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1/18 16:25:01
Name   aquarosa
Subject   개발자를 목표로 하는데 공부해야 할게 뭐가 있을까요?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은데요.
일단 할 줄 아는게 nodejs랑 js를 약간 쓰는 정도예요.
python을 공부하는게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DB를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0


요새는 백엔드 개발자의 범위가 꽤 넓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많이 일반화 되어서요.
보통 백엔드에 가장 기초적으로 필요한 조건은 어느정도의DB 지식(SQL 이든 No-sql이든)과 서버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언어들입니다(C++, JAVA, Nodejs 같은). 여기에 서버를 다룬다는 특성상 리눅스나 윈도우서버운영체제에 대한 지식도 아예 없어선 안되고.. 배포나 로깅시스템에 대한 이해도 좀 요구되는 편이긴 합니다.

백엔드 개발자만 신입으로 뽑거나 하는 경우는 드물고, 백엔드 개발자는 프론트엔드를 주로 다루는 사람에 비해 ... 더 보기
요새는 백엔드 개발자의 범위가 꽤 넓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많이 일반화 되어서요.
보통 백엔드에 가장 기초적으로 필요한 조건은 어느정도의DB 지식(SQL 이든 No-sql이든)과 서버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언어들입니다(C++, JAVA, Nodejs 같은). 여기에 서버를 다룬다는 특성상 리눅스나 윈도우서버운영체제에 대한 지식도 아예 없어선 안되고.. 배포나 로깅시스템에 대한 이해도 좀 요구되는 편이긴 합니다.

백엔드 개발자만 신입으로 뽑거나 하는 경우는 드물고, 백엔드 개발자는 프론트엔드를 주로 다루는 사람에 비해 CS에 대한 지식을 조금 더 요구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동작원리나 메모리구조나 복잡도에 대한 것들이나 대용량처리의 문제같은것들 때문이죠. 특히 서버는 부하관리가 중요하고 DB와 사용자를 이어주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기초지식을 갖길 원합니다.

최근에는 여기에 클라우드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각종 클라우드 경혐 및 대용량 로그시스템 활용경험(ELK 스택같은)을 요구하기도하고,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활용 지식도 요구합니다. 그러다보니 백엔드의 영역이 점점 인프라+서버+DB가 합쳐지면서 소위 DevOps + DBA에 가까운 포지션이 되어가고 있는 것 같아요. 이마저도 서버의 자동화가 빨라지다보니 일정 규모 이하의 서비스에서는 백엔드 전담 포지션이 점점 줄고있지 않나..싶습니다. 물론 필요가 없는건 아니지만 사람이 여럿 필요했던 백엔드 작업의 여러부분이 간편해지다보니..

저도 최종적으로는 백엔드 포지션을 가고 싶긴 합니다만, 과거에 비해 백엔드 개발자에 대한 요구사항이 높아지는 반면 포지션은 줄고 경력자선호가 강한 포지션이라고 생각합니다. nodejs를 깊이있게 잘 다루실 수 있다면, 이걸 활용해서 nodejs를 사용하는 포지션을 DB 같이 공부하면서 지원해 보시는게 어떨까요. 파이썬은 제 생각에는 백엔드를 준비할때 일부러 배워야 하는 언어는 아닌 것 같습니다. 물론 파이썬과 쟝고를 활용한 서버 포지션도 꽤 있을텐데.. nodejs를 다룰 줄 아는 상황에서 파이썬을 새로 배운다고 백엔드 포지션에 대한 경쟁력이 생기는가..하면 약간 의아하지 않나 조심스레 생각합니다.
파란아게하
현역 포스 덜덜하심
ㅋㅋ여기 계신 '선배님'들이 보고 웃으실거같습니다 ㅋㅋ
파란아게하
제가 선배님이 아니니깐영 우하하핳
그러면 프론트라도 신입으로 들어가서 백앤드로 영역을 넓히는게 좋을까요?

