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5/27 16:03:52
Name   [익명]
Subject   로드 자전거라는 것이 사고 싶어졌습니다.
중고나라에서 6만원인가 7만원에 업어온 모델명도 모르는 삼천리 고물 자전거로 종종 중장거리를 탑니다.

최근에 전국제패라는 목표가 생겼는데 그러면서 초반의 기세를 금세 잃고 한강변이 아닌 이상 시속 20도 내기 힘겨워하는 모습이 온전히 자전거가 고물때기라서라고 치부하게 된 듯 합니다. 배나오고 나보다 열살은 많아보이는 아재들이 슝슝 지나가는 저 물건이 바로 로드란 것이로구나.

그리하여 조금 검색을 해보니, 입문용 이름이 붙은 것이 대강 40~60만원 정도 하는 거 같던데 이런 것을 사도 로드의 가치를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것인가요? 그냥 동네 삼천리에서 사도 될런지요? 그렇다면 자덕 형님들이 타시는 수백은 기본으로 잡는 고오급 자전거는 어떤 차별점이 있길래 그래 비싼 것인가요?



0


5미터 높이에서 뛰어내려도 끄떡 없는 튼튼한 프레임... 같은 이유로 비싼게 아닐런지요
존보글
무게부터 다릅니다. 알루랑 카본 차이도 있고, 그뒤로부터는 구동계 브레이크 뭐시기... 105-울테 위로는 가성비가 급격하게 나빠집니다.
삼천리랑 코렉스였나... 이 둘에서 내는 국산 로드브랜드로는 첼로와 엘파마가 있는데 나쁘지 않읍니다. 자전거도 결국은 그놈의 'Gam Sung'의 영역이 없다고는 말씀 못 드리겠군요 ㅋㅋ
2
맥주만땅
그냥 편하게 타시려먄 알루미늄 사셔도 됩니다

자전거는 10kg에서 1kg씩 줄일 때 마다 백만원씩 비용이 증가하는데 특정구간에서는 지수함수로 증가한다고 합니다
1
헌혈빌런
60-100 사이면
충분하실듯 싶습니다

물론 가장 중요한건
자전거스펙보다 신체스펙이 ㅋㅋㅋ
105나 소라급만 되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중요한건 구동계나 카본이 아니고 엔진입니다!

자전거 1키로 줄이느니 몸무게를 1키로 빼세요
햄스터대마왕수정됨
로드자전거는 자전거전용도로에서 타실거면 추천하는데 전국제패라면 하이브리드나 MTB를 타시는게 더 좋을것 같습니다.
로드자전거는 완전한 평지와 좋은 조건에서 빠른건데 실제로는 그런 도로가 드물어요. 또 로드자전거는 위험하기도 하고요. 저 같은 경우는 로드 타다가 약간의 턱을 못 넘어서 2m를 앞으로 날아간 경험을 하고 하이브리드로 갈아탔어요.
구매 관련해서 잘 정리된 링크 하나 남깁니다. ... 더 보기
로드자전거는 자전거전용도로에서 타실거면 추천하는데 전국제패라면 하이브리드나 MTB를 타시는게 더 좋을것 같습니다.
로드자전거는 완전한 평지와 좋은 조건에서 빠른건데 실제로는 그런 도로가 드물어요. 또 로드자전거는 위험하기도 하고요. 저 같은 경우는 로드 타다가 약간의 턱을 못 넘어서 2m를 앞으로 날아간 경험을 하고 하이브리드로 갈아탔어요.
구매 관련해서 잘 정리된 링크 하나 남깁니다. https://namu.wiki/w/%EC%9E%90%EC%A0%84%EA%B1%B0%20%EA%B5%AC%EB%A7%A4%20%EA%B0%80%EC%9D%B4%EB%93%9C
그리고 삼천리 자전거는 자전거 갤러리에서 별명이 황천리입니다. 저는 자이언트사 이스케이프3 사고 2년째 만족하면서 타고 있네요. 보급형 입문 하이브리드 느낌입니다.
2
황천리 웃고갑니다 ㅋㅋㅋㅋㅋ
1
[글쓴이]
아, 제 생각에도 지방에 자전거도로랍시고 선 그어놓은 시멘트길이나 나무판길을 떠올리면 하이브리드로 가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비삼천리(ㅡㅡ;;) 자전거를 구입할 경우 수리정비에 특별히 어려움을 겪는 것은 없을까요?
모모이 하루코
자전거 구동계는 대부분 시마노에서 만든 걸 쓰는데, 국내산 브랜드들도 상위제품들은 다 그걸 갖다 씁니다.
그냥 동네 삼천리/알톤 같은데 가도 잘 고쳐줍니다.
1
햄스터대마왕
하루코님 말처럼 다른 브랜드사 제품이어도 다들 정비 해주는 편입니다. 당사제품의 브랜드라면 더 좋겠지만요. 저 같은경우는 공기 넣을때 눈치보여서 헬멧과 자물쇠를 구매하고 이용했었네요.
자우림
로드 젤 처음타면 내가 알던건 자전거가 아니였구나하고 느끼죠.
어떻게든 영혼을 갈아넣어서라도 입문은 105이상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후회가 젤 적은 입문입니다. 알루 카본은 가격에 맞게 알루가 일반적이고요. 디자인은 어느정도 포기해야합니다. 가격이 압도적으로 뛰기때문이죠ㅠㅡㅠ 그리고 보통 로드입문하면 기타장비로 로드값 최소 절반에서 3/4정도 더 나가게됩니다.
체감 업글순위는 페달, 휠, 프레임을 기억하세요. 돈은 기하학으로 높아지니 그나마 저렴하면서 체감이 젤 쩌는 페달만 업글하는게 입문단계입니다

