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2/21 02:43:07 |
Name | [익명] |
Subject | 생물분야 대학원 진로 고민... |
새벽에 끄적끄적 한번 적어봅니다... 요즘 제일 큰 고민이 대학원이라서... 홍콩에서 생물공부하고 대학원에서 면역학 공부를 해보고 싶은데요. 미국에서 공부는 해보고 싶은데 지금은 한국에 너무 들어가고 싶어요. 해외에서 유학 너무 힘듭니다. 부모님은 무조건 외국으로 나가라고 하시는데... 저는 한국에 들어오고 싶거든요... 지금은... 그래서 석사를 한국에서 하고 박사를 미국으로 갈까 생각했는데, 한국에서는 생물은 거의 석박통합으로 밖에 뽑질 않아서... 물론 뽑아만 주신다면 정말 감사하지만... 제가 가진 이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것이 최선의 길일지 너무 고민입니다... 끄적끄적... 0
|
한국에서 석사과정 들어가는 건 많이 어렵진 않을 겁니다. 물론 어디로 가느냐가 중요하지만, 예전에 비하면 뭐.. 하지만, 석사만 하는 과정으로 들어오더라도 PI 박사과정까지 가길 원할테고, 석사과정 중에 다시 박사 입시 준비를 해서 미국으로 가는 것 자체가 쉽진 않아 보이네요. 홍콩에서 공부하셨으니 영어 문제가 없으니 그것만 해도 큰 부담은 없어보이지만요. 귀국하고 싶으시고 진로 고민이 있으시면, 일단 학사 연구생으로 잠시 받아줄 수 있는 곳이 없는지 알아보시고, 반년-일년 정도 다녀보시는 것도 나쁘진 않아 보이네요. 겉핥기지만 연구실 돌아가는 분위기도 알 수 있고, 한국에서 재충전 후에 다시 유학이든.. 생각하실 수도 있을테니 말이죠.
아직 학부생이신 것 같은데..
석박하는 이유가 국내 대학 교수직으로 남아 연구를 계속 하고 싶으셔서라면. 어차피 미국가서 포닥해야 합니다. 특히 점차 학생 수가 줄고있는 우리나라 상황을 생각하면 GIST UNIST 정도 되는 곳 가려면, nature science cell 1저자 최소 1~2개는 최소조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석박해도 나쁘지 않기는 한텐데, 미국 포닥 갈 때 좀 좋은 자리, 좋은 조건으로 가려면 역시나 적당한 논문이 있어야 하니 잘 선택해서 가시기 바랍니다. 우선 우리나라 affiliatjon만 달고immunology 분야로 pnas jci 정도 나오는 곳 찾아보세요.
석박하는 이유가 국내 대학 교수직으로 남아 연구를 계속 하고 싶으셔서라면. 어차피 미국가서 포닥해야 합니다. 특히 점차 학생 수가 줄고있는 우리나라 상황을 생각하면 GIST UNIST 정도 되는 곳 가려면, nature science cell 1저자 최소 1~2개는 최소조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석박해도 나쁘지 않기는 한텐데, 미국 포닥 갈 때 좀 좋은 자리, 좋은 조건으로 가려면 역시나 적당한 논문이 있어야 하니 잘 선택해서 가시기 바랍니다. 우선 우리나라 affiliatjon만 달고immunology 분야로 pnas jci 정도 나오는 곳 찾아보세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