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9/18 00:17:00 |
Name | [익명] |
Subject | 한국 영화는 왜 이렇게 대사를 알아먹기 힘들게 만드나요? |
꽤 흥행하거나 투자 많이 한 작품에서도 배우들이 대사를 하면 꾹 막혀있는 것 마냥 잘 들리질 않습니다. 예전에 영화 '베를린'에서는 영화 보는데 화가 날 지경이더군요. 그렇다고 이후 최신 한국 영화를 봐도 그리 나아진 것 같지가 않습니다. 음향에 돈을 안 쓰는건지, 관객이 알아서 잘 알아먹어야 하는게 충무로의 문화(?)인건지, 후시 녹음은 가오가 안 사는건지........ 저 말고도 비슷한 지적을 영화 커뮤니티에서도 종종 본 적이 있습니다. 혹시 이런 경향의 원인을 아시나요? 알이켜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0
|
1. 대사를 시나리오로 접근합니다.
같은 내용도 직접 말해서 대사만 들어도 잘 들리는 것, 글로 읽어야 좋은 것이 다른데, 대사보다는 스토리, 즉 글로 접근합니다
2. 영화 티켓파워를 이끌어내는 기준에 대사전달력이 떨어지는 것은 크게 고려되지 않습니다
연극의 경우엔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보는데 적어도 한국영화에서는 대사전달력때문에 어떤 배우의 티켓파워가 떨어진다거나 하는게 없습니다
결국 영화를 보는 다수 관객들 선택 기준에 대사의 명료함은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영화는 아직까지 캐릭터에 기대서 제작된다고 보여요
결국 한국영화의 주된 관객층에게 대사전달은 주된 관심사가 아닌것이죠....ㅠㅠㅠ
같은 내용도 직접 말해서 대사만 들어도 잘 들리는 것, 글로 읽어야 좋은 것이 다른데, 대사보다는 스토리, 즉 글로 접근합니다
2. 영화 티켓파워를 이끌어내는 기준에 대사전달력이 떨어지는 것은 크게 고려되지 않습니다
연극의 경우엔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보는데 적어도 한국영화에서는 대사전달력때문에 어떤 배우의 티켓파워가 떨어진다거나 하는게 없습니다
결국 영화를 보는 다수 관객들 선택 기준에 대사의 명료함은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영화는 아직까지 캐릭터에 기대서 제작된다고 보여요
결국 한국영화의 주된 관객층에게 대사전달은 주된 관심사가 아닌것이죠....ㅠㅠ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