앗 참고로 파이썬은 은근히 빅데이터 처리용으로 요구하는 자리들이 있길래 공부해야하나 싶었구요.
nodejs는 그냥 필요한 거 찾아서 서버에 붙이는 수준이니깐 더 공부해야겟죠.. ㅠㅠ
음 잘 모르겠습니다ㅎㅎ왜냐면 빅데이터 처리능력이있는 건 최근 시장에서 플러스는 확실해요. 근데 이건제가 모르는분야고 그게 파이썬을 쓸 수 있는정도로 가능할거같진않아서...

솔직히 글쓴분이 어느정도인지 전 알수가없으니.. 원하는 포지션 면접을 몇번 봐보시면 더 구체적으로 공부할게 정리되지않으실까 싶습니당!
aquarosa
조언 감사합니다!
실력은 그냥 국비 양산형 주니어예요...
반갑습니다 저도 국비주니어에요ㅋㅋ
그저그런
아무 서비스나 뭐라도 만들어보는게 어떨까요?
aquarosa
지금 혼자 만들고 있는게 있기는한데요.
요즘들어 뭔가 의욕이 생기질 않아서요 ㅋㅋ
역시 누군가 뒤에서 채찍을 들어야..
전 개발자가 아니어서 잘 모르지만, 일단 조금이라도 동작하는걸 만들어본 다음에 거기에 하나하나 붙여너가는 방식으로 해보면 좋을것 같아요.
aquarosa
쳇봇... 한번 도전해볼께요!
윗분들 말씀대로 웹에서 백 프론트 구분이 많이 없어졌습니다. 프론트엔드 엔지니어가 백엔드 흉내는 다 내야하는 시대라서요.
서버/네트워크 엔지니어의 역할도 점점 다분화(클라우드 아키텍쳐링)되고 새로운 포지션도 계속 나오기때문에 많은 공부를 해야할 겁니다.
기회가 된다면 프론트든 풀스택이든 일단 다 도전해보세요. 좋은 선배를 찾으면 등골 뽑는다는 생각으로 베끼고 원리를 익히세요.
연차가 차면 백/프론트/네트워크/devOps 전 필드에서 유연하실수 있어야 경쟁력이 되니, 일단 오픈 마인드로 전부 공부하시면 됩니다.

일례로 no... 더 보기
윗분들 말씀대로 웹에서 백 프론트 구분이 많이 없어졌습니다. 프론트엔드 엔지니어가 백엔드 흉내는 다 내야하는 시대라서요.
서버/네트워크 엔지니어의 역할도 점점 다분화(클라우드 아키텍쳐링)되고 새로운 포지션도 계속 나오기때문에 많은 공부를 해야할 겁니다.
기회가 된다면 프론트든 풀스택이든 일단 다 도전해보세요. 좋은 선배를 찾으면 등골 뽑는다는 생각으로 베끼고 원리를 익히세요.
연차가 차면 백/프론트/네트워크/devOps 전 필드에서 유연하실수 있어야 경쟁력이 되니, 일단 오픈 마인드로 전부 공부하시면 됩니다.

일례로 node를 사용하신다고 하셨는데, node는 프론트만큼 백엔드에서도 많이 사용 되는 도구이며, 네트워크 레이어가 섞인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비동기'라는 강력한 기능으로 병렬 처리를 할 수 있어 웹레이어 개발에서 매우 강력한 무기입니다. promise await async에 대해 이해하시고, npm에서 흥미가 있는 큰 라이브러리를 끝까지 파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러다보면 node는 풀스택이 가능한 엔진어가 되는 좋은 지름길이 됩니다.
python도 사용하신다고 하셨는데, 노파심에 말씀드리자면 node는 항상 'use strict'를 사용하는 버릇을 들이면 참 좋습니다...

기술은 많이 찾아보셨을 테니 어떤 공부를 하셔야되는지에 대해 자격에 대한 이야기로 조금만 풀어본다면
풀스택/프론트엔지니어는 Computer Science 학위 요구가 느슨하지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경우 CS 학위가 minimum인 경우가 많습니다.
빅데이터/AI/데이터사이언티스트/데이터엔지니어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CS 학위 필수인 포지션이 많으며, 대표적인 '신입 없는' 필드입니다.
최근 이거 뚫으려고 대학원 가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 방향도 (가능하다면) 추천드립니다. 한국은 석사 학위 도전이 비교적 쉬운 나라입니다.

