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7/05 05:54:09 |
Name | [익명] |
Subject | 게임을 못합니다. 해결법이 있을까요? |
게임을 잘 못합니다. 그냥 잘 죽고...극단적인 예시를 하나 들자면 어릴 때 크레이지 아케이드 한 적 있었는데 단 한번도 사람과 싸워서 이겨본 적이 없습니다. NPC 상대로만 이겼고요. 크아 말고 다른 게임들...유저끼리 서로 싸우는 게임들 있잖아요? 총 쏘는 게임이나 대전액션 게임중 온라인 플레이, 리그 오브 레전드, 온라인 MMORPG에서 PVP 같은 경우 단 한 번도 못이겨봤습니다. 비유가 아니라 진짜 단 한번도요 그래서 온라인에서 멀어지고 오프라인 게임(예: 디스아너드, 폴아웃 3 등) 을 주로 했는데... 그래도 잘 못합니다. 맨날 가장 쉬운 이지 난이도로만 하고...노멀, 하드 난이도로는 못합니다 공략법 봐도 잘 안돼요 프로게이머 급으로 잘하고 싶다는 건 아니고, 최소한 온라인 게임 등에서 인간 구실은 할 정도로, 싱글 게임에서 하드는 아니더라도 노멀 난이도는 할 수 있을 정도로 게임을 잘했으면 좋겠는데 방법이 있나요? 0
|
일단 많이 해야죠. 3시간 이상씩 매일, 혹은 주말 20시간 이상.
많이 하면 된다는게 아니라 그게 기본 전제이고 승부를 겨루는 게임이라고 해서 상대를 의식하기보다는 내가 할 것만 한다는 생각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내 수준을 알려고 노력하고 여기서 한단계 위는 얼마만큼인가, 그 한단계를 더 하려면 어느정도 시간이 걸릴 것인가 냉정하게 측정하고 천천히 하지만 멈추지 않고 나아가기.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 게임을 하는 가장 근원적인 목적.. 즐기는 겁니다. 이게 안되면 그냥 게임 하면 안돼요.
즐겜하라고? 이... 더 보기
많이 하면 된다는게 아니라 그게 기본 전제이고 승부를 겨루는 게임이라고 해서 상대를 의식하기보다는 내가 할 것만 한다는 생각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내 수준을 알려고 노력하고 여기서 한단계 위는 얼마만큼인가, 그 한단계를 더 하려면 어느정도 시간이 걸릴 것인가 냉정하게 측정하고 천천히 하지만 멈추지 않고 나아가기.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 게임을 하는 가장 근원적인 목적.. 즐기는 겁니다. 이게 안되면 그냥 게임 하면 안돼요.
즐겜하라고? 이... 더 보기
일단 많이 해야죠. 3시간 이상씩 매일, 혹은 주말 20시간 이상.
많이 하면 된다는게 아니라 그게 기본 전제이고 승부를 겨루는 게임이라고 해서 상대를 의식하기보다는 내가 할 것만 한다는 생각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내 수준을 알려고 노력하고 여기서 한단계 위는 얼마만큼인가, 그 한단계를 더 하려면 어느정도 시간이 걸릴 것인가 냉정하게 측정하고 천천히 하지만 멈추지 않고 나아가기.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 게임을 하는 가장 근원적인 목적.. 즐기는 겁니다. 이게 안되면 그냥 게임 하면 안돼요.
즐겜하라고? 이겨야 즐겜이 되는데? 이런 마인드는 처음부터 일정수준 이상인 재능충만 가능한거고 밑에서 위로 올라갈때는 절대로 이기는거 이전에 즐기는게 선행되어야 해요.
많이 하면 된다는게 아니라 그게 기본 전제이고 승부를 겨루는 게임이라고 해서 상대를 의식하기보다는 내가 할 것만 한다는 생각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내 수준을 알려고 노력하고 여기서 한단계 위는 얼마만큼인가, 그 한단계를 더 하려면 어느정도 시간이 걸릴 것인가 냉정하게 측정하고 천천히 하지만 멈추지 않고 나아가기.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 게임을 하는 가장 근원적인 목적.. 즐기는 겁니다. 이게 안되면 그냥 게임 하면 안돼요.
