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4/17 10:27:20
Name   [익명]
Subject   검찰개혁에 대해 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이런 곳에 관심을 안두고 살아와서
검찰개혁이 무얼 말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조국 사태때도 관심이 없어서 잘 모릅니다.
뉴스에서, 인터넷에서 심심하면 검찰개혁 검찰개혁 하는데
현 검찰의 무엇이 문제이고 그것이 왜 그런지,
무엇을 어떻게 개혁하겠다는건지
설명을 쉽게 해 주실 수 있을까요?



0


공기반술이반
제가 생각하는 단편적인 예를 들어보면
청와대 비서관은 감찰을 해서 뭔가 문제가 발견되었을때
발견된 문제가 사소하든 증거가 부족하든 아니면 뭐 다른 중요한 일이 있던
수사하라고 안했다고 졸라 까이는걸 보면서

..어? 검찰은 깔고 뭉개고 질질끌고있는 사건이 몇갠데?
아니 검찰청 지하에 가면 필요할때 써먹으려고 묵혀둔 파일(정치권 비리든 재벌가 이슈든)도 존나 많다면서?(이건 좀 음모론 스러운가요?)

같은 생각도 들구요....

유사범죄에 대해 검찰의 기소/구형 등이
피의자가 일반인/재벌/연예인/정치인/검찰... 더 보기
제가 생각하는 단편적인 예를 들어보면
청와대 비서관은 감찰을 해서 뭔가 문제가 발견되었을때
발견된 문제가 사소하든 증거가 부족하든 아니면 뭐 다른 중요한 일이 있던
수사하라고 안했다고 졸라 까이는걸 보면서

..어? 검찰은 깔고 뭉개고 질질끌고있는 사건이 몇갠데?
아니 검찰청 지하에 가면 필요할때 써먹으려고 묵혀둔 파일(정치권 비리든 재벌가 이슈든)도 존나 많다면서?(이건 좀 음모론 스러운가요?)

같은 생각도 들구요....

유사범죄에 대해 검찰의 기소/구형 등이
피의자가 일반인/재벌/연예인/정치인/검찰(출신)인사 들에 대해서
고무줄처럼 재량껏 법을 적용하는 것처럼 보인게 너무 많지 않은가 싶기도 하구요..
DX루카포드수정됨
검찰개혁-공수처와 관련하여 썼던 글 링크드립니다. https://redtea.kr/?b=3&n=9741
검찰이 문제가 없는 조직은 아니지만 정치권에서 떠드는 검찰개혁이란 말은
실질적인 문제해결보다는 더욱더 정치권력에 사법권을 종속시키기 위한 시도라 평가합니다.
제도설계자체가 그렇습니다.

--

공수처가 기존의 정치검찰보다 정치권력에게 유리한 점은 무엇인가?
기존 정치검찰은 야당 비토권없이도 맘대로 임명할 수 있는데
어쨌든 공수처가 정치검찰보다 집권정부... 더 보기
검찰개혁-공수처와 관련하여 썼던 글 링크드립니다. https://redtea.kr/?b=3&n=9741
검찰이 문제가 없는 조직은 아니지만 정치권에서 떠드는 검찰개혁이란 말은
실질적인 문제해결보다는 더욱더 정치권력에 사법권을 종속시키기 위한 시도라 평가합니다.
제도설계자체가 그렇습니다.

--

공수처가 기존의 정치검찰보다 정치권력에게 유리한 점은 무엇인가?
기존 정치검찰은 야당 비토권없이도 맘대로 임명할 수 있는데
어쨌든 공수처가 정치검찰보다 집권정부에도 불리한, 일부 권력을 내려놓는 제도인건 사실아닌가?

공수처는 더 소수의 조직이죠. 공수처장+25~30정도의 검사.
다수인원을 제 식구로 채우는것보다 소수인원을 제 식구로 채우는 것이 훨씬 쉬우며,
공수처장의 급이 어떻게 되든 검찰총장에 비해 직급이 낮고 젊은 사람이 될겁니다.
그럼 후보풀은 더 많고, 개별 후보의 개별적인 위상은 낮고, 공수처장이 되었을 때
위상증대는 압도적이죠. 간단히 말해서 검찰총장 후보 급 인사를 검찰총장에 임명하는 것보다
공수처장 후보급 인사를 공수처장에 임명하는게 훨씬 큰 은혜베풀기, Give가 되는 겁니다.

