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3/27 17:11:10
Name   [익명]
Subject   아파트 재건축 입주권과 추후 상속 문제
안녕하세요. 옆동네에도 글을 올렸었는데 조금 더 글을 가다듬고 질문 드립니다.
아파트 재건축 입주권 및 추후 상속과 관련된 문제입니다ㅠㅠ

상황 설명
1. 부모는 재건축되는 아파트를 소유
2. 부모는 재건축 조합원으로서 추후 상황을 가정하여 30평 선택 시 약 5억원의 추가 금액 필요
3. 부모는 자녀 A, B에게 물려줄 것은 이 아파트 밖에 없는데, 너희가 5억원 지불하고 나중에
재건축이 완료된 아파트 물려받으라고 함.

이러한 상황에서 자녀 A, B가 사이좋게 5억원을 나누어 지불한다면, 나중에 재건축이 완료된 아파트 시세가
10억이 되든 3억이 되든 두명이서 절반씩 상속이나 증여를 받으면 될텐데요..(이것도 관련 지식이 1도 없는 저의 추측ㅠㅠ)

근데 만약 자녀 A만 혼자서 5억을 다 지불한 경우에는 추후 달라지는 재건축 완료된 아파트 시세에 따라 상속이나 증여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건가요??

관련해서 찾아보려고 해도 전부 다 증여, 상속, 매매 관련된 세금 문제밖에 없어서 ㅠㅠㅠ
더불어 이런 부분은 법무사나 변호사와 찾아가서 상담을 받아야 하는 부분일까요?

질문드립니다..



0


두분이서 상호 계약을 하시면 안될까 싶습니다.

A가 5억 전액 부담한다 하면

원래는 A가 2.5억 B가 2.5억 부담할 거였잖아요?

그럼 재건축이 완료되어 판매하는 시점까지
A는 B에게 2.5억을 빌려준 것으로 하고,
판매금액의 절반에서 판매시점까지 2.5억에 대한 이자와 원금 2.5억을 공제한 나머지 금액을 받는걸로 하면 좀 합리적이지 않을까요..? 이자율은 고정금리로 얼마 하시던지 하시고.
[글쓴이]
제 이해력이 딸려서 그런데, 말씀하신대로라면 만약 판매시점에 가격이 10억이라면, 10억-(2.5억+2.5억 이자) / 2 로 해서 서로 나눠 갖는 계약을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그리고 위의 10억-(2.5억+2.5억 이자) / 2 = '가' 라면
A 는 '가' + 2.5억 분을 가지게 되는 계약을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2.5억을 빌리는 것으로 하면 빌린 사람이 유리하고..
5억만큼의 지분을 더 가지면 빌려준 사람이 유리한 거 아닐까 싶네요.
[글쓴이]
음.. 이게 선택이 가능한 부분인가요? 규율하는 부분이 없어 위에 답변 남겨주신 부분처럼 서로 정해야 하는 부분일까요?
상속이야 주는 사람 마음이죠.. 부모가 자기 재산을 반반주든 4:6으로 주든.. 다만 0:10이런 식으론 못 주구요. 줄순있는데 자식이 법적으로 요구할 수 있는 지분이 있어서요. 그 안에서 서로 정하셔야 해요.
배워보자
자녀가 부모님한테 주는 돈도 증여에 해당하여 증여세를 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5억은 증여세를 내야하는 금액이고요.
따라서 부모님께 5억을 빌려주는 형식을 취해야 증여세를 내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돈을 빌려주는 형식을 취했다면 매월 법정이자 이상의 금액을 부모님이 글쓰신 분에게 갚았다는 history를 남겨야 합니다.
특히나 요즘처럼 부동산관련 자금 및 세금에 민감한 시기에는 해당 건은 잘 못하면 증여세를 비롯하여 세금을 두들겨 받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이네요
가까운 세무사 사무실에서 상담을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제 친구가 비슷한 경우였는데 (재개발 아파트) 잘 처리하지 않으면 귀찮아집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81 법률인터넷에서 본 짤인데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4 [익명] 20/05/12 2947 0
9376 법률채무가 있는 상태에서 연금 분할하고 이혼하면 압류가 어디까지 들어오나요? 1 [익명] 20/05/11 3164 0
9371 법률근로소득자가 소액의 3.3프로 개인소득(사업소득?)이 생기면 11 공기반술이반 20/05/11 5904 0
9341 법률편의점 근무 중 폭행을 당했습니다. 2 [익명] 20/05/05 3684 0
9340 법률민방위 4년차인데 군복 버려도 될까요? 11 [익명] 20/05/05 8604 0
9309 법률사람 습격하는 개 어떻게 처리할 수 있나요 10 [익명] 20/05/01 3246 0
9263 법률현직 교통사고 피해자입니다. 6 [익명] 20/04/23 3483 0
9261 법률허위사실에 관해서 문의있습니다 2 [익명] 20/04/23 2859 0
9253 법률교통사고를 당했는데 경황이 없습니다 5 [익명] 20/04/23 3238 0
9252 법률고 노무현 대통령의 자살과 그 후에 대해서 17 [익명] 20/04/22 3880 0
9206 법률아파트 증축 리모델링 조합설립 결의서가 날아왔는데요. 9 원영사랑 20/04/17 4870 0
9201 법률검찰개혁에 대해 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6 [익명] 20/04/17 3273 0
9171 법률연차 질문입니다. 6 원영사랑 20/04/13 4722 0
9157 법률큰 병원이나 회사에서는 human error를 어떻게 처리하나요? 7 불타는밀밭 20/04/10 4040 0
9111 법률차량 구매로 이모 두분에게 돈을 빌릴 예정인데 세금문제가 있을까요?? 6 [익명] 20/04/03 3286 0
9109 법률소년법, 그리고 엄벌주의 16 [익명] 20/04/02 3108 0
9099 법률전세 만기 전 이사하려는 임대인의 중개수수료 질문입니다. 3 [익명] 20/04/01 3113 0
9071 법률n번방(이나 유사한 방들) 사건과 관련한 궁금한 점 12 [익명] 20/03/29 4955 0
9067 법률아파트 재건축 입주권과 추후 상속 문제 6 [익명] 20/03/27 3995 0
9035 법률n번방 사건 피의자의 공개소환 요구에 관한 질문 1 [익명] 20/03/21 3122 0
8960 법률제가 친구한테 서운하다고 했는데요. 33 원영사랑 20/03/12 3077 0
8950 법률이번 투표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불타는밀밭 20/03/11 3448 0
8913 법률영미법 잘 아시는 분께 질문 14 먹이 20/03/06 4307 0
8869 법률월세 - 묵시적갱신 이후 임대인의 이사 요청, 대처법? 4 데이비드권 20/02/27 4990 0
8865 법률스팸 문자 또는 전화에 책임을 물을 방법이 있을까요? 4 [익명] 20/02/26 288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