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6/22 04:56:23수정됨
Name   [익명]
Subject   시중은행 안 가고 저축은행 취업하는 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bullfrog
플랜C 정도로 생각하시길... 저축은행이 취업 난이도는 낮아도 진입은 1/2금융권으로 하시는 게 향후 기회가 훨씬 많을 겁니다.
사나남편
1금융권이되면 거기가야죠. 한국은행 담으로 대구은행이라더군요.
1
김삼봉
1금융권 만큼 주는 저축은행은 많지않습니다.
기껏해봐야 sbi 정도가 있겠네요

좀 유명한 저축은행도 연봉은 고만고만합니다. 특히 신입이라면요....

물론 저축은행에서 이직시에 연봉이 오르는건 생각하시는게 맞긴 하지만 일단 초봉이 작기 때문에 1금융권으로 바로 가실 수 있다면 의미가 없을거 같습니다.

다만 돈보단 특정분야의 경험을 노리신다면 공채로 뽑아서 여러부서 돌리는 곳 보단 해당부서 수시모집으로 특정 부서를 뽑는 저축은행이 나을 수도 있겠네요
달콤한망고
아는 분 저축은행 지점장 했다가 저축은행 망했어요. 돈은 그렇게 많이 못벌었대요
나중에 커리어 이직을 생각해야합니다 1-2는 가능하지만 2-1은 쉽지 않죠
그저그런
1tier에서 일하다 특정영역 개발을 위해서 2tier로 이동하면 간지가 납니다. 심지어 이동한 2티어 회사에서도 핵심인재로 바라볼수 있습니다.
2티어 업체에 모든걸 다바쳐 뚝심인재 할거 아니면 가능하면 1티어부터 가야죠.
1
김삼봉님 답변 빼고는 다들 설득력있는 주장이라기보다는 일반적인 이미지에 근거하여 말씀하시네요. 1금융권이라고 2금융권보다 나아서 1금융권으로 분류된게 아닙니다.ㅋㅋㅜ증권 카드 보험 다 2금융권입니다.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을 비교할 땐 시중은행이 전반적으로 괜찮은 직장인 건 맞겠지만.. 시중은행에서는 관련 업무나 경력을 쌓을 수가 없어요.. 직장이 안정적이고 연봉이 더 나은건 맞지만.. 그래도 전반적으로 인식이 어떤지 알 것 같습니다 감사해요.
타는저녁놀
그래도 나름 시간 내어서 댓글 달아주신 분께 설득력 운운 하시려면 업계 커뮤니티에 가시는 편이 나을 것 같습니다. 심지어 타이르는 말투로 마무리라.. 댓글 보면 본인이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이미 답을 알면서 질문하신 것 같은데 테스트하려고 질문하신 건가요?
본문에 증권 카드 보험 얘기는 보이지도 않는데.. 저축은행 적으셨는데.. 카드 보험 회사와 (증권사는 프론트와 백의 차이가 커서 종잡을 수 없어 빼죠)과 저축은행은 인식이나 실제 처우나 간극이 어마어마합니다. 저축은행 망했다..라는 리플 빼면 잘못된 댓글도 없어요. 아 저는 전... 더 보기
그래도 나름 시간 내어서 댓글 달아주신 분께 설득력 운운 하시려면 업계 커뮤니티에 가시는 편이 나을 것 같습니다. 심지어 타이르는 말투로 마무리라.. 댓글 보면 본인이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이미 답을 알면서 질문하신 것 같은데 테스트하려고 질문하신 건가요?
본문에 증권 카드 보험 얘기는 보이지도 않는데.. 저축은행 적으셨는데.. 카드 보험 회사와 (증권사는 프론트와 백의 차이가 커서 종잡을 수 없어 빼죠)과 저축은행은 인식이나 실제 처우나 간극이 어마어마합니다. 저축은행 망했다..라는 리플 빼면 잘못된 댓글도 없어요. 아 저는 전공자입니다.
진지하게 말씀드리면 내가 이 업무를 하고 싶은데 이 업무는 A회사 밖에 없으니 A회사 가야지는 잘못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A회사에 그 업무분야만 다루는 게 아닌 이상이요. 어떤 업무를 어떻게 배치받을지, 원하는대로 배치 받았다고 해도 조직 상황에 따라 바뀌는 일도 많고요. 전문 자격증이 필수고 내가 그 자격증을 가지고 있고, 그 자격증만큼의 어드밴티지를 받고 입사하는 경우 아니라 일반적인 신입채용이라면 더욱 그렇습니다. 그저그런님 말씀대로 처음엔 최대한 큰 곳에서 넓게 일하다가 분야를 좁혀 가는 게 훨씬 현실적일 것 같습니다.
네 조언해주신 마음 다 감사해서 저도 덧글을 쓰면서 무례할 것 같다고 고민을 했어요. 그럼에도 관련 정보를 찾는 답답한 마음에 저렇게 덧글을 달았네요. 설명을 안 적으면 이후 댓글도 같은 얘기만 있을 것 같아서요. 답정너 질문인 부분이 아니라.. 시중은행에선 이직길이 훨씬 좁아요. 그러고 저축은행에서 카드 보험으론 이직을 못하지만 증권으로는 이직을 하는 경우가 있어서 혹시 아시는 분이 계실까 하는 마음에 글을 쓴 것이고요. 본문에 증권,캐피탈 언급했습니다. 카드 보험은 1금융2금융 차이를 1티어2티어로 생각하시는 것 같아서 언급한 ... 더 보기
네 조언해주신 마음 다 감사해서 저도 덧글을 쓰면서 무례할 것 같다고 고민을 했어요. 그럼에도 관련 정보를 찾는 답답한 마음에 저렇게 덧글을 달았네요. 설명을 안 적으면 이후 댓글도 같은 얘기만 있을 것 같아서요. 답정너 질문인 부분이 아니라.. 시중은행에선 이직길이 훨씬 좁아요. 그러고 저축은행에서 카드 보험으론 이직을 못하지만 증권으로는 이직을 하는 경우가 있어서 혹시 아시는 분이 계실까 하는 마음에 글을 쓴 것이고요. 본문에 증권,캐피탈 언급했습니다. 카드 보험은 1금융2금융 차이를 1티어2티어로 생각하시는 것 같아서 언급한 것입니다. 조언 내용 전부 다 일반적인 직장에서 맞는 말입니다. 저도 말씀해주신 부분 고려해서 생각하려고 합니다. 다만 시중은행이 안정 급여 복지 말고는 1금융권이라 이직이 잘되고 경력에 좋고 이런게 거의 없어서 고민에 대해 부연설명을 한 것입니다ㅠ

