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2/28 19:41:14
Name   새벽3시
Subject   #metoo 2017년 11월 30일의 일기
*
오늘, 어떤 남자가 나에게 관심을 표했다. 아니, 정확하지 않다. 관심 일수도 있고, 주정이었을 수도 있고, 그냥 불쾌한 행동이었을 수도 있다. 어쨌든 그랬다. 전화번호를 묻기에 거절했더니 계속 이유를 묻기에 나는 낯선 사람의 전화는 받지 않는다, 고 말했지만 계속해서 전화번호를 물었고, 어느 순간 말을 놓더니(오늘 처음 만난 데다가 몇 마디의 대화로 내가 나이가 그쪽 보다 많다는 것을 들었음에도 - 나이는 둘째 치더라도 어쨌든 그와 나는 모르는 사이였다.) 옆에 앉아 자꾸만 야 너는 어쩌고 하며 바짝 붙어앉았다. 주정이겠거니 하며 어쨌든 불쾌하여 일어설 때 즈음에는 챙겨준답시고(이것도 의도를 모르니 정확지 않다.) 갑자기 뒤에서 내 옷의 모자를 당겨 씌우고 (아마도) 데려다주려고 했다.

내 어깨를 감싸 안아 꼼짝할 수 없게 붙들고 일행과 반대쪽으로 걸었다. 됐다고 말했지만 야 너 지금 아니면 붙들려서 못 가, 내가 알아서 할게, 따라와, 등의 말을 하면서. 내 동의는 당연히 안중에도 없고 그의 완력에 완전히 움직일 수 없음을 깨닫고서야 어떻게든 웃으며 마무리하고 싶었던 나의 인내심이 바닥이 났다.

결국 야 너 꺼져 몇 살이야 필요 없어 하며 소리를 쳤다. 사실 말 자체는 내가 더 험하게 했을지도. 그러나 그 험한 말과 별개로 내 완력이 대단해봐야 얼마나 대단했겠는가 - 별로 도움은 되지 않았고 큰소리가 나자 알아채고 다가온 다른 사람에 의해서야 겨우 자리는 무마가 되었다. 그 일이 있고 집으로 돌아오는데 여러 가지 기분이 들더라.

첫 번째로는 불안과 불쾌가 섞인 두려움.
결국 내 힘으로는 해결되지 않을 일이었다,는 분명한 느낌을 받았다. 사람이 있는 길이었고 (심지어 가까이에 같이 모임을 한 사람들이 있었음에도) 남들이 언뜻 보기엔 그저 툭탁대는 남녀 정도로 보일 수 있었을 거다. 내가 소리쳐 도움을 구하지 않는 한 나의 완력이나 의지로 그 손을 뿌리치는 건 불가능했다. 실제로 화를 내면서 어깨를 잡은 손에서 벗어나려고 했지만 꿈쩍도 하지 않았으니까. 거기서 오는 무력함과 당혹감.

두 번째는 슬펐다. 예전의 나였다면 이런 행동조차 받아들였을 테니까. 자존감이라곤 없이 이런 말과 행동조차 관심인 줄로만 알고 어디든 따라갔을 테지. 그랬을 거라는 생각에 슬퍼졌다. 스스로의 장애와 열등감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성장해서 꽤 오랫동안 그 그늘 아래 있었던 나. 괴물은 아무도 사랑해주지 않아,라는 말에 갇혀 살았다.

—————

일기는 여기에서 끝이 났다. 더 적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다음 날 기어코 내 번호를 알아갔던 그 남자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카톡을 보내왔다.

“잘 들어갔어요?”

나는 그를 차단했고 더 이상 생각하고 싶지 않았다.

다시 읽었을 때 이 글은 남자보다는 나의 탓을 하고 있는 스스로가 더 강하게 드러나있었다. 정확하게 말하지 못하고 좀 더 강하게 거절하지 못한 것에 대한 죄책감. 장애인으로 살아와 남들의 미의식에 미치지 못하는 외모를 가진 스스로에 대한 연민의 범벅이기도 했다. 그래서 잊은 척하고 있었다.

그런데 오늘 이 얘기를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리되지 않았어도 준비되지 않았어도 말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 날의 경험을 주변에 이야기했을 때 반응은 대충 3가지 정도였다.

[오-연하가 번호 따갈 정도야? 3시 안 죽었네? 인기 있네.]

[뭐야, 정말 미친놈 아니야? 괜찮아? 무서웠겠다.]

그리고 이후의 공통 반응은

[그렇게 기분이 나빴으면 말을 하지 그랬어.]