그런 [깜짝 발탁]을 해도 반발을 덜 사고 오히려 개혁적인 모습으로 포장할 수 있으며
실질은 내게 충성하면 일반검사보다 강한 권력을 가진 꽃보직으로 바로 픽킹할 수 있는거죠.
그러면서도 그 칼을 휘두르는 것을 정의로 포장하기는 더욱 쉽고 말이죠.

즉 '장악의 용이성'이 기존 검찰보다 정치권력에게 유리한 것입니다.
7
방사능홍차
정권만 바뀌면은 언젠가 제2의 노통처럼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수도 있는거죠?
화이트카페모카
그냥 정치세력들이 더 다루기 쉬운 인형으로 만드는거죠
2
윤지호
개인적으로는 쌍팔년도에 검찰이 해왔던거를 생각해보면 지금 집권당이 검찰개혁 부르짖는것도 이해가 가긴 하는데, 그때의 검찰을 지금의 검찰과 동일시할 수 있는가..에는 그닥 동의하기 힘드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81 법률인터넷에서 본 짤인데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4 [익명] 20/05/12 2942 0
9376 법률채무가 있는 상태에서 연금 분할하고 이혼하면 압류가 어디까지 들어오나요? 1 [익명] 20/05/11 3159 0
9371 법률근로소득자가 소액의 3.3프로 개인소득(사업소득?)이 생기면 11 공기반술이반 20/05/11 5902 0
9341 법률편의점 근무 중 폭행을 당했습니다. 2 [익명] 20/05/05 3679 0
9340 법률민방위 4년차인데 군복 버려도 될까요? 11 [익명] 20/05/05 8599 0
9309 법률사람 습격하는 개 어떻게 처리할 수 있나요 10 [익명] 20/05/01 3243 0
9263 법률현직 교통사고 피해자입니다. 6 [익명] 20/04/23 3474 0
9261 법률허위사실에 관해서 문의있습니다 2 [익명] 20/04/23 2850 0
9253 법률교통사고를 당했는데 경황이 없습니다 5 [익명] 20/04/23 3235 0
9252 법률고 노무현 대통령의 자살과 그 후에 대해서 17 [익명] 20/04/22 3876 0
9206 법률아파트 증축 리모델링 조합설립 결의서가 날아왔는데요. 9 원영사랑 20/04/17 4864 0
9201 법률검찰개혁에 대해 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6 [익명] 20/04/17 3267 0
9171 법률연차 질문입니다. 6 원영사랑 20/04/13 4719 0
9157 법률큰 병원이나 회사에서는 human error를 어떻게 처리하나요? 7 불타는밀밭 20/04/10 4037 0
9111 법률차량 구매로 이모 두분에게 돈을 빌릴 예정인데 세금문제가 있을까요?? 6 [익명] 20/04/03 3280 0
9109 법률소년법, 그리고 엄벌주의 16 [익명] 20/04/02 3103 0
9099 법률전세 만기 전 이사하려는 임대인의 중개수수료 질문입니다. 3 [익명] 20/04/01 3108 0
9071 법률n번방(이나 유사한 방들) 사건과 관련한 궁금한 점 12 [익명] 20/03/29 4948 0
9067 법률아파트 재건축 입주권과 추후 상속 문제 6 [익명] 20/03/27 3987 0
9035 법률n번방 사건 피의자의 공개소환 요구에 관한 질문 1 [익명] 20/03/21 3118 0
8960 법률제가 친구한테 서운하다고 했는데요. 33 원영사랑 20/03/12 3068 0
8950 법률이번 투표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불타는밀밭 20/03/11 3443 0
8913 법률영미법 잘 아시는 분께 질문 14 먹이 20/03/06 4301 0
8869 법률월세 - 묵시적갱신 이후 임대인의 이사 요청, 대처법? 4 데이비드권 20/02/27 4986 0
8865 법률스팸 문자 또는 전화에 책임을 물을 방법이 있을까요? 4 [익명] 20/02/26 287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