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5/20 13:38:57 |
Name | [익명] |
Subject | 주니어 기획자의 이직 고민입니다 |
저는 현재 1~3년차 서비스 기획자이고, 커리어를 위해 이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저는 데이터 분석가, 혹은 데이터분석가는 아니더라도 데이터 분석을 잘 이해하고 활용할 줄 아는 서비스 기획자가 되고 싶습니다. 현재 이직 고민중인 회사가 괜찮은 선택인지 고민이 되어 질문글을 올려봅니다. 장점 1. 데이터분석가가 팀에 있고(팩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팀(회사의 주장?) 2. 사업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에(글로벌 순위권) 훨씬 다양한 경험 가능 3. 관심있는 해외 시장에 신규 진출하는 팀이라, 시장 경험을 해볼 수 있음 4. 연봉테이블이 좀더 높다. 단점 1. 서비스 기획이 아닌 사업 기획 -> 서비스 기획은 결국 사업기획을 잘 알아야 하지 않을까 싶어서 괜찮지 않을까 싶은데 잘 모르겠음 2. 출근거리가 +30분, 만석 버스를 타야함 (현재 40분, 이직 후 1시간 10분, 본인은 피곤한 통근을 매우매우 싫어해 큰 마이너스 요소) (다만 유연출근제라 러시아워를 피할 수 있을 것 같음) 3. 야근이 더 많음 4. 더 경쟁적인 분위기 ** 현재 회사 - 평화로움, 워라밸 좋음, 하지만 비전없음, 커리어에 도움 전혀 안됨 요약하면, 커리어와 전문성 vs 평화와 워라밸 중 커리어를 선택하고자 하는데, [이 회사가 커리어에 실제로 도움이 될까?]가 고민의 이유인 것 같습니다. 데이터분석과 사업규모는 장점이지만, 서비스기획 직무를 좋아하는데 사업기획으로 가게 되면 서비스기획을 돌아오지 못할까 걱정이 되거든요. 그런데 한편으로는 서비스기획은 에이전시에 있을바가 아닌 이상 결국 사업 기획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하는데, 그럴거면 걍 빨리 경험하는 게 맞는 것 같기도 하구요. 여러분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실것 같으신가요?ㅠㅠ 조언 부탁드립니다.ㅠㅠ 0
|
저라면 길게 생각안하고 갑니다. 출퇴근이니 워라밸이니, 커리어와 스킬을 쌓아야할 때 못 쌓으면 영원히 못 쌓습니다.
고등학생이 "비싼 학원 다니고 공부 열심히 하면 피곤하고 돈도 드니 나중에 대학가서 하고싶은 공부 열심히 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라고 물어보면 어떤 생각드시나요. 일은 하고 싶을 때 더 배워야합니다. 출퇴근은 마이너스 요인이지만 결국엔 부차적인 요인입니다.
고등학생이 "비싼 학원 다니고 공부 열심히 하면 피곤하고 돈도 드니 나중에 대학가서 하고싶은 공부 열심히 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라고 물어보면 어떤 생각드시나요. 일은 하고 싶을 때 더 배워야합니다. 출퇴근은 마이너스 요인이지만 결국엔 부차적인 요인입니다.
당장 와이프가 출산을 앞둔 상황이 아니면 이직을 추천합니다.
저도 기획밥 먹긴 한데, 화면 설계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떨어지는거 같아요.
확실한 커뮤니케이션 스킬, 운영능력, 데이터 분석 같은게 더 중요해 보입니다.
그리고 서비스 기획에서 사업 기획으로 넘어가면, 더 많은 것들을 볼 수 있을듯 합니다.
다만 [2. 사업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에(글로벌 순위권) 훨씬 다양한 경험 가능]의 경우는 케바케가 있다고 봐요.
큰 회사로 옮기면서 전 회사에 생각도 못했던, 앱 분석 솔루션... 더 보기
저도 기획밥 먹긴 한데, 화면 설계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떨어지는거 같아요.
확실한 커뮤니케이션 스킬, 운영능력, 데이터 분석 같은게 더 중요해 보입니다.
그리고 서비스 기획에서 사업 기획으로 넘어가면, 더 많은 것들을 볼 수 있을듯 합니다.
다만 [2. 사업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에(글로벌 순위권) 훨씬 다양한 경험 가능]의 경우는 케바케가 있다고 봐요.
큰 회사로 옮기면서 전 회사에 생각도 못했던, 앱 분석 솔루션... 더 보기
당장 와이프가 출산을 앞둔 상황이 아니면 이직을 추천합니다.
저도 기획밥 먹긴 한데, 화면 설계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떨어지는거 같아요.
확실한 커뮤니케이션 스킬, 운영능력, 데이터 분석 같은게 더 중요해 보입니다.
그리고 서비스 기획에서 사업 기획으로 넘어가면, 더 많은 것들을 볼 수 있을듯 합니다.
다만 [2. 사업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에(글로벌 순위권) 훨씬 다양한 경험 가능]의 경우는 케바케가 있다고 봐요.