조언에 답장을 표시하면서 악의 없이 잘못된 얘기를 짚고 넘어가려고 한 것이 건방지게 보였네요ㅠ 지적과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ㅠㅜ
절실한사람너였어
전직자입니다.
되게 당연한 말씀이지만 진짜 좋은데(재무적으로나 연봉 등 근로조건으로나... 88클럽 등) 가세요. 그렇지 않다면 안가는게 낫습니다. 저축은행 이미지 좋아졌다고는 해도 아직 많은 분들의 뇌리에 대부업체 정도의 인식이라 어쩔 수 없습니다.

다만 저축은행 가시면 시중은행 이직은 어렵습니다. 같은 저축은행은 경력을 제대로 쌓았다는 전제로 이직이 괜찮습니다.

아... 잘 아시는 분인가요? 질문 글인데 남기신 댓글 보고 헷갈려서요.
절실한사람너였어수정됨
덧붙여 주제넘은 얘기긴 하지만 이정도 글은 익명이 아니라도 상관없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렇게 크리티컬해보이지 않아서요.

더불어 제가 말씀드린 아주 좋은 저축은행은 한 손 안에 드는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저도 과거에 그런 곳에 있었고요.
[글쓴이]
조언 감사합니다!! Pf쪽에 관심이 있고 경력쌓아서 이후 증권->운용쪽으로 경력을 쌓고 싶은 생각이 있어서 저축은행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시중은행은 신입으로 입사하면 그냥 공기업 들어갔다 생각하고 계속 다녀야겠다고 생각합니다.ㅜ
한 손 안에 든다고 하시면 sbi, ok, 한투, 페퍼, 유진 정도 일까요??
디비,키움 같은 금융 계열사 저축은행보단 동 계열사 캐피탈 취업이 괜찮을까요?
저축은행은 sbi 말고는 급여 처우 정보가 너무 없어서 방향을 정하기가 어렵네요ㅠㅠ
절실한사람너였어
Pf, 증권, 운용 등 관심 있으시면 저축은행은 좋은 선택지가 아닙니다.
저축은행은 대표적인 예대마진으로 운영되는 기관입니다. Pf 같은 상품이 금액적으로는 워낙 크니 지점이나 회사 전체에 일정 비율을 차지할 수 있겠지만 저축은행의 주요 사업은 대부계 쪽에서는 가계대출 및 기업대출입니다. 기본적인 영업을 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굴러보면서 사람 만나고 그러는 게 저축은행 계원의 주요 일상입니다.

말씀하시는 것으로 볼 때 충분히 시중은행 가실 수 있는 자신감과 실력이 있으신 것 같아 처음부터 그쪽으로 가시는 것을 감히 권해봅니... 더 보기
Pf, 증권, 운용 등 관심 있으시면 저축은행은 좋은 선택지가 아닙니다.
저축은행은 대표적인 예대마진으로 운영되는 기관입니다. Pf 같은 상품이 금액적으로는 워낙 크니 지점이나 회사 전체에 일정 비율을 차지할 수 있겠지만 저축은행의 주요 사업은 대부계 쪽에서는 가계대출 및 기업대출입니다. 기본적인 영업을 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굴러보면서 사람 만나고 그러는 게 저축은행 계원의 주요 일상입니다.