나는 그렇게 말했다. 즐거운 자리였고 소란을 피우고 싶지 않았다고. 그 남자가 권력자도 아니고 내 인생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강자도 아닌데 왜 말을 못했느냐고 하면 그랬다. 나는 소란을 피우고 싶지 않았고 이런 일로 주목받고 싶지 않았다. 나보다 어린 남자,에게 뭔가 착취당하거나 무시당했다는 기분을 느끼고 싶지 않았다. 나는 성인 여성이고 나의 삶을 책임질 수 있으며 내 선택은 존중받아야 하는 거니까. 내가 강자이기를 바랐다. 약자라는 걸 인정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웃어넘길 수 있는 척했고 그것에 실패하고서야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청했고 겨우 빠져나올 수 있었다.

그리고 정확히 말하면 난 거절 의사를 거듭해서 밝혔다. 싫다고. 원하지 않는다고. 하고 싶지 않다고. 그러나 상대가 마치 여자들이 으레 이렇게 튕긴다는 듯 받아들이지 않았을 뿐이다.

그래, 내가 좀 더 강하게 말했어야 했는지도 모른다. 이 일을 지나 보내지 말고 적극적으로 알리고 화를 내고 소리를 내서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했어야 했는지도. 그러나 나는 잘못이 없다. 순결한 피해자는 절대로 못되겠지만 그렇지만 적어도 저 날 저 순간 나의 잘못은 없다.

부끄러워해야 할 사람은 내가 아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3-12 08:13)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54
  • 힘의 차이를 느끼는 순간 절망하게 되는 것 같아요. 피해자는 스스로의 피해를 입증하기 위해 수십 가지 이유가 필요한데, 가해자는 가만히 있어도 수십 가지 사유를 만들어주죠. 힘내세요.
  • 싫다면 싫은줄 알아라.. 좀.. 제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9 일상/생각나의 사춘기에게 6 새벽유성 18/05/30 6239 25
599 일상/생각#metoo 2017년 11월 30일의 일기 41 새벽3시 18/02/28 6652 54
389 창작홍차의 연인 (5) - 완결 29 새벽3시 17/03/16 6505 11
366 기타홍차상자 이야기 :) 54 새벽3시 17/02/15 7296 38
1396 기타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2) 18 삼유인생 24/05/29 2017 28
1395 기타한국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1) 8 삼유인생 24/05/20 1756 29
463 일상/생각'인생을 게임하듯이 사는 법' 그리고 어른 6 삼성갤육 17/07/02 5638 11
68 정치/사회‘메르스갤’로 대표되는 인터넷 여성주의에 대한 몇 가지 고찰 134 삼공파일 15/09/07 8022 7
51 일상/생각생명의 서(書) - 병원 임상 실습을 돌면서 느낀 점 31 삼공파일 15/07/24 8272 0
21 정치/사회전염병을 앞에 두고 “나는 누구의 편인가”를 논하는 한국 사회 26 삼공파일 15/06/11 7870 0
1318 체육/스포츠대모산 간단 가이드(수서역~청솔마을 코스) 20 산타는옴닉 23/08/03 2014 19
773 문화/예술우리가 머물다 온 곳 9 사탕무밭 19/02/27 5541 13
1167 일상/생각내 고향 서울엔 11 사이시옷 22/02/14 3562 22
1053 일상/생각34살, 그 하루를 기억하며 8 사이시옷 21/01/21 4618 30
1013 일상/생각나는 순혈 오리지날 코리안인가? 50 사이시옷 20/10/05 5869 24
958 일상/생각제주도에서의 삶 16 사이시옷 20/05/13 5247 26
1211 문학달의 뒷편으로 간 사람 [마이클 콜린스] 12 사이공 독거 노총각 22/06/08 3172 16
1213 일상/생각적당량의 술과 음악이 있음으로 인해 인생은 유쾌한 관심거리다. 알버트킹 50 사이공 독거 노총각 22/06/12 4298 43
1215 여행[베트남 붕따우 여행] 중장년 분들에게 추천하는 여행지. 긴글주의 18 사이공 독거 노총각 22/06/19 3644 15
1036 정치/사회판결을 다루는 언론비판 ㅡ 이게 같은 사건인가? 4 사악군 20/12/06 3992 16
446 일상/생각어떤 변호사의 이혼소송에 관한 글을 보고. 11 사악군 17/06/05 7617 26
1019 꿀팁/강좌[사진]노출차이가 큰 풍경사진 찍기 - GND필터 사용하기 9 사슴도치 20/10/18 4029 5
976 꿀팁/강좌최신 이슈 ☆무료☆로 받아 보세요! 18 사슴도치 20/07/01 5252 15
886 꿀팁/강좌이론과 실제 : 귀납적 구치소법학의 위험성 4 사슴도치 19/11/10 4908 17
885 일상/생각사진에 대한 매우 사적이고 개인적인 이야기 : 무엇을 어떻게 찍을 것인가 16 사슴도치 19/11/08 5312 1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