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3/17 10:28:50 |
Name | [익명] |
Subject | 공감 능력이 없는 사람의 연애 질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요즘 개인적으로 너무 고민인 문제가 있어 조언을 구해보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그 문제는, 제가 특정 상황에 대한 공감 능력이 없다는 점입니다. 감정적인 부분이라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지만, 저는 타인의 감정, 특히 타인의 심적 힘듦에 대한 공감을 전혀 할 수 없습니다. 통증에 대해서는 공감할 수 있고, 슬픔에 대해서도 공감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비슷할 것 같은 심적 힘듦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싶어도 비어있는 느낌이 듭니다. 제가 자라오면서, '그런 힘든 상황은 어쩔 수 없지, 누구나 다 대충 참으면서 사는거지' 하는 생각을 가져왔던게 문제일까요? 이런 것 때문에, 요즘 여자친구와의 다툼이 많아졌습니다. 여자친구는 회사를 다니고 있고 회사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일하고 있습니다. 제게 온 카톡을 보더라도 거의 하루의 카톡 중 8할 이상은 사내 스트레스, 욕 또는 푸념으로 차있습니다. 처음에는, 여자친구를 화나게 한 상대를 같이 욕하기도 했고, 이런 저런 도움될 만한 방법들에 대해서도 얘기해봤는데, 이게 4년정도 지속되니.. 더 이상 제 공감능력으로는 커버가 안되는 것 같아요. 보통 '여자친구가 이런 얘기를 하면, 해결책보다는 공감을 원하는 것이니 들어주는 것 만으로도 도움이 될 거다' 라고들 얘기하잖아요? 그런데 이제 들어주는.. 음.. 레퍼토리? 방식? 같은게 바닥나서 그런 카톡에 대해 대답해주기가 너무 어려워졌습니다. '그렇구나', '힘들었겠다' 같은 얘기를 하면, 여자친구는 제게 '너는 소울이 없다' 라고 하고 '이렇게 저렇게 해봐라' 같은 얘기를 하면, 여자친구는 제게 '그건 내가 알아서 할 거다' 라고 합니다. 그렇다고 진짜 말 그대로 읽기만 하고 대답을 안해주면, 그거 나름대로 또 욕 먹을 짓이잖아요? 아무튼 이런 상황 속에서 제 연애, 특히 저와 여자 친구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괜찮은 방법이나 노하우 등을 얻고 싶습니다. 4년 이상 연애 중인 여자친구와 매번 감정 소모하는게 서로를 너무 힘들게 해서 조금이라도 더 나은 방법이 있다면 꼭 알고 싶습니다. ex) 소울 충만하게, 여자친구의 고민, 걱정과 회사 욕을 들어주는 완벽한 방법 0
|
사실 감정표현이나 인식도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글쓴이분은 다른사람의 힘듦에 공감하는 감정이 부족한 상태니 연습을 하시는것도 좋겠죠
그리고 사실 스스로 답을 가지고 계신거 같기도 합니다.
['그런 힘든 상황은 어쩔 수 없지, 누구나 다 대충 참으면서 사는거지']
라는 생각이 기본 바탕에 깔려서 심적으로 힘든것에 시큰둥해질 수 밖에 없죠
저런 심적 힘듦을 대충 참기 힘든 사람이 있다면 어떨까요? 우선 저 생각을 잠시 치워두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여자친구를 위해서... 더 보기
그런데 글쓴이분은 다른사람의 힘듦에 공감하는 감정이 부족한 상태니 연습을 하시는것도 좋겠죠
그리고 사실 스스로 답을 가지고 계신거 같기도 합니다.
['그런 힘든 상황은 어쩔 수 없지, 누구나 다 대충 참으면서 사는거지']
라는 생각이 기본 바탕에 깔려서 심적으로 힘든것에 시큰둥해질 수 밖에 없죠
저런 심적 힘듦을 대충 참기 힘든 사람이 있다면 어떨까요? 우선 저 생각을 잠시 치워두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여자친구를 위해서... 더 보기
사실 감정표현이나 인식도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글쓴이분은 다른사람의 힘듦에 공감하는 감정이 부족한 상태니 연습을 하시는것도 좋겠죠
그리고 사실 스스로 답을 가지고 계신거 같기도 합니다.
['그런 힘든 상황은 어쩔 수 없지, 누구나 다 대충 참으면서 사는거지']
라는 생각이 기본 바탕에 깔려서 심적으로 힘든것에 시큰둥해질 수 밖에 없죠
저런 심적 힘듦을 대충 참기 힘든 사람이 있다면 어떨까요? 우선 저 생각을 잠시 치워두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여자친구를 위해서 공감하는 척을 하는게 아니라 실제로 내가 대충참기 힘든 사람이라고 상상을 해보는거죠
약간 뜬구름 잡는 소리일 수도 있지만 일상적으로 많이들 하는거 같습니다. 뉴스나 영화 드라마에 많이들 몰입하는걸 보면 말이죠.
실질적인 방법은 아무래도 심적 어려움을 겪는 여러 작품을 통해서 느끼는건 어떨까 싶네요. 책, 영화, 드라마 등 많으니까요. 최근에 그동안 읽고 싶었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읽었는데요, 처음엔 한심하다고 느끼다가도 점점 얼마나 힘들었을까 내가 그라면 어떨까 하며 괴로움과 슬픔이 전해지더군요.
적고보니 사실 큰 도움은 안되는거 같네요.
그런데 글쓴이분은 다른사람의 힘듦에 공감하는 감정이 부족한 상태니 연습을 하시는것도 좋겠죠
그리고 사실 스스로 답을 가지고 계신거 같기도 합니다.