개인적으론 샾은 로드나 ... 더 보기
로드 젤 처음타면 내가 알던건 자전거가 아니였구나하고 느끼죠.
어떻게든 영혼을 갈아넣어서라도 입문은 105이상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후회가 젤 적은 입문입니다. 알루 카본은 가격에 맞게 알루가 일반적이고요. 디자인은 어느정도 포기해야합니다. 가격이 압도적으로 뛰기때문이죠ㅠㅡㅠ 그리고 보통 로드입문하면 기타장비로 로드값 최소 절반에서 3/4정도 더 나가게됩니다.
체감 업글순위는 페달, 휠, 프레임을 기억하세요. 돈은 기하학으로 높아지니 그나마 저렴하면서 체감이 젤 쩌는 페달만 업글하는게 입문단계입니다

개인적으론 샾은 로드나 엠티비전문인곳을 추천드리고 싶네요(구매나 정비)

사실 정비는 요즘 시대엔 인터넷에 다 나와있긴한데 장비가 비싼경우가 많죠. 하지만 큰 정비말고는 기본 장비(십자렌치)만 있어도 샾가는걸 90퍼센트까지 줄일수있습니다.
자우림
펌프같은건 만원에서 만오천원정도짜리 사서 집에서 넣는게 좋습니다. 로드 타는 이상 펌프는 필수입니다. 공기압 맞춰서 자주 넣어야해서요
tunetherainbow
입문용이면 메리다 스컬트라 100이 예전부터 유명했지요.
자전거사 개미지옥이라 입문 자전거 가격은 전체예산의 절반에서 2/3 정도로 하고 나머지는 용품 예산으로 잡는 게 좋습니다.
1
tunetherainbow
도로 사정이 걱정이라면 요즘 유행인 그레블 로드라는 장르도 있습니다. 원래는 비포장도로도 다닐 수 있게 나오는데 이게 딱 우리나라 자도 상황...
나무위키 보니까 정리 잘 되어 있는 것 같구요
40~60의 입문용 로드를 타셔도 로드의 가치를 충분히 느끼실 수 있습니다. 엔진만 받쳐 준다면야 천만원 짜리 엠티비도 바보로 만들 수 있어요.(반대로 엔진이 안되면 천만원 짜리 로드 타셔도 무용지물...) 로드는 로드. 포장된 도로에서는 최강이에요.
삼천리 가서 사셔도 됩니다...위에 황천리는 너무 웃기지만 입문급도 그게 그거. 그렇지만 제 친구가 그 정도 예산으로 묻는 다면 적당한 중고 매물 찾아 줄 것 같아요. 예산이 150 정도면 중고 카본 프렘에 중고 좀 좋은 휠로 추천할거... 더 보기
나무위키 보니까 정리 잘 되어 있는 것 같구요
40~60의 입문용 로드를 타셔도 로드의 가치를 충분히 느끼실 수 있습니다. 엔진만 받쳐 준다면야 천만원 짜리 엠티비도 바보로 만들 수 있어요.(반대로 엔진이 안되면 천만원 짜리 로드 타셔도 무용지물...) 로드는 로드. 포장된 도로에서는 최강이에요.
삼천리 가서 사셔도 됩니다...위에 황천리는 너무 웃기지만 입문급도 그게 그거. 그렇지만 제 친구가 그 정도 예산으로 묻는 다면 적당한 중고 매물 찾아 줄 것 같아요. 예산이 150 정도면 중고 카본 프렘에 중고 좀 좋은 휠로 추천할거구요
자덕 형님들은 다들 첨엔 입문급으로 시작하는데
경량으로 가볍고 감성 있는 것들은 멋지고 남들과 비교 등등으로 인해 업글업글 하는 고 같구요. 나보다 잘 못타던 엉아가 휠 하나 바꾸고 나와서 나를 버리고 가는 순간 느끼게 됩니다..나도 곧 뭔가를 해줘야겠다고....
객관적인 정보는 위에 댓글에 많으니 다른 관점으로 얘기해볼게요.

