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7/31 06:33:27수정됨 |
Name | [익명] |
File #1 | 재무상태표_구조.jpg (490.8 KB), Download : 10 |
File #2 | 손익계산서_구조.jpg (458.3 KB), Download : 11 |
Subject | 재무제표 구조를 정리해봤는데 오류 수정을 좀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
일단 조금이나마 공부한게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둘 다 아주 아주 아주 얕은 수준으로만 공부했습니다. 그래서 제 딴에 제가 이해한 내용을 일단 구조적으로 정리해봤는데 혹여나 치명적인 오류나 오개념이 있다면 혹시 잡아주실 수 있는지 부탁드려보고 싶습니다. 0
|
1. 자산을 정의할때 남아있는 자금이라고 보시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자산에는 권리나 기타 미실현된 현금유입 등도 포함되니까..
ex) 저작권 등 무형자산. 미수령된 타사 배당금
2. 총매출액, 매출원가 보통은 Sales, Cost Of Gross sales등 영문 계정명으로 부를겁니다. 크게 상관은 없는데 그래도많이 쓰는게 나을테니..
3. 분기보고서는 보통 3개월미다 나오고 해당 분기 실적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보통 상장사들은 누적치도 같이 있습니다.
4. 영업이익에서 순수익이 되려고 하면 영업외이익을 더하고 영업외비용을 ... 더 보기
ex) 저작권 등 무형자산. 미수령된 타사 배당금
2. 총매출액, 매출원가 보통은 Sales, Cost Of Gross sales등 영문 계정명으로 부를겁니다. 크게 상관은 없는데 그래도많이 쓰는게 나을테니..
3. 분기보고서는 보통 3개월미다 나오고 해당 분기 실적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보통 상장사들은 누적치도 같이 있습니다.
4. 영업이익에서 순수익이 되려고 하면 영업외이익을 더하고 영업외비용을 ... 더 보기
1. 자산을 정의할때 남아있는 자금이라고 보시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자산에는 권리나 기타 미실현된 현금유입 등도 포함되니까..
ex) 저작권 등 무형자산. 미수령된 타사 배당금
2. 총매출액, 매출원가 보통은 Sales, Cost Of Gross sales등 영문 계정명으로 부를겁니다. 크게 상관은 없는데 그래도많이 쓰는게 나을테니..
3. 분기보고서는 보통 3개월미다 나오고 해당 분기 실적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보통 상장사들은 누적치도 같이 있습니다.
4. 영업이익에서 순수익이 되려고 하면 영업외이익을 더하고 영업외비용을 차감한 후. 법인세비용을 차감하면 Net Income입니다.
어차피 주식이나 그런쪽에 관심이 있으셔서 배우시는거 같은데 그러시다면 회계쪽학원들의 회계원리강좌를 들어보시는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어차피 너튜브 무료 강의로도 많이 올라와있을테니까요
ex) 저작권 등 무형자산. 미수령된 타사 배당금
2. 총매출액, 매출원가 보통은 Sales, Cost Of Gross sales등 영문 계정명으로 부를겁니다. 크게 상관은 없는데 그래도많이 쓰는게 나을테니..
3. 분기보고서는 보통 3개월미다 나오고 해당 분기 실적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보통 상장사들은 누적치도 같이 있습니다.
4. 영업이익에서 순수익이 되려고 하면 영업외이익을 더하고 영업외비용을 차감한 후. 법인세비용을 차감하면 Net Income입니다.
어차피 주식이나 그런쪽에 관심이 있으셔서 배우시는거 같은데 그러시다면 회계쪽학원들의 회계원리강좌를 들어보시는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어차피 너튜브 무료 강의로도 많이 올라와있을테니까요
1. 부채도 자산입니다. 그리고, 유형자산은 자금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2. TTM은 현분기보고서 + 전년도 사업보고서 수치 - 전년 동기 분기보고서 하시면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는 저량의 개념이니까 그냥 쓰시면 되고요.
3. 판관비에만 인건비가 들어가는 건 아닙니다. 매출원가에도 인건비가 들어갑니다.
4. R&D를 모두 판관비로 처리하는 건 아닙니다. R&D에서 경제적 효익을 얻을 수 있으면 무형 자산화 시켰다가 상각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5. 자산에서 갚아야할 돈을 뺀다고해서 그것이 반드시 자본이 되는건... 더 보기
2. TTM은 현분기보고서 + 전년도 사업보고서 수치 - 전년 동기 분기보고서 하시면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는 저량의 개념이니까 그냥 쓰시면 되고요.
3. 판관비에만 인건비가 들어가는 건 아닙니다. 매출원가에도 인건비가 들어갑니다.
4. R&D를 모두 판관비로 처리하는 건 아닙니다. R&D에서 경제적 효익을 얻을 수 있으면 무형 자산화 시켰다가 상각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5. 자산에서 갚아야할 돈을 뺀다고해서 그것이 반드시 자본이 되는건... 더 보기
1. 부채도 자산입니다. 그리고, 유형자산은 자금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2. TTM은 현분기보고서 + 전년도 사업보고서 수치 - 전년 동기 분기보고서 하시면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는 저량의 개념이니까 그냥 쓰시면 되고요.
3. 판관비에만 인건비가 들어가는 건 아닙니다. 매출원가에도 인건비가 들어갑니다.
4. R&D를 모두 판관비로 처리하는 건 아닙니다. R&D에서 경제적 효익을 얻을 수 있으면 무형 자산화 시켰다가 상각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5. 자산에서 갚아야할 돈을 뺀다고해서 그것이 반드시 자본이 되는건 아닙니다. 평가손, 상각 이런 것도 감안을 하셔야합니다. (이건 나중에 배우실 거에요.)
5. 제일 중요한건데 수익과 이익의 개념을 혼동해서 쓰시고 계십니다. 수익과 이익의 차이를 검색하시면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으실 겁니다.
2. TTM은 현분기보고서 + 전년도 사업보고서 수치 - 전년 동기 분기보고서 하시면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는 저량의 개념이니까 그냥 쓰시면 되고요.
3. 판관비에만 인건비가 들어가는 건 아닙니다. 매출원가에도 인건비가 들어갑니다.
4. R&D를 모두 판관비로 처리하는 건 아닙니다. R&D에서 경제적 효익을 얻을 수 있으면 무형 자산화 시켰다가 상각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5. 자산에서 갚아야할 돈을 뺀다고해서 그것이 반드시 자본이 되는건 아닙니다. 평가손, 상각 이런 것도 감안을 하셔야합니다. (이건 나중에 배우실 거에요.)
5. 제일 중요한건데 수익과 이익의 개념을 혼동해서 쓰시고 계십니다. 수익과 이익의 차이를 검색하시면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으실 겁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