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03/14 23:31:36
Name   Zel
Subject   치킨값에 대한 단상..
엊그제 복면가왕을 보다가 배달의 민족 앱으로 처음 배달을 시켜봤습니다. 항상 앱에서 지역 랭킹보고 인터넷에서 전화번호 보고 주문했는데 (앱에 떼인다길래) 엊그젠 너무 너무 귀찮아서.. BBQ 황금올리브를 시켰습니다. 16000원. 제가 미국에 꼴랑 1년 있다 왔지만.. (뭐 쥐쥬래곤은 안합니다) 음 13불에 닭 한마리, 배달 팁도 안줘도 되고, 마트에선 3-4불의 생닭. ㅇㅋ 납득가는 가격. 이런 결론였고 결과물도 훌륭하고 만족스러웠습니다. 그러고 이 사태를 접하게 되었죠.. 아 천원 올리는거, AI 핑계대는거 등등.

예전에 티타임인가 타임라인인가 제가 한번 올린 적이 있는데. 제가 미국에서 제일 감동 받았던 음식은 스테이크도 아니고, 랍스터도 아니고 충무김밥였습니다. 정식 가게도 아니고 한인마트 코너에서 파는 거였어요. 개당 8불 정도 였어요. (정정합니다. 7불였던 듯) 한국 돈으로 만원 (이것도 세금포함 9천원). 한국서야 비싸죠. 근데 그 동네에선 햄버거 다음으로 제일 싼 음식인데.. 그 퀄러티가 쩔었습니다. 밥은 기름이 자르르 흐르는 자포니카에, 김도 퀄 좋고, 석박지 큼직큼직.. 결정적으로 오징어가 한국에서 먹던 말라 비틀어져서 수분 하나도 없는 다리 한 두개에 맵기만 더럽게 매운게 아니고, 수분을 충분히 함유하고 있는 말랑말랑하고 양념도 맵지 않은... 아 이거구나 싶더라고요. 한국에서 충무김밥 먹으면 어떻습니까? 맨날 밥은 많고 오징어는 적으니 어떻게든 밥이랑 오징어랑 맞춰 먹을려고 별 짓을 다하지 않습니까. 여기선 오징어가 남아요. 혹시 샌프나 베이가시는데 궁금하시면 쪽지주세요. 11시에 마트에 나오는데 1시 전에 다 팔립니다. 한국에서의 이 4-5천원의 가격 캡을 뛰어 넘으니 이 정도가 나오는구나 싶더라고요. 지금도 그 정도 하는 한국가게가 주변에 있다면 기꺼이 만원을 지불할 용의가 있습니다. 제가 좀 벌거든요 ㅋ.

다시 닭값으로 돌아간다면. 우려하시는 분들의 의견도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독과점은 아니지만 시장 선두주자고, 오르면 같이 오를거고, 서민물가에 영향이 오고 기타등등. 가격이 오른다고 퀄이 따라오는것도 아니고 금방 창렬해질꺼고.. 근데 저는 이런 도그마가 좀 싫어요. 쉐프가 만드는 배달통닭도 가능하고, 익스트라버진 올리브유가 아닌 손으로 짠 참기름으로 튀겨도 좋고..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고 거기에 합당한 가격을 받고, 각자 '형편대로' 먹으면 되는데 그게 안되는.

또 이해가는게 물론 있죠. 말로만 그렇게 하고 사기치고,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고.. 거품 붙고. 어쩌고 저쩌고. 여기에 부족한건 사실 '신뢰' 이고 '응징' 인거죠. 좋게 만들었다 라는 신뢰가 없고, 사기 쳤을때 징벌적 배상이나 개인적인 손해배상 청구가 사실상 안되는 시스템에선 사기꾼만 남는 장사인. 이해가 갑니다. 이런 전제가 없는 상태에서는 모두가 하향평준화로 갈 수 밖에 없겠죠.