말씀하시는 것으로 볼 때 충분히 시중은행 가실 수 있는 자신감과 실력이 있으신 것 같아 처음부터 그쪽으로 가시는 것을 감히 권해봅니다.

마지막으로 저축은행에서 수신 여신을 하실 생각으로 입사하신다고 하면 계열사 저축은행이든 비계열사 그것이든 재무지표 및 건전성 등을 우선 고려하심을 추천합니다.
[글쓴이]
자세한 조언 감사합니다!
시중은행은 본사 가기가 쉽지 않고 일반 행원이 pf 관련 업무를 맡을 기회가 적을 것 같아서 고민이네요ㅠ (보통 경력계약직을 쓰거나 행내에서 학벌, 백 있는 분들이 본사 주요업무를 맡는 것 같더라구요) 증권 운용 쪽은 면접은 가도 최종합격이 어렵다보니 저축은행 경력직 이직을 생각하게 됐습니다..

아래와 같은 경력직 공고를 작년부터 자주 봐왔어서 pf취급을 많이 하는 저축은행이 많을 거라고 생각을 했네요ㅠ

【 채용회사 】 증권사1개사, 캐피탈사1개사

【 포지션 】

(공통사항) 이직후 ... 더 보기
자세한 조언 감사합니다!
시중은행은 본사 가기가 쉽지 않고 일반 행원이 pf 관련 업무를 맡을 기회가 적을 것 같아서 고민이네요ㅠ (보통 경력계약직을 쓰거나 행내에서 학벌, 백 있는 분들이 본사 주요업무를 맡는 것 같더라구요) 증권 운용 쪽은 면접은 가도 최종합격이 어렵다보니 저축은행 경력직 이직을 생각하게 됐습니다..

아래와 같은 경력직 공고를 작년부터 자주 봐왔어서 pf취급을 많이 하는 저축은행이 많을 거라고 생각을 했네요ㅠ

【 채용회사 】 증권사1개사, 캐피탈사1개사

【 포지션 】

(공통사항) 이직후 대리-과장급 각 한분씩

1. 증권사 부동산PF 담당
2. 캐피탈사 IB 담당

【 자격 】

(공통사항) 영업력/친화력등 활동적인 성향이 어느정도 있으신 분
1. 저축은행 PF부서 경력 및 그외 건설사 기타 금융사 경력 함께이셔도 됨
2. 저축은행 IB부서 경력 3년차 이상 가장 요구됨

【 연봉 】 내규(기본급+연성과급) 및 협의 ※최종연봉 기재: 기본연봉+@ 형태로 해주세요
절실한사람너였어수정됨
선생님 엄청난 좁은 문이네요. 저축은행 ib 부서 갔다가 증권캐피탈 동일부서.... 헤드헌터들도 이런 코스로 간 분이 있으니까 서칭하겠지만... 정말 이런 조건에 맞는 분이 있는지 있더라면 이런 분이 이직의향이 있을지도 의문이네요.

확실한건 저축은행의 일반 경로는 아닙니다.
[글쓴이]
그렇군요ㅠㅜ 확인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축은행 ib부서로 입사할 가능성은 꽤 있을 것 같습니다.. 저런 조건에 맞는 분들이 이직의향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하셨는데, 저은 ib계신분들은 이직 안하고 계속 근무할만큼 처우가 괜찮아서 이직을 안 하는 건가요?
절실한사람너였어
거듭 말씀드리지만 저축은행은 ib 부서가 주가 아니거든요. 거기까지는 제가 경험해보지 못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잘은 모르지만 그렇게 소수인데 말씀하신 것을 생각한다면 이직도 하고 커리어를 쌓는게 대단하게 보이는 거죠.
말씀하신대로 정말 그 부서에 들어갈 가능성이 많다고 하시면... 대단하시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정말 능력있다는. 요즘같은 불경기에 말이죠. 저는 당시에 힘들게 들어갔었거든요.
[글쓴이]
아닙니다ㅠㅠ 저도 어디든 들어가야하나 생각중이네요ㅠㅜ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축은행은 잘 모르니 사족이긴 한데요, 말씀해주신 정보대로면 당장 돈을 급하게 벌어야 하는 상황이 아니면 굳이 1금융 은행에 입사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제 생각에 은행이 타사 대비해서 갖는 장점은 (현재까지는) 안정성, 초기 급여, 복지 등 뿐인데 글쓴 분께 크게 메리트가 없어 보이네요. 학벌 포함한 능력이 좀 되시는 분이면 1금융 입사 후 부동산금융부서로 직무포스팅 하는 코스도 있지만, 이것도 못해도 3년은 영업점에서 카드 팔면서 썩어야 하고. 은행 경력이야 이직시 아무 도움도 안 되구요.