즐겜하라고? 이겨야 즐겜이 되는데? 이런 마인드는 처음부터 일정수준 이상인 재능충만 가능한거고 밑에서 위로 올라갈때는 절대로 이기는거 이전에 즐기는게 선행되어야 해요.
어느 게임이건 기본기가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저는 철권 많이 했었는데 철권의 기본기는 딜캐입니다.
40 개 캐릭터 모든 기술을 맞췄을때/막혔을때/헛쳤을 때 딜레이 유불리와 유불리 프레임에 따른 가장 아프게 때리는 방법 - 을 외우고 기계적으로 나가는 수준으로 연습하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물론 센스가 넘쳐서 그냥 잘 하고 심리전에 능해서 잘 이기는 사람도 있죠 하지만 딜캐기본기가 안되면 그 한계가 분명히 와요.
기본기를 익히는 과정이 재미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는 합니다만... 씹어먹는 재능이 있는 게... 더 보기
저는 철권 많이 했었는데 철권의 기본기는 딜캐입니다.
40 개 캐릭터 모든 기술을 맞췄을때/막혔을때/헛쳤을 때 딜레이 유불리와 유불리 프레임에 따른 가장 아프게 때리는 방법 - 을 외우고 기계적으로 나가는 수준으로 연습하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물론 센스가 넘쳐서 그냥 잘 하고 심리전에 능해서 잘 이기는 사람도 있죠 하지만 딜캐기본기가 안되면 그 한계가 분명히 와요.
기본기를 익히는 과정이 재미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는 합니다만... 씹어먹는 재능이 있는 게... 더 보기
어느 게임이건 기본기가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저는 철권 많이 했었는데 철권의 기본기는 딜캐입니다.
40 개 캐릭터 모든 기술을 맞췄을때/막혔을때/헛쳤을 때 딜레이 유불리와 유불리 프레임에 따른 가장 아프게 때리는 방법 - 을 외우고 기계적으로 나가는 수준으로 연습하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물론 센스가 넘쳐서 그냥 잘 하고 심리전에 능해서 잘 이기는 사람도 있죠 하지만 딜캐기본기가 안되면 그 한계가 분명히 와요.
기본기를 익히는 과정이 재미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는 합니다만... 씹어먹는 재능이 있는 게 아닌 한, 무엇인가를 잘 하는 제일 확실한 방법은 기본기인 것 같습니다.
강백호가 드리블과 핸들링 연습만 죽어라 한 것 처럼요
저는 철권 많이 했었는데 철권의 기본기는 딜캐입니다.
40 개 캐릭터 모든 기술을 맞췄을때/막혔을때/헛쳤을 때 딜레이 유불리와 유불리 프레임에 따른 가장 아프게 때리는 방법 - 을 외우고 기계적으로 나가는 수준으로 연습하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물론 센스가 넘쳐서 그냥 잘 하고 심리전에 능해서 잘 이기는 사람도 있죠 하지만 딜캐기본기가 안되면 그 한계가 분명히 와요.
기본기를 익히는 과정이 재미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는 합니다만... 씹어먹는 재능이 있는 게 아닌 한, 무엇인가를 잘 하는 제일 확실한 방법은 기본기인 것 같습니다.
강백호가 드리블과 핸들링 연습만 죽어라 한 것 처럼요
열심히 연습하면 피지컬이 늘기는 하는데, 맘에 드는 수준에 오를 때까지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문제는 그동안 버틸 수 있느냐일 겁니다. 지면서도 즐길 수 있는 재능이 있으시다면 상관없겠습니다만, 그게 아니시라면 차라리 운빨+로지컬(롤토체스)게임이나 턴제 싱글 전략게임(ex 문명) 같은 걸 해보시는 건 어떨까 싶습니다.
