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8/04 20:54:00
Name   [익명]
Subject   1~2억 화끈하게 쓰기
이전에 이런 질문글을 올렸는데

https://redtea.kr/pb/pb.php?id=qna&no=9699&page=7

그냥 어쩌지도 못하고 어어어 하다가 아직 서울에 있어요..

아무것도 달라진 건 없고..

형님은 어머니 상태가 안 좋으시니 상속 좀 알아 보라고 하셔서 알아봤는데..세상에나...요즘 집값이 너무 올라서 이게 제 수입으로는 감당할 수준이 아니게 되어 버렸어요...

세무사랑 상담 해보니 부동산 하나 처분해서 화끈하게 1.2억 써버리면 세금 1.2억 줄어들어요...

당연히 어머니께서 쓰셔야 하고 저에게도 이익이 되어야 하니 생각하고 았는데

* 집수리 - 화장실하고 부엌 고치고 마루 새로 하면 2~3천
* 신차 구입- 어머니 모시고 병원 가야 하니 좋은 차로 모시고 싶어요. 대신에 이건 재산으로 잡히겠죠
* 도우미- 요즘 강남은 200은 더하죠??
* 티비- 이전에 사신 티비가 싼맛에 사서 화면이 별로라고 불만 많으셔서 하나 바꿔드릴거구요

그 다음엔 뭐가 있을까요??

* 어...옆 동네 자산가 글도 봤는데 자랑?이라고 불편해 하실 수 있을거라 충분히 이해하구요. 한분이라도 불편하시다면 이 글 삭제할게요.

* 아.어머니 재산은 모두 제가 아버지에게 상속 받은 재산을 처분해서 이루신거고 형님 재산의 일부분도 제 지분이 있어요...



0


가전제품이나 가구 새로 바꾸시는 것도 괜찮을거 같네요.

냉장고-김치냉장고-티비-청소기-에어컨-세탁기-건조기-스타일러-식기세척기

침대-쇼파-식탁

이 정도 해서 하이엔드급으로 바꾸면 3-4천이나 좀 넘게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1
[글쓴이]
제가 외국에 살아서 티비 정도만 바꿔드리려구요
나머지는 진짜 낭비..인데 그것도 해야 하나 싶어요
감사합니다
일단 저를 한번 만나주시겠읍니까? 는 드립이고..

음 나중에 쪽지 한번 주십시오
[글쓴이]
네. 감사합니다
구박이
AP ROO 금통이 6천-6천 5백 정도 되는데 시계 좋아하시면 금통 지르고 나머지 돈으로 가전제품 바꾸는걸 추천합니다.
1
[글쓴이]
너무 비싼 명품들은 모두 추적되니 하지 말라더라구요..
감사합니다.

https://file.nts.go.kr/wtsnts_upload/MINF7120080211211607/7820200424173623_2020_%EC%84%B8%EA%B8%88%EC%A0%88%EC%95%BD%EA%B0%80%EC%9D%B4%EB%93%9C_02.pdf

(링크 수정했습니다.)

상속금액이 크면, 전문가 상담을 미리 받아보시는게 좋습니다. (일단 세무사 상담은 받으셨다고 하셨으니)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과 다른 경우가 많아서, 실수(?)해서 세금을 많이 내는 경우를 생각보다 많이 봅니다.

일단 위의 국세청 가이드 상속세 부분은 기본적으로 참고하세요.
[글쓴이]
세무 상담 받아서 기본적으로 안되는 것들은 알고 있어요
제일 섭섭한건 제 명의의 제산과 형님이 생활비며 부채 상환한 것들이 인정 못받는 것들이고, 뭐. 내라면 내야 하는데 그거 안내고 쓰면 어머니한테 파시는 분들은 또 좋은거 아니겠어요...
아..저는 상속 금액이 아주 크다고 생각하는데 세무사 말로는 그리 크다고는 하지 않네요...ㅋㅋㅋㅋ 그 분들은 50억 이상이라는 느낌이었어요...
감사합니다
시그니처 가시죠
[글쓴이]
그럴까 생각 중이에요 ㅋㅋㅋ
감사합니다
Schweigen
어머님께 쓰실만큼 쓰시고도 남으시면 기부도 좋은 선택지가 되실거이요.
2
[글쓴이]
오. 기부 좋네요!!
감사합니다
상속세는 글쓴분인 상속인이 아닌 피상속인이 보유하신 재산 기준으로 부과되며, 보통 상속재산이 10억정도 넘어야 세금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피상속인이 사망하시지 않으면 상속이 아니며 그 전까지는 증여로 증여세 납부와 관련된 사항입니다. 불특정 다수가 보는 인터넷이라 두리뭉실허게 적으신거 같은데 지금 주신 정보로는 딱히 말씀드릴게 없습니다. 다만, 기재해주신 금액대비 더 커지면 몰라도 지금 현재 상황으로 상속세 납부대상은 아니신걸로 보이네요. 그냥 어머님 자산을 어머님 명의로 처분하셔서 형님과 합의하에 치료에 사용하시고 잔여분을 상속 받으시는게 가장 나아 보이네요.
1
[글쓴이]
이전엔 9억 정도여서 제가 감당할 수준이었는데
집값이 올라서 18억이 되어 버렸어요 ...
아파트 오피스텔 하나씩인데 오피스텔 3억 몇천짜리 하나 파나 상속세 3억 내나 그게 그거 같아서요 ㅋㅋㅋ
감사합니다.
돈을 쓰고 없어지지 않고 남는게 좋잖아요.
되파는 게 가능한 것.. 금? 자동차?