대신 요새 아마 신입초봉이 4대은행은 전부 영끌 65백만원 가까이는 될테니 욕심없이 다니기는 나쁘지 않을 것 같아요.
[글쓴이]
경제적으로 자유로운 환경은 아닙니다ㅠㅠ 시중은행이 급여, 복지, 처우면에서 왠만한 직장과 견주었을 때 밀리지 않죠ㅠㅜ
적당한 저축은행은 연봉이 은행의 80%정도인 것 같은데, 이직수요가 있는 증권, 신탁 등 부동산 관련 업종에서 성과급 규모가 큰 것 같아서.. 계속 관심이 갑니다. 다만 이직 수요가 앞으로도 많을지, 이직시 급여테이블, 처우는 어느정도일지 감도 안 오네요ㅠㅜ
시중은행도 전문성만 포기한다면.. 고를 수 있는 직장 중에 좋은 직장이다보니 큰 기회비용으로 다가옵니다ㅠㅜ
나이가 어리시면 시중은행 발 담가보셔도 될 것 같구, 많으시면 한큐에 원하시는 곳으로 가보시는게...ㅎㅎ 저도 26살 되자마자 입사해서 원래 오래 다닐 줄 몰랐는데, 저는 이제 탈출 못할 것 같아요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21 의료/건강이틀에 한번만 잠을 자며 살아도 건강에 무리가 없을까요? 10 스스흐 18/09/10 13191 0
7348 기타쿠우쿠우... 어디 지점이 좋고 어디가 나쁘셨나요? 28 [익명] 19/06/20 13162 0
10417 연애서로 말은 안하지만 유사연애 중인 것 같습니다 21 [익명] 20/11/08 13120 0
246 게임하스스톤 카드 전체 이미지를 볼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9 Toby 15/08/24 13089 0
11203 기타반바지 입을 때 남자 다리털. 25 [익명] 21/03/18 13074 0
4618 기타예전에 급식 없고 야자있던 시절엔 여름엔 도시락 안 상했나요? 38 다람쥐 18/05/12 13064 0
21 기타하스스톤은 현질없이 즐기기 어렵나요? 18 ^^ 15/06/01 13030 1
8510 가정/육아초등학교 배정 바꿀 수 있나요? 13 토비 19/12/19 13007 0
4522 의료/건강Tetraplegia와 Quadriplegia의 차이가 어떤 건가요?? 8 BONG 18/04/25 12985 0
3817 연애(추가)남자친구가 이혼사실을 숨긴 걸 알게되었어요. 조언구합니다. 71 [익명] 17/12/09 12949 0
4818 기타후보자 정보공개자료에서 육군 이병으로 복무 완료가 무슨 뜻일까요? 23 [익명] 18/06/12 12940 0
9871 기타서울 데이유즈 가능한 호텔 4 다람쥐 20/08/02 12935 0
7421 기타전세집 나갈 때 벽지 문제... 11 2019영어책20권봐 19/07/03 12930 0
394 기타오래된 웹하드 사이트 어디 있을까요? 2 Arsene 15/10/30 12925 0
1260 문화/예술일본 만화 그림체들은 왜 똑같은 것들이 많아요? 65 전기공학도 16/07/04 12918 0
8320 IT/컴퓨터KT F/B 로 돈이 출금되었습니다. 1 행복한사람 19/11/21 12900 0
7519 연애아이유가 여자 연예인중에 최상급 외모인가요? 53 [익명] 19/07/23 12899 0
4999 IT/컴퓨터태블릿을 PC 메인 모니터로 활용 가능한가요? 4 메존일각 18/07/08 12895 0
11550 기타독서 스탠드 색온도 주광색 주백색 중에 무엇이 좋을까요 17 다람쥐 21/05/17 12874 0
8730 의료/건강기도로 음식물 등이 넘어가면 어떻게 되나요? 5 보이차 20/02/04 12862 0
10989 연애남사친 많은 썸녀, 어떻게 해야할까요. 25 [익명] 21/02/08 12858 0
5684 의료/건강술자리에서 술 안마실 수 있는 최고의 핑계?? 18 [익명] 18/10/18 12852 0
10548 가정/육아누전차단기 전원이 내려갔는데 안올라가네요 24 토비 20/12/03 12830 0
5341 기타결혼식 예복을 일반 기성복 정장으로 구입해도 상관 없을까요?? 16 [익명] 18/08/29 12804 0
9637 진로시중은행 안 가고 저축은행 취업하는 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21 [익명] 20/06/22 1279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