꼭 해보고 싶으시다면 정말 '기본기'를 연습하세요. 스타로 치면 그냥 게임을 100판 하는 게 아니라, 초반 일꾼나누기만 수십번 해보고, 특정 빌드를 훌륭하게 해낼 수 있을 때까지 그 빌드만 계속... 더 보기
꼭 해보고 싶으시다면 정말 '기본기'를 연습하세요. 스타로 치면 그냥 게임을 100판 하는 게 아니라, 초반 일꾼나누기만 수십번 해보고, 특정 빌드를 훌륭하게 해낼 수 있을 때까지 그 빌드만 계속... 더 보기
열심히 연습하면 피지컬이 늘기는 하는데, 맘에 드는 수준에 오를 때까지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문제는 그동안 버틸 수 있느냐일 겁니다. 지면서도 즐길 수 있는 재능이 있으시다면 상관없겠습니다만, 그게 아니시라면 차라리 운빨+로지컬(롤토체스)게임이나 턴제 싱글 전략게임(ex 문명) 같은 걸 해보시는 건 어떨까 싶습니다.
꼭 해보고 싶으시다면 정말 '기본기'를 연습하세요. 스타로 치면 그냥 게임을 100판 하는 게 아니라, 초반 일꾼나누기만 수십번 해보고, 특정 빌드를 훌륭하게 해낼 수 있을 때까지 그 빌드만 계속 올려보는 식으로 연습하는 겁니다. 잘 된다 싶으면 그 빌드로 게임을 해보고 잘하는 친구에게 피드백을 받아 보시고요. 아무 피드백 없이 (=생각도 없고 반성도 없이) 게임 100판 하는 것보다 제대로 된 연습 20번 + 피드백 제대로 받는 게임 20판 하는 쪽이 훨씬 빠르게 실력이 늡니다.
꼭 해보고 싶으시다면 정말 '기본기'를 연습하세요. 스타로 치면 그냥 게임을 100판 하는 게 아니라, 초반 일꾼나누기만 수십번 해보고, 특정 빌드를 훌륭하게 해낼 수 있을 때까지 그 빌드만 계속 올려보는 식으로 연습하는 겁니다. 잘 된다 싶으면 그 빌드로 게임을 해보고 잘하는 친구에게 피드백을 받아 보시고요. 아무 피드백 없이 (=생각도 없고 반성도 없이) 게임 100판 하는 것보다 제대로 된 연습 20번 + 피드백 제대로 받는 게임 20판 하는 쪽이 훨씬 빠르게 실력이 늡니다.
롤이나 오버워치나 RTS 장르들은 기본적으로 해야할 정석이란 게 있습니다.
그런 것들은 어느 이상 숙지 해야하는 게 필수고요. 정석을 했을 때 효율이 100인데 자기 마음대로 테크나 템트리를 가서 효율이 6~70이면 당연히 밀리기가 쉽고요.
저게 기본적으로 숙달되면 게임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건 (선천적인 피지컬을 제외하고)
순간순간 끊임없이 그 상황에서 최선을 판단하는 거라고 봅니다.
내가 이 상황에서 반드시 해야할 것과 상대방이 지금 가장 싫어할 행동이 뭔가 이것을 계속 생각하고 행하기만해도
굉장히 실력이 늘게 되거든요.
그런 것들은 어느 이상 숙지 해야하는 게 필수고요. 정석을 했을 때 효율이 100인데 자기 마음대로 테크나 템트리를 가서 효율이 6~70이면 당연히 밀리기가 쉽고요.
저게 기본적으로 숙달되면 게임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건 (선천적인 피지컬을 제외하고)
순간순간 끊임없이 그 상황에서 최선을 판단하는 거라고 봅니다.
내가 이 상황에서 반드시 해야할 것과 상대방이 지금 가장 싫어할 행동이 뭔가 이것을 계속 생각하고 행하기만해도
굉장히 실력이 늘게 되거든요.
게임 실력이라는 것도 공부 능력과 비슷한 개념이라서,
기본적으로 타고나는 부분이 분명히 있고 그 비중이 꽤나 높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게임센스 타고난 재능충을 이길 수 없음)
단 말씀하신 대로 고수 수준이 아닌, 1인분 수준까지 올라가는 건 노력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공부를 잘 하려면 엉덩이가 무거워야 되듯이, 게임을 잘 하려면 역시 그 게임에 진득하게 붙어서 노력을 해야겠죠.
