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12/28 19:04:18수정됨 |
Name | [익명] |
Subject | 혹시 유튜브하는 분들 인터넷 회선은 어느 정도 속도로 사용하시나요? |
제가 처음으로 유튜브를 해보려고 이것저것 알아보는 중인데요 동영상 파일의 크기가 크다보니 이것을 업로드하는 속도도 중요할 것 같아서요 혹시 어느 인터넷 업체의 어떤 제품을 많이 사용하시는지요...? (예컨대 1기가 광랜이 필요한지 아니면 일반적인 100M 정도도 상관 없는지;) 그리고 유튜브 할 때 주의할 점 같은 게 있을까요...? (저작권 등) 0
|
라이브 방송 위주라든지, 4K 콘텐츠 위주라든지, 콘텐츠를 자주 대량으로 올린다면, 대역폭과 안정성;레이턴시 등이 둘 다 중요하겠습니다만, 잘 인코딩해서 가끔 올린다면,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위는 최저 대역폭들인데, 저것보다 1.5~2배 정도면 대역폭은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유야 넉넉할수록 좋겠습니다만. 방송 라이브 스트리밍하면서 동시에 인터넷으로 온라인 게임 같은 것도 해야 하든지 하는 경우는 좀 더 대역폭 여유가 필요하겠죠.
아무래도 셀 단위로 묶여 셀 내 다른 가입자들 사용에 따라 영향이 좀... 더 보기
위는 최저 대역폭들인데, 저것보다 1.5~2배 정도면 대역폭은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유야 넉넉할수록 좋겠습니다만. 방송 라이브 스트리밍하면서 동시에 인터넷으로 온라인 게임 같은 것도 해야 하든지 하는 경우는 좀 더 대역폭 여유가 필요하겠죠.
아무래도 셀 단위로 묶여 셀 내 다른 가입자들 사용에 따라 영향이 좀... 더 보기
라이브 방송 위주라든지, 4K 콘텐츠 위주라든지, 콘텐츠를 자주 대량으로 올린다면, 대역폭과 안정성;레이턴시 등이 둘 다 중요하겠습니다만, 잘 인코딩해서 가끔 올린다면,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위는 최저 대역폭들인데, 저것보다 1.5~2배 정도면 대역폭은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유야 넉넉할수록 좋겠습니다만. 방송 라이브 스트리밍하면서 동시에 인터넷으로 온라인 게임 같은 것도 해야 하든지 하는 경우는 좀 더 대역폭 여유가 필요하겠죠.
아무래도 셀 단위로 묶여 셀 내 다른 가입자들 사용에 따라 영향이 좀 더 큰 케이블 TV망을 이용하는 방식(HFC)이나 소위 유사 광랜보다는 FTTH방식이 좀 더 안정적인 면, 그리고 업/다운로드 속도가 대칭이라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KT의 경우, 지은 지 오래되어 인프라가 낙후된 아파트도 요즘은 대부분 500메가급인 기가콤팩트까지는 가능한 것 같습니다.
공유기를 거쳐야 하면, 공유기 성능이 좀 좋은 것으로 구입하는 것도 좋겠죠. 아니면, 방송용 컴퓨터는 직결하는 방식도 있고.
위는 최저 대역폭들인데, 저것보다 1.5~2배 정도면 대역폭은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유야 넉넉할수록 좋겠습니다만. 방송 라이브 스트리밍하면서 동시에 인터넷으로 온라인 게임 같은 것도 해야 하든지 하는 경우는 좀 더 대역폭 여유가 필요하겠죠.
아무래도 셀 단위로 묶여 셀 내 다른 가입자들 사용에 따라 영향이 좀 더 큰 케이블 TV망을 이용하는 방식(HFC)이나 소위 유사 광랜보다는 FTTH방식이 좀 더 안정적인 면, 그리고 업/다운로드 속도가 대칭이라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KT의 경우, 지은 지 오래되어 인프라가 낙후된 아파트도 요즘은 대부분 500메가급인 기가콤팩트까지는 가능한 것 같습니다.
공유기를 거쳐야 하면, 공유기 성능이 좀 좋은 것으로 구입하는 것도 좋겠죠. 아니면, 방송용 컴퓨터는 직결하는 방식도 있고.
내 인터넷 속도는 크게 안 중요한 거 같더라고요
업로드 시간보다 유튜브에서 영상 처리하는 시간이 수십배 걸리기 때문에요
그리고 초반에 수익이 안 나올 때는 저작권에 크게 신경 쓸거 없습니다
일단 영상 몇개 올려보면서 분위기 익혀보시면 감이 오실 거예요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
화이팅입니다
업로드 시간보다 유튜브에서 영상 처리하는 시간이 수십배 걸리기 때문에요
그리고 초반에 수익이 안 나올 때는 저작권에 크게 신경 쓸거 없습니다
일단 영상 몇개 올려보면서 분위기 익혀보시면 감이 오실 거예요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
화이팅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