
저의 경우엔 푸코는 그냥 광기의 역사, 임상의학의 탄생을 생짜로 읽었습니다.
저같은 무식한 넘도 올바른 정신으로 읽으니 읽혀집니다. 두려워하지 마시고 읽으시면 됩니다. 흐흐..

근데 인간사랑에서 나온 12,000원짜리 광기의 역사는 번역이 좀... 좀... 그래요. 비싸도 나남신서의 38,000원짜리를 사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임상의학의 탄생은... 음... 그냥 현재 나와있는 번역본은 안보시는 걸로... 제 생각으론 실마릴리온과 더불어 오역의 신기원을 이룬 책이 아닐까 싶어요.

감시와 처벌도 나남신서 번역판을 보시는게 좋을듯 하구요, 말과 사물은 최근 민영사에서 나온게 있으니까 그쪽을 보심이 좋겠습니다.
오렌지플래닛
으으 위에 답글에서도 나오듯이 역자가 제대로 이해를 못한 경우 번역이 산으로 가는 것 같아요.

광기의 역사 비싼 걸로 읽어보겠습니다= 임상의학의 탄생은 겁이 나네요; 실마릴리온과 동급(?)의 오역이라니ㅠ

추천감사드립니다!
Beer Inside
임상의 역사가 그정도였나요?

제가 보기에는 그냥 임상의학이라는 것은 정신병원과 나환자들을 격리하기 위해서 많든 병원에서 상주하는 의사(레지던트)가 생기면서 생겼다.

나머지는 뭐 병원은 감옥의 연장이다. 그러니 나 푸코는 이 미친 병원에서 도망쳐야겠어...로 이해해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84 철학/종교동일성은 어디에 있는가? 20 Danial Plainview 18/05/24 4296 1
4627 철학/종교여러분의 삶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28 [익명] 18/05/14 2855 0
4255 철학/종교성추행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팬스룰이 아닌 다른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36 보리건빵 18/03/07 7283 0
4114 철학/종교인간의 소소한 욕망의 근원은 무엇일까요? 9 [익명] 18/02/07 2416 0
4022 철학/종교리디북스 포인트가 좀 남아서 책을 사고싶습니다.. 3 개백정 18/01/18 3534 0
3939 철학/종교니체 읽어보고 있습니다. 12 Algomás 18/01/04 5534 0
3423 철학/종교고2 윤리 집단윤리 니부어 선의지 8 초이 17/09/25 4665 0
3199 철학/종교마음을 다스리고 의연해야 할 때 5 [익명] 17/08/13 2750 0
2850 철학/종교. 1 [익명] 17/06/01 2689 0
2668 철학/종교이슬람 여성들은 왜 히잡을 쓸까요 8 초이 17/04/16 8027 0
2535 철학/종교사르트르는 말만 번지르르한 사람일까요 3 legrand 17/03/20 4816 0
2282 철학/종교시니컬 vs Jaded 13 Liebe 17/02/09 6355 0
2077 철학/종교푸코는 어떤 학자인가요? 31 헤칼트 17/01/11 5101 0
1980 철학/종교왜 살아야 할까요? 23 OPTIK 16/12/27 4859 0
1964 철학/종교강아지 분양에 대해서 질문 올려봅니다 4 흰둥몬 16/12/23 4539 0
1305 철학/종교이슬람 전반에 대해서 어떤 인식을 가지는 게 좋을까요? 22 전기공학도 16/07/19 5317 0
1219 철학/종교밀크티추천부탁드려요 8 차우차우 16/06/24 5315 0
893 철학/종교철알못의 철학 질문입니다. 8 새벽 16/03/09 5016 0
849 철학/종교오세훈의 입지는 갑자기 왜 상승한거죠? 8 Arsene 16/02/20 5093 0
817 철학/종교철학, 과학적으로 주요한 개념어들에 대한 고찰이 있는 책 없나요? 5 하늘밑푸른초원 16/02/09 4565 0
764 철학/종교교회가면 분위기가 어떤가요? 10 스키너 16/01/24 7530 1
689 철학/종교책 추천 부탁드립니다.(라캉 들뢰즈 관련) 20 오렌지플래닛 16/01/04 7643 0
632 철학/종교신약의 역사적 가치? 7 Last of Us 15/12/19 4430 0
480 철학/종교철학과 경영학 7 [익명] 15/11/15 3663 0
417 철학/종교혹시 성선설 vs 성악설은 결론이 난 주제인가요? 10 Lionel Messi 15/11/04 568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