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6/01/05 22:22:25 |
Name | 델핑 |
Subject | 무선 공유기의 전자파는 인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
원래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다가, 얼마 전에 종일 일하는 자리와 제 방 PC 옆 에 공유기를 설치했습니다. (몸에서 한 30~50센티 됩니다) iptime604 제품이고 2.4 와 5 Ghz 두 가지 무선이 잡히구요 그런데 기분 탓인지 심리적인 것인지 공유기를 설치하고 나서 뭔가 피로한 느낌이 더 나고, 공유기에 가까운 쪽 몸이 근질거리거나 저릿저릿한 느낌도 좀 듭니다. 물론 가려운 건 그냥 심리적인 느낌 같습니다.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일상에서야 당연히 스마트폰, PC , 그 외의 온 갖 전자제품 들 때문에 전자파로 뒤덮인 삶을 살고 있기에 고작 공유기 한대 몸 근처에 둔다고 딱히 나빠질 것은 없다고 보이는 게 정설 같습니다만 반대로 공유기의 전자파는 더 해롭다는 얘기들도 보이고 뉴스에도 언급되더라구요. 그냥 심리적인 것인지... 실제로 무선 공유기 자체가 저 처럼 30센티 거리에 종일 있다면 정말로 몸에 해로운 것인지 궁금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델핑님의 최근 게시물
|
April_fool님께서 무선랜의 최대 법적 무선출력이 휴대전화보다 훨씬 적다고 하시니 한마디 덧붙이면 옛날에 읽은 기사인데요. 영국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30년에 걸친 핸드폰전자파의 유해성에 대한 연구를 집대성하고 내린 결론이 \'유해하다는 증거가 없다\'는 것이었어요.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위해 애를 많이 쓴 듯했구요. 한마디로 유언비어라는 결론이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파에 대한 염려를 떨칠 수 없는 이들을 위해 빠른 성장을 겪는 아이들에 대한 유해성은 아직은 \'유해성 무\'라는 확정적인 결론보다는 더 심도있는 연구의 길을 열어놓는다 정도로 결론을 내렸었어요.
http://www.ipsonet.org/proceedings/wp-content/uploads/2012/07/Paper-11-Cell-Phones-Electromagnetic-Radiation-and-Cancer.pdf
핸드폰 전자파의 유해성(암 같은..)을 연구한 사람들의 지원소스와 그 결과를 비교한 건... 더 보기
핸드폰 전자파의 유해성(암 같은..)을 연구한 사람들의 지원소스와 그 결과를 비교한 건... 더 보기
http://www.ipsonet.org/proceedings/wp-content/uploads/2012/07/Paper-11-Cell-Phones-Electromagnetic-Radiation-and-Cancer.pdf
핸드폰 전자파의 유해성(암 같은..)을 연구한 사람들의 지원소스와 그 결과를 비교한 건데요. 영리회사들이 펀드를 제공해서 이루어진 핸드폰전자파 유해성연구에서는 85.71%가 상관관계가 없다로 나왔고 정부가 펀드를 제공한 연구에서는 81.82%가 상관관계가 없다고 나왔는데 대학, 병원, NGO등의 펀드를 제공받아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66.67%가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하네요. 나머지 퍼센트는 상관관계가 있거나 결론을 내릴 수 없다는 항목으로 분류되는데 인과관계항목은 없어요. 무선랜은 아니지만....
누가 펀드한 연구냐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났다고 써놓았긴 해요.
the government found no correlation in 81.82% of the studies; mobile phone companies found no correlation in 85.71% of the studies; and, universities, hospitals, and NGOs did find a correlation in 66.67% of the studies.
핸드폰 전자파의 유해성(암 같은..)을 연구한 사람들의 지원소스와 그 결과를 비교한 건데요. 영리회사들이 펀드를 제공해서 이루어진 핸드폰전자파 유해성연구에서는 85.71%가 상관관계가 없다로 나왔고 정부가 펀드를 제공한 연구에서는 81.82%가 상관관계가 없다고 나왔는데 대학, 병원, NGO등의 펀드를 제공받아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66.67%가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하네요. 나머지 퍼센트는 상관관계가 있거나 결론을 내릴 수 없다는 항목으로 분류되는데 인과관계항목은 없어요. 무선랜은 아니지만....
누가 펀드한 연구냐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났다고 써놓았긴 해요.
the government found no correlation in 81.82% of the studies; mobile phone companies found no correlation in 85.71% of the studies; and, universities, hospitals, and NGOs did find a correlation in 66.67% of the studies.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