그나저나 옆동네 댓글들은 참 별로더라구요.
누가 상속받은 거는 그냥 로또됐다고 생각하면 되지 뭘 그리 물고 뜯는지..
엄밀히 얘기하면 로또라기보단 그 부모가 노력해서 번 돈을 세금내고 물려준다는 건데..
[글쓴이]
2억까지는 어디다 썼는지 그리 안본다는데
2억이 넘으면 금이나 현금 같은게 만약 어디다 썼는지 추정해서 그냥 세를 때려 버리기 때문에 큰 도움은 안된다네요...
그리고 저 같은 경우는 본문에도 적었지만 어쨓든 재 명의의 재산으로 된 것이라 안타까워요 ㅠㅠ
감사합니다.
사십대독신귀족
페이커나 기인이 몇 십억 받는 건 응원하고 더 받길 원하면서, 더 나이많고 오래 활동한 사람들이 집사고 돈 버는 건 부조리의 대상으로 보는 분들이 꽤 되죠.
[글쓴이]
댓글 감사합니다
듣보잡
유산 받는 것만도 배부른 소린데 세금내는 거 가지고 찡찡거리면 욕 먹을 수도 있죠
읽는 분이 글의 요점을 거기에 두었다면 그렇게 반응할 순 있겠네요.
[글쓴이]
댓글 감사합니다
[글쓴이]
댓글 감사합니다
와 막상 생각해보니 떠오르는게 많지 않네요.
프리미엄 회원권 같은거..랑
정중하게 옷 차려입고 언제든지 운전 항시대기할수있는 운전기사를 여생동안 고용해드리는건 어떨까요
아픈분들에게는 거동의 자유가 무척 중요한데 간병인을 포함해서 차남분께서 운전을 하시는 것보다 옆에서 담소를 나누고 손잡고 하시는게 좋을 것 같고, 전문 운전기사를 조금 좋은 페이를 주더라도 남은 시간동안 쓰신다면 여러모로 두 분께 좋은 일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운전도 조심조심 잘 하면서 몸도 챙기고 하실분으로.
[글쓴이]
전혀 생각치 못한 의견 감사합니다
적극 고려해서 실행해 볼게요.
여사님 타시죠!
감사합니다
[글쓴이]
주식이나 코인으로 늘려서 세금을 더내면 그것도 좋겠어요!! ㅋㅋㅋ
감사합니다
헬리제의우울
기부미플리즈
[글쓴이]
그냥 드리고 싶어도 증여세 내야 해요!! ㅋㅋㅋ
합당한 이유만 있다면야...
감사합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일단 저에게 CPU 배송부터 시작해주시면 될것같습니다 어렵지않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91 경제하이브리드카 중고 구매 2 [익명] 20/10/18 3343 0
10267 경제집값이 오르는 이유 12 [익명] 20/10/13 3827 0
10210 경제분양받은 아파트 공동명의 해야 할까요? 12 [익명] 20/10/05 4903 0
10209 경제주식 문의 9 [익명] 20/10/04 3254 0
10204 경제주식할 때 회사 재무지표 2 [익명] 20/10/03 3397 0
10157 경제임대사업자 집주인이 5프로 인상+시세만큼 1억 차용하자고 하는데요... 9 dawn 20/09/22 5807 0
10132 경제신용대출을 받아야 할까요? 3 [익명] 20/09/17 3245 0
10127 경제수협은행 직장인대출은 1금융권인가요? 4 [익명] 20/09/16 3811 0
10121 경제CBDC를 발행하면 마이너스 금리 부과 가능하다는데... 2 [익명] 20/09/15 3201 0
10120 경제똑같은 위치의 집일때 집 종류에 따른 가격 차이 25 헌혈빌런(아서 모건) 20/09/14 5103 0
10117 경제주택담보대출은 일단 나오는 만큼 받는게 나은건가요? 9 오늘 20/09/14 4411 0
10100 경제아마존 직구를 하려 하는데요. 6 [익명] 20/09/11 2918 0
10089 경제노후자금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그리고 어떻게 모아야 할까요? 33 이그나티우스 20/09/09 4517 1
10087 경제차량 경매로 구입해보신 분 계실까요? 1 [익명] 20/09/09 3614 0
10084 경제투과지역 부동산 취득세 및 전세대출관련 질문입니다.. 2 [익명] 20/09/08 3563 0
10083 경제미국 노동절로 인한 예수금 출금가능일자? 2 [익명] 20/09/08 3472 0
10023 경제ISA 관련 질문입니다. 5 [익명] 20/08/29 3028 0
10008 경제무주택자로 갈아타야하나요? 13 [익명] 20/08/26 3654 0
10006 경제지금 대출하는게 맞나요? 7 [익명] 20/08/26 3420 0
9954 경제경제학 서적 추천좀요 6 [익명] 20/08/17 3290 0
9938 경제해외주식 할 때 수수료가 적은 곳은 어디인가요? 11 [익명] 20/08/14 2983 0
9907 경제원룸 건물에서 특정 호수만 매매 가능한가요? 7 [익명] 20/08/08 4354 0
9906 경제전세 또는 주택 구매에 관한 질문 4 [익명] 20/08/08 3254 0
9881 경제1~2억 화끈하게 쓰기 29 [익명] 20/08/04 3572 0
9858 경제재무제표 구조를 정리해봤는데 오류 수정을 좀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3 [익명] 20/07/31 408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