5공떄였나 노태우때였나.. 라면 양사가 고급라면을 준비했었습니다. 개당 500원/ 천원. 신라면이 200원, 안성탕면이 120원 하던 시절입니다. 라면 회사들은 그런 주장을 폈어요. '더이상 라면은 한끼를 때우는 불량 식품이 아니다. 충분한 요리가 될 수 있다.' 물론 회사들이야 명분이 그렇고 주 목적은 이윤창출이겠지만 이거야 말로 자본주의에서 익스큐스 되는거 아닙니까? 군사정권과 그 앞잡이였던 언론들이 개패듯이 팼어요. '아니 서민의 먹거리인 라면이 천원이 왠말이냐?' 그 당시 짜장면이 천원였을꺼에요. 그래서 라면 양사가 출시를 다 포기해서 저희는 신라면 안성탕면 삼양라면만 줄기차게 먹었죠. 30년이 지나도 똑같은게 답답함을 느낍니다. 아 진짜 촌스러워요. 군사정권의 마지막 끝장을 찍은 이 시점에서 웬 데자뷰입니까? 라면은 독과점이기나 하지.. 그러고 세무조사할려는게 잘했다는 평가를 들으면 진짜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한국에서 외식문화에서 이를 탈피한건 스시가 유일해 보입니다. 1인당 몇천원 부터 코지마 같은 30여만원을 넘어서는. 이게 서민음식도 아니고, 일본음식이다 보니 가능한 면도 있겠지만 이런 다양한 스펙트럼을.. 한식에서도, 치킨에서도 보고 싶습니다. 그러고 각자가 생각하는 합리적 가격에 지출하는거. 망상일까나요.

세줄요약.

1. 비싸니깐 맛있더라.
2. 맛있는거 먹고싶다.
3. 애취급 하지마라.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03-27 07:59)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0
  • 제가 좀 벌거든요 ㅋ 라는 패기넘치는 문장을 보고 어떻게 추천을 아니 누를 수 있단 말입니까?
  • 닭은 음메음메하고 울지요.
  • 시스템이 후졌어요..ㅠㅠ
  • 본문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77 철학/종교사는 게 x같을 때 떠올려보면 좋은 말들 34 기아트윈스 21/04/02 7209 31
242 기타홍차넷 자게 메타분석 45 기아트윈스 16/08/01 7199 16
656 꿀팁/강좌고부갈등을 해결해보자 - 희망편 40 기아트윈스 18/07/02 7191 56
726 꿀팁/강좌홍차넷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22 Cascade 18/11/04 7190 27
688 문학책 읽기의 장점 2 化神 18/08/27 7183 13
586 일상/생각조카들과 어느 삼촌 이야기. 9 tannenbaum 18/02/02 7178 33
354 기타우리 아들의 신박한 표현들 29 Toby 17/01/25 7168 11
478 일상/생각... 37 켈로그김 17/07/21 7165 21
830 정치/사회사회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비용을 찾아서 41 Fate 19/07/10 7160 38
1129 기타남자 곰타입의 옷배색에 관한 연구 43 흑마법사 21/09/15 7156 10
209 일상/생각어느 시골 병원 이야기 35 Beer Inside 16/05/28 7154 12
717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5 메아리 18/10/16 7151 24
404 의료/건강성중독에 관하여 몇마디 하고 싶어 적습니다. 12 민지 17/04/04 7150 19
48 요리/음식콩국수, 서민음식과 양반음식의 하이브리드 33 마르코폴로 15/07/21 7144 0
162 철학/종교매너의 진화 11 눈부심 16/02/28 7139 7
1010 경제주식투자, 튜토리얼부터 레이드까지 37 기아트윈스 20/09/23 7137 28
386 일상/생각치킨값에 대한 단상.. 76 Zel 17/03/14 7133 10
667 여행서울 호우캉스 호텔 결정 로직 43 졸려졸려 18/07/25 7126 15
66 체육/스포츠[스탯] 세이브 조작단을 검거해보자 - WPA 8 kpark 15/08/31 7124 3
516 일상/생각애 키우다 운 썰 풉니다.txt 21 Homo_Skeptic 17/09/23 7121 20
1136 꿀팁/강좌여자 생활한복 경험담+코디팁+쇼핑추천(부제:남편이여 선물하라) 38 흑마법사 21/10/12 7114 27
393 문학채식주의자 - 90년대 이후 국내 여성 문학 속 일련의 작품군에 대한 단상 48 팟저 17/03/21 7110 14
1120 기타남자양말 신는방법(?) 47 흑마법사 21/08/24 7104 9
722 여행이름부터가 북쪽의 땅 - 노르웨이 16 호타루 18/10/28 7103 18
1005 일상/생각어른들 말씀 잘 듣고 공부 열심히 하는 착한 사람 되지 마세요. 27 Schweigen 20/09/07 7099 7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