이런 학위 공부에 관심이 없으셔도 기본적인 OS,병렬 컴퓨팅,전산 및 알고리즘 지식 등을 체득하셔야 소위 '백엔드'의 자질인 최적화 설계가 가능해집니다. 모르는게 무엇인지 아실테니 차근차근 공부해가며 실무와 이론을 체득하신다면 학위 그 이상의 실력을 뽐내는 경력을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어차피 이 바닥 잘하는 사람도 잘하려는 사람도 적어 낭중지추거든요. 건투를 빕니다!
1
차근차근 공부 너무나..어려운것..
aquarosa
엄청난 조언 감사합니다!
당장은 차근차근 해나가야되겟네요...
윗분들이 말 안하신 것중에선 영어 공부하세요
https://codereview.stackexchange.com
https://softwareengineering.stackexchange.com 즐찾 추가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83 진로퇴사시 연차 수당 관련 25 [익명] 20/05/12 7756 0
9219 진로인턴 관련 질문 11 쿠팡 20/04/19 3626 0
9195 진로그림이 도저히 안늡니다. 재능이 없나요? 38 [익명] 20/04/16 8761 0
9192 진로포기할 것은 포기하는 게 맞는 걸까요? 8 [익명] 20/04/16 3993 0
9176 진로[개발] 주어진 시간 1년, 어떻게 하면 개발 실력을 기를 수 있을까요. 15 [익명] 20/04/14 3878 0
9093 진로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제출할 때 질문입니다. 5 [익명] 20/03/31 3492 0
9042 진로돈버는데 왕도가 있나? 난 뭘좋아하지? 꿀빨면 안될까? 8 [익명] 20/03/22 3687 0
8978 진로군문제해결 : 통역장교 vs 석사+산업체 6 삐약삐약 20/03/14 4381 0
8930 진로퇴사 욕구 들 때 어떻게 참으시나요? 24 [익명] 20/03/09 8250 0
8925 진로명함 보통 어디서 만드나요? 3 행복한사람 20/03/08 3849 0
8914 진로나이 들고 부모님에게 상처를 받네요 8 [익명] 20/03/07 3106 0
8851 진로교대생 진로 18 [익명] 20/02/25 3691 0
8845 진로30대 중반 코딩 배워서 관련 진로로 가는것 어떤가요? 20 한신 20/02/24 12035 1
8822 진로생물분야 대학원 진로 고민... 6 [익명] 20/02/21 2730 0
8803 진로숙원을 포기해본 경험이 있으신 분 있나요? 17 불타는밀밭 20/02/16 4155 0
8778 진로38살에 빅데이터/AI쪽 파트타임 박사 어떨까요? 16 [익명] 20/02/11 9728 0
8772 진로영문 이력서 첨삭해주실분 모십니다. 6 이슬먹고살죠 20/02/11 3537 0
8769 진로자꾸 비교하여 스스로 열패감을 느끼네요. 26 [익명] 20/02/11 4264 0
8748 진로왜 제대로 된 조언을 해주는 사람이 없을까요? 28 덕후나이트 20/02/08 5566 0
8732 진로여자 친구 할머님께서 돌아가셨습니다 4 [익명] 20/02/04 3045 0
8662 진로진로 상담입니다. 16 [익명] 20/01/22 3288 0
8646 진로개발자를 목표로 하는데 공부해야 할게 뭐가 있을까요? 16 aquarosa 20/01/18 5077 0
8636 진로30 중반이 사람 많이 만나는 직종에서 어려보인단 소리 들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22 [익명] 20/01/16 3836 0
8570 진로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10 거소 20/01/01 3663 1
8567 진로병원행정직, 원무과에 재직중이신 분들 계신지요? 취직 관련.. 4 12seconds 20/01/01 451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