1. 로드 구매 후 재미를 붙여서 계속 탄다 -> 뭘 샀든 후회하고 더 비싼 자전거로 기변하게 됨 (또는 하고 싶어짐)
2. 구매 후 흥미가 떨어진다 -> 뭘 샀든 의미가 없어짐

결론 : 입문은 저렴한 걸로, 후에 비싼 걸로 기변 추천

입문급 자전거는 브랜드에 따른 성능차가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쉬운 쪽,
즉 집과 가까운 샵에서 취급하는 브랜드 중에 디자인 맘에 드는 모델로 구입하시고 맘편히 정비 받으면서 타시면 됩니다.
... 더 보기
객관적인 정보는 위에 댓글에 많으니 다른 관점으로 얘기해볼게요.

1. 로드 구매 후 재미를 붙여서 계속 탄다 -> 뭘 샀든 후회하고 더 비싼 자전거로 기변하게 됨 (또는 하고 싶어짐)
2. 구매 후 흥미가 떨어진다 -> 뭘 샀든 의미가 없어짐

결론 : 입문은 저렴한 걸로, 후에 비싼 걸로 기변 추천

입문급 자전거는 브랜드에 따른 성능차가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쉬운 쪽,
즉 집과 가까운 샵에서 취급하는 브랜드 중에 디자인 맘에 드는 모델로 구입하시고 맘편히 정비 받으면서 타시면 됩니다.

나중에 재미가 붙으면 또 다른 세상이 펼쳐지겠지만요.
1
Erzenico
요즘은 로드타던 사람들이 되려 그래블 바이크라는 것에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는데 알아보시면 괜찮지 않을까 합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38 체육/스포츠달리기 대용으로 할 수 있는 실내 운동 14 불타는밀밭 20/06/22 3425 0
9501 체육/스포츠홈트 vs 헬스장 9 [익명] 20/05/29 3486 0
9493 체육/스포츠다이어트 관련 궁금한점 5 윤지호 20/05/27 3477 0
9491 체육/스포츠로드 자전거라는 것이 사고 싶어졌습니다. 17 [익명] 20/05/27 3760 0
9466 체육/스포츠스텝퍼 추천 부탁드립니다. 곰곰이 20/05/22 5098 0
9397 체육/스포츠신발(반스) 바닥관련 질문입니다. 3 꿀래디에이터 20/05/13 3806 0
9154 체육/스포츠 실내 자전거 질문입니다 12 헌혈빌런 20/04/09 4253 1
9135 체육/스포츠뱃살좀 빼고자 합니다. 19 불타는밀밭 20/04/06 4825 1
9029 체육/스포츠어쩌다 생각난 질문인데 8 [익명] 20/03/21 2567 0
9006 체육/스포츠요즈음 자전거를 탈때 마스크는 필수일까요? 7 나루 20/03/18 6091 0
8967 체육/스포츠리버풀 epl 우승 취소?? 5 [익명] 20/03/13 2637 0
8965 체육/스포츠일본은 왜 그리 올림픽에 집착하는걸까요? 6 [익명] 20/03/13 2999 0
8957 체육/스포츠노 젓는 운동기구의 제대로 된 사용법 4 알겠슘돠 20/03/12 4034 0
8860 체육/스포츠운동가도 될까요? 6 [익명] 20/02/26 2889 0
8727 체육/스포츠집에서 맨몸 웨이트트레이닝 가능할까요? 6 [익명] 20/02/03 2695 0
8649 체육/스포츠골프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5 [익명] 20/01/19 3639 0
8546 체육/스포츠동호회는 어디서 가입하는건가요? 4 [익명] 19/12/27 2774 0
8329 체육/스포츠발목 안좋을 때 유산소로 자전거 괜찮을까요? 20 Moleskin 19/11/23 8609 0
8241 체육/스포츠마프대란에 혹해서 넘어간 사람 7 우디르 19/11/11 4799 0
8150 체육/스포츠등산 갈때 옷 뭐입고 가나요? 12 헌혈빌런 19/10/30 4995 0
8146 체육/스포츠허리디스크 환자가 심폐지구력을 기르려면 어떤 운동이 좋을까요 9 욕정의계란말이 19/10/30 3478 0
8010 체육/스포츠헬린이가 보충제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7 무니드 19/10/10 3414 0
7948 체육/스포츠웨이트를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5 천안무쇠다리 19/09/29 3541 0
7936 체육/스포츠 혹시 집에서 아령으로 운동하는 분 있으신지요...? 1 [익명] 19/09/27 2654 0
7908 체육/스포츠상암에 k리그 보러 가보고싶은데요 6 멍청똑똑이 19/09/23 282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