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11/23 19:55:03 |
Name | [익명] |
Subject | 지하철이나 까페에서 공용인터넷 사용하면 개인정보가 모두 노출되는지요...? |
안녕하세요.. 요즘 지하철이나 까페에 가면 무료로 인터넷 쓰게 되어있는데요 여기에 핸드폰이나 노트북 연결해서 간단한 인터넷 뉴스 보기 정도가 아니라 인터넷뱅킹 같은 금융거래나 메일 로그인 같은 작업을 하면 제 아이디/비밀번호는 모두 노출되는 거라고 봐야하는지요...? 아니면 공용인터넷을 사용해도 아이디/비밀번호 같은 정보는 그 자체로 다시 암호화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아무 염려할 필요가 없는 것인지요...? 0
|
무선랜 자체가 태생적으로 보안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편이고, 공공 혹은 공개 또는 무료의 공용 와이파이 서비스는 아무래도 보안이 더 취약한 편입니다. 암호화 등 보안 설정이 그나마 되어 있는 경우는 낫지만, AP자체가 털릴 수도 있고, 해당 무선랜 서비스들을 가장한 해커에게 접속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죠. 저 같은 경우는 우리나라에서는 LTE 등 이동통신망 데이터를 주로 쓰고, 혹시라도 잘 모르는 무선랜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VPN을 상시 이용합니다. VPN은 쉽게 생각해서 내가 쓰는 단말(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VPN 서버까지 구간을 암호화된 가상의 전용 터널을 뚫어 통신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더 보기
무선랜 자체가 태생적으로 보안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편이고, 공공 혹은 공개 또는 무료의 공용 와이파이 서비스는 아무래도 보안이 더 취약한 편입니다. 암호화 등 보안 설정이 그나마 되어 있는 경우는 낫지만, AP자체가 털릴 수도 있고, 해당 무선랜 서비스들을 가장한 해커에게 접속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죠. 저 같은 경우는 우리나라에서는 LTE 등 이동통신망 데이터를 주로 쓰고, 혹시라도 잘 모르는 무선랜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VPN을 상시 이용합니다. VPN은 쉽게 생각해서 내가 쓰는 단말(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VPN 서버까지 구간을 암호화된 가상의 전용 터널을 뚫어 통신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중간의 와이파이;무선랜 등 구간에서 털릴 가능성이 많이 줄어듭니다. 단, 기업용이나 믿을 만한 유료 VPN외의 무료 VPN 서비스들은 오히려 그 서비스 회사를 통해 털릴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소셜로그인 서비스(;카카오톡, 구글, 페이스북, 네이버 등의 계정을 이용해 다른 서비스에도 로그인)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는데, 이게 무선랜 구간에서 기본적인 암호화도 안 되어서 전송되다가 털리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카카오톡 보안에도 구멍이?] 와이파이 환경에서 소셜 로그인 때 개인정보 줄줄
https://news.joins.com/article/22509613
그리고, 요즘은 소셜로그인 서비스(;카카오톡, 구글, 페이스북, 네이버 등의 계정을 이용해 다른 서비스에도 로그인)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는데, 이게 무선랜 구간에서 기본적인 암호화도 안 되어서 전송되다가 털리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카카오톡 보안에도 구멍이?] 와이파이 환경에서 소셜 로그인 때 개인정보 줄줄
https://news.joins.com/article/22509613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