큰 회사로 옮기면서 전 회사에 생각도 못했던, 앱 분석 솔루션 사용, 백 오피스 구성 등은 좋은 경험이 되었지만,
회사가 큰 만큼 나 자신의 중요성은 줄어들고, 다른 기획자가 있는 만큼 중책을 맡기 힘들수도 있어서, 그런 부분은 되려 마이너스가 되었습니다.
(어쩌면, 그게 1~3년차 직장인이라면 당연하기도 하지만요.)
그리고 예상되는 연봉이 몇% 인상 폭인지도 써주신다면 더 정확하게 조언이 가능할듯 합니다.
저도 기획밥 먹긴 한데, 화면 설계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떨어지는거 같아요.
확실한 커뮤니케이션 스킬, 운영능력, 데이터 분석 같은게 더 중요해 보입니다.
그리고 서비스 기획에서 사업 기획으로 넘어가면, 더 많은 것들을 볼 수 있을듯 합니다.
다만 [2. 사업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에(글로벌 순위권) 훨씬 다양한 경험 가능]의 경우는 케바케가 있다고 봐요.
큰 회사로 옮기면서 전 회사에 생각도 못했던, 앱 분석 솔루션 사용, 백 오피스 구성 등은 좋은 경험이 되었지만,
회사가 큰 만큼 나 자신의 중요성은 줄어들고, 다른 기획자가 있는 만큼 중책을 맡기 힘들수도 있어서, 그런 부분은 되려 마이너스가 되었습니다.
(어쩌면, 그게 1~3년차 직장인이라면 당연하기도 하지만요.)
그리고 예상되는 연봉이 몇% 인상 폭인지도 써주신다면 더 정확하게 조언이 가능할듯 합니다.
앗 서비스기획 선배님! 이시군요!!
사업기획으로 넘어가면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는 것이 맞을까요?
막연히 그럴 거라 생각했는데, 혹시 서비스 기획(실제로 개발, 디자인부서와 협업하면서 결과물 만들어내는 것)과 멀어지고, 애매모호한 수치 다루기나 PPT 자료 만드는 일은 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약간 걱정이 되었거든요.
말씀하신 중책을 맡지 못하는 부분은 감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뭣도 모르고 PM하면서 온갖거 다해본 게 좋은 경험이긴 했지만 이젠 좀 경험많은 분들에게 배우고 싶습니다ㅋㅋ큐ㅠㅠㅠㅠ
연봉은 약 10% ... 더 보기
사업기획으로 넘어가면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는 것이 맞을까요?
막연히 그럴 거라 생각했는데, 혹시 서비스 기획(실제로 개발, 디자인부서와 협업하면서 결과물 만들어내는 것)과 멀어지고, 애매모호한 수치 다루기나 PPT 자료 만드는 일은 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약간 걱정이 되었거든요.
말씀하신 중책을 맡지 못하는 부분은 감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뭣도 모르고 PM하면서 온갖거 다해본 게 좋은 경험이긴 했지만 이젠 좀 경험많은 분들에게 배우고 싶습니다ㅋㅋ큐ㅠㅠㅠㅠ
연봉은 약 10% ... 더 보기
앗 서비스기획 선배님! 이시군요!!
사업기획으로 넘어가면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는 것이 맞을까요?
막연히 그럴 거라 생각했는데, 혹시 서비스 기획(실제로 개발, 디자인부서와 협업하면서 결과물 만들어내는 것)과 멀어지고, 애매모호한 수치 다루기나 PPT 자료 만드는 일은 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약간 걱정이 되었거든요.
말씀하신 중책을 맡지 못하는 부분은 감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뭣도 모르고 PM하면서 온갖거 다해본 게 좋은 경험이긴 했지만 이젠 좀 경험많은 분들에게 배우고 싶습니다ㅋㅋ큐ㅠㅠㅠㅠ
연봉은 약 10% 이상 인상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더 높은 것 같던데 제가 이직이 처음이라 쫄아서 조금만 올려불렀네요ㅠㅠ 면접관분이 우리 연봉 잘받는다고 막 부르라고 하셨는데..후회되네요ㅋㅋ )
사업기획으로 넘어가면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는 것이 맞을까요?
막연히 그럴 거라 생각했는데, 혹시 서비스 기획(실제로 개발, 디자인부서와 협업하면서 결과물 만들어내는 것)과 멀어지고, 애매모호한 수치 다루기나 PPT 자료 만드는 일은 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약간 걱정이 되었거든요.
말씀하신 중책을 맡지 못하는 부분은 감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뭣도 모르고 PM하면서 온갖거 다해본 게 좋은 경험이긴 했지만 이젠 좀 경험많은 분들에게 배우고 싶습니다ㅋㅋ큐ㅠㅠㅠㅠ
연봉은 약 10% 이상 인상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더 높은 것 같던데 제가 이직이 처음이라 쫄아서 조금만 올려불렀네요ㅠㅠ 면접관분이 우리 연봉 잘받는다고 막 부르라고 하셨는데..후회되네요ㅋㅋ )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