일단 PVP 게임이라면 골백번 죽어도 죽는 과정에서 배운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하시면 실력이 늘 것이고,
PVE 게임은 더더욱... 더 보기
기본적으로 타고나는 부분이 분명히 있고 그 비중이 꽤나 높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게임센스 타고난 재능충을 이길 수 없음)
단 말씀하신 대로 고수 수준이 아닌, 1인분 수준까지 올라가는 건 노력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공부를 잘 하려면 엉덩이가 무거워야 되듯이, 게임을 잘 하려면 역시 그 게임에 진득하게 붙어서 노력을 해야겠죠.
일단 PVP 게임이라면 골백번 죽어도 죽는 과정에서 배운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하시면 실력이 늘 것이고,
PVE 게임은 더더욱... 더 보기
게임 실력이라는 것도 공부 능력과 비슷한 개념이라서,
기본적으로 타고나는 부분이 분명히 있고 그 비중이 꽤나 높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게임센스 타고난 재능충을 이길 수 없음)
단 말씀하신 대로 고수 수준이 아닌, 1인분 수준까지 올라가는 건 노력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공부를 잘 하려면 엉덩이가 무거워야 되듯이, 게임을 잘 하려면 역시 그 게임에 진득하게 붙어서 노력을 해야겠죠.
일단 PVP 게임이라면 골백번 죽어도 죽는 과정에서 배운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하시면 실력이 늘 것이고,
PVE 게임은 더더욱 엉덩이 무거운 쪽이 우위에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공략법도 단순히 한번 보는 게 아니라 인강 보듯이 하나하나 곱씹으면서 보시면 더 효과가 좋겠지요.
물론 가장 필요한 것은 이 모든 것을 하는 과정에서 그 게임에 질리지 않는 마음가짐이고,
이 부분은 노력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개인의 자질 영역이긴 한데 어찌되었든 노력으로 버티는 것까진 가능하지 않나 싶습니닫.
기본적으로 타고나는 부분이 분명히 있고 그 비중이 꽤나 높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게임센스 타고난 재능충을 이길 수 없음)
단 말씀하신 대로 고수 수준이 아닌, 1인분 수준까지 올라가는 건 노력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공부를 잘 하려면 엉덩이가 무거워야 되듯이, 게임을 잘 하려면 역시 그 게임에 진득하게 붙어서 노력을 해야겠죠.
일단 PVP 게임이라면 골백번 죽어도 죽는 과정에서 배운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하시면 실력이 늘 것이고,
PVE 게임은 더더욱 엉덩이 무거운 쪽이 우위에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공략법도 단순히 한번 보는 게 아니라 인강 보듯이 하나하나 곱씹으면서 보시면 더 효과가 좋겠지요.
물론 가장 필요한 것은 이 모든 것을 하는 과정에서 그 게임에 질리지 않는 마음가짐이고,
이 부분은 노력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개인의 자질 영역이긴 한데 어찌되었든 노력으로 버티는 것까진 가능하지 않나 싶습니닫.
같은 시간을 하더라도 더 빠르게 실력을 키우려면 인강 보듯이 다른 사람의 플레이를 보는 게 도움이 됩니다.
디스아너드 같은 경우 거인을 상대할 때는 고지대에서 낙하하며 조종하는 사람을 제압할 수 있지요.
이걸 시행착오로 배울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의 플레이를 보며 이런 방법도 있구나 하고 기억하는 게 더 빠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공략법을 보고 행동에 옮기는 영상을 보고 몇 번 따라해야 할 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총 쏘는 게임은 '누가 먼저 상대를 가운데에 두고 클릭하느냐'는 순발력 게임이지요. 순발력은 기를 수 있지만 시간이 든다고 생각해요. 축구나 농구처럼요.
디스아너드 같은 경우 거인을 상대할 때는 고지대에서 낙하하며 조종하는 사람을 제압할 수 있지요.
이걸 시행착오로 배울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의 플레이를 보며 이런 방법도 있구나 하고 기억하는 게 더 빠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공략법을 보고 행동에 옮기는 영상을 보고 몇 번 따라해야 할 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총 쏘는 게임은 '누가 먼저 상대를 가운데에 두고 클릭하느냐'는 순발력 게임이지요. 순발력은 기를 수 있지만 시간이 든다고 생각해요. 축구나 농구처럼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