['그런 힘든 상황은 어쩔 수 없지, 누구나 다 대충 참으면서 사는거지']
라는 생각이 기본 바탕에 깔려서 심적으로 힘든것에 시큰둥해질 수 밖에 없죠
저런 심적 힘듦을 대충 참기 힘든 사람이 있다면 어떨까요? 우선 저 생각을 잠시 치워두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여자친구를 위해서 공감하는 척을 하는게 아니라 실제로 내가 대충참기 힘든 사람이라고 상상을 해보는거죠
약간 뜬구름 잡는 소리일 수도 있지만 일상적으로 많이들 하는거 같습니다. 뉴스나 영화 드라마에 많이들 몰입하는걸 보면 말이죠.
실질적인 방법은 아무래도 심적 어려움을 겪는 여러 작품을 통해서 느끼는건 어떨까 싶네요. 책, 영화, 드라마 등 많으니까요. 최근에 그동안 읽고 싶었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읽었는데요, 처음엔 한심하다고 느끼다가도 점점 얼마나 힘들었을까 내가 그라면 어떨까 하며 괴로움과 슬픔이 전해지더군요.
적고보니 사실 큰 도움은 안되는거 같네요.
제 생각엔 이건 선생님 과실만 있는건 아닙니다.
투정도 적당히 해야 투정이지 과하면 그냥 감정 쓰레기통 샌드백인거에요. 그건 잘못된거죠.
진지하게 대화를 나눠보세요. 이런 점에서 힘들다고.
투정도 적당히 해야 투정이지 과하면 그냥 감정 쓰레기통 샌드백인거에요. 그건 잘못된거죠.
진지하게 대화를 나눠보세요. 이런 점에서 힘들다고.
사소한 일상에서 좋았던 건 나빴던 것, 화났던 것들에 대해서 애인분과 소통해보세요.
오늘 이러저러 했는데 너무 기분이 나빴다 라고 말할 때 애인분은 어떻게 반응하시는 지도 보시구요.
어린 애들도 아니고 영혼 없이 그냥 대꾸해주는 건 바보가 아닌 한 다 압니다.
상대방이 원하는 건 말 그대로 진짜 감정적으로 공감해주고 이해하는 거 거든요. 그게 100% 모든 일을 다 공감 해줄 수는 없어도 어느 정도는 해줘야 하구요.
오늘 이러저러 했는데 너무 기분이 나빴다 라고 말할 때 애인분은 어떻게 반응하시는 지도 보시구요.
어린 애들도 아니고 영혼 없이 그냥 대꾸해주는 건 바보가 아닌 한 다 압니다.
상대방이 원하는 건 말 그대로 진짜 감정적으로 공감해주고 이해하는 거 거든요. 그게 100% 모든 일을 다 공감 해줄 수는 없어도 어느 정도는 해줘야 하구요.
음... 여러 케이스가 있을텐데 가능성 중 하나로는 https://youtu.be/BXcGM6_A2nA 를 참고해보셔도 될 듯해요. 저도 저 힘든 거 인정하지 않고 버티는 성격이었는데, 몇몇 계기로 계속 바꾸어가고 있거든요.
위에 듣보잡님이 해주신 말씀과도 연관되고요.
그렇다고 글쓴이께서 일방적으로 잘못하셨다 문제가 있다 이런 건 아니에요. 인지적/정서적 공감능력이 뛰어나면 오히려 상대방의 꾸준하고 지속적인 직장생활 불만과 스트레스 해소를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 더 보기
내가 '차갑다'는 이야기를 듣는다면? 감정을 모르겠다면 혹시? 감정표현불능증 [정신과의사 - 뇌부자들]
위에 듣보잡님이 해주신 말씀과도 연관되고요.
그렇다고 글쓴이께서 일방적으로 잘못하셨다 문제가 있다 이런 건 아니에요. 인지적/정서적 공감능력이 뛰어나면 오히려 상대방의 꾸준하고 지속적인 직장생활 불만과 스트레스 해소를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 더 보기
음... 여러 케이스가 있을텐데 가능성 중 하나로는 https://youtu.be/BXcGM6_A2nA 를 참고해보셔도 될 듯해요. 저도 저 힘든 거 인정하지 않고 버티는 성격이었는데, 몇몇 계기로 계속 바꾸어가고 있거든요.
위에 듣보잡님이 해주신 말씀과도 연관되고요.
그렇다고 글쓴이께서 일방적으로 잘못하셨다 문제가 있다 이런 건 아니에요. 인지적/정서적 공감능력이 뛰어나면 오히려 상대방의 꾸준하고 지속적인 직장생활 불만과 스트레스 해소를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
스스로를 위해서라도 [제가 자라오면서, '그런 힘든 상황은 어쩔 수 없지, 누구나 다 대충 참으면서 사는거지' 하는 생각을 가져왔던게 문제일까요?]는 약간 다르게 생각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당
내가 '차갑다'는 이야기를 듣는다면? 감정을 모르겠다면 혹시? 감정표현불능증 [정신과의사 - 뇌부자들]
위에 듣보잡님이 해주신 말씀과도 연관되고요.
그렇다고 글쓴이께서 일방적으로 잘못하셨다 문제가 있다 이런 건 아니에요. 인지적/정서적 공감능력이 뛰어나면 오히려 상대방의 꾸준하고 지속적인 직장생활 불만과 스트레스 해소를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
스스로를 위해서라도 [제가 자라오면서, '그런 힘든 상황은 어쩔 수 없지, 누구나 다 대충 참으면서 사는거지' 하는 생각을 가져왔던게 문제일까요?]는 약간 다르게 생각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당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