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5/30 01:08:59
Name   새벽유성
Subject   나의 사춘기에게
https://youtu.be/RaMAoj1UfyE

-

나는 내면의 사춘기를 심하게 겪어왔다.

겉으로 드러내고 싶지 않아 안으로 밀어넣은 질풍노도 시기의 불안함과 사나움이 나를 병들게 했다. 그 시절의 나는 언제나 일기장의 날씨칸에 흐림으로만 썼다. 맑음이나 비옴 이런 단어들 따위는 존재하지 않았다.

열넷. 그 시절의 나는 언제나 죽고 싶다는 생각만 가득했다. 매일매일이 우울한 날들이었다. 이유는 다양하지만 뭐라 콕 집어 내기 애매한 정도. 복잡한 여러가지 것들이 섞였다. 어른이 되는게, 내일이 오는게 무서워졌다. 그저 죽고 싶었고 무기력했다. 살아가는 의미도 몰랐다. 금방이라도 숨 막혀 죽어버릴 것 같았다.

진공 속의 상자에서 몇 백년이고 몇 천년이고 갇혀 움직이지도 못하는 기분이었다. 죽지도 못하고 질식해 가는 삶 같았다. 물 밖 세상을 만난 물고기가 살고 싶어 제 몸의 생명을 깎아가며 펄떡이다 죽듯이 나는 그렇게 서서히 말라갔다. 벚꽃이 진 늦은 봄, 여름, 초가을을 그런 기분으로 살아왔다. 차라리 교복 넥타이로 목 매달고 정말로 질식해 죽고 싶을 정도로. 우울증은 나를 무겁게 눌렀다. 그럼에도 나는 꾸역꾸역 살아갔다.

뒷날 그 시절 사춘기를 어떤 방식으로든 밖으로 토해냈으면 조금이나마 나았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해본다. 그러나 그 시절의 나는 스트레스를 받아도 풀어낼 줄 모르고 쌓아놓기만 하는 미련한 사람이었다. 거기다 주변에 좋은 사람들이 많이 있었는데도 누구도 믿지 못했다. 말을 했다면 조금 달라졌을까.

나는 내가 싫었다. 미웠다. 뭐 하나 제대로 잘하는 거 없고 완벽하지도 않았다. 나 자신이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걸, 그리고 완벽하지 않은 나를 사랑해주는 사람들이 많았다는걸 깨닫는데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여름이 막 지나간 계절에 나는 중학교 5층의 어느 교실 창문 앞까지 갔었다. 처음으로 방과후 수업을 째고 3학년 10반 학생이라고 거짓말 쳐서 열쇠 받아가 문을 따는 탈선을 하면서도. 그러나 나는 용기가 너무나 부족한 겁쟁이라서 결국 창문을 넘어가지 못하고 돌아왔다. 눈 딱 감으면 되는거라고 끊임없이 세뇌했음에도 결국 무너졌다. 창문 넘어가면 되는데도 그러지 못했다.

이유는 모른다. 그저 죽을 것만 같았던 기분 속에서 살고 싶다는 희미한 의지가 남아있었던 것 같았다. 마치 온갖 불행이 가득한 판도라의 항아리에 숨어있던 ‘희망’처럼. 결국 다시 돌아온 그 때 바라본 복도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했다.

방과후 종이 길게 울리던 순간. 청소가 끝난 흔적 위로 오렌지색 노을이 내려앉은 복도. 멀리서 희미하게 들려오는 운동장을 누비는 소년들의 변성기 온 목소리를. 내가 사랑한 고요함이 가득찼던 그 어느 저녁에 가까운 오후의 복도 풍경이. 똑딱똑딱 시간이 흐르는 시계 바늘 소리마저 들리지 않았다.

복도 창문 너머로 나를 내리쬐던 초가을의 햇살이 너무나 예뻤던 걸로 기억한다. 삶과 죽음 사이를 맴돌다가 결국 삶을 선택하고 돌아온 용기도 없는 겁쟁이인 나를 위로하는 것 같았다.

그대로 죽어버렸으면 눈에 담지 못했을 따뜻한 풍경이었다. 살아서 제대로 바라본 첫 풍경이었다.

나는 그 때 가슴 속에서 무언가가 터진 기분이 들었다. 펑. 펑펑. 퍼퍼펑. 빅뱅이 일어난 느낌이라면 이런 느낌일까. 그 자리에 주저 앉아 엉엉 울었다. 원 없이 울었다. 더 이상 괴롭게 지내고 싶지 않아서. 되는게 없어서. 더 살고 싶어서.

지나가는 사람 한 명도 없는 고요한 5층 복도에서 그렇게 울었다. 이 년뒤의 내가 밟게 될 복도에는 내 눈물로 젖어갔다.

나를 숨막히게 하던 답답한 무언가가 사라졌다. 가위에 눌린 듯한 몸이 가벼워졌다.

내 열네 살은 분명 아름다운 시절이었다. 모두가 인정하며 고개 끄덕였다. 그럼에도 나는 언제나 아무도 모르는 그림자 속에서 아파했다. 이유도 모르고 덮쳐온 불치병처럼, 열네 살의 나는 사춘기의 열병을 심하게 앓았다. 독감을 심하게 앓고난 후 다시 몸이 개운해지듯이 사춘기의 열병이 지나간 자리에는 삶의 의지만이 남아있었다.

그렇게 계절이 돌아 열네살에서 열다섯으로 넘어가는 그 해 겨울에 나는 비로소 울고 웃을 수 있었다.

*
사는게 너무 좋아.

어제보다 오늘이 더 좋아.
내일은 오늘보다 더 사랑하게 될거야.

분명.

-
탐라에 모 님 글 보고 생각이 나서 써봐요.
아직 20년밖에 안된, 그리 길지 않는 삶이지만 그래도 제일 힘들었던 순간을 기록해보고 싶었어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6-11 07:4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5
  • 새벽을 위하여 :)
이 게시판에 등록된 새벽유성님의 최근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9 일상/생각나의 사춘기에게 6 새벽유성 18/05/30 6239 25
599 일상/생각#metoo 2017년 11월 30일의 일기 41 새벽3시 18/02/28 6653 54
389 창작홍차의 연인 (5) - 완결 29 새벽3시 17/03/16 6505 11
366 기타홍차상자 이야기 :) 54 새벽3시 17/02/15 7296 38
1396 기타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2) 18 삼유인생 24/05/29 2017 28
1395 기타한국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1) 8 삼유인생 24/05/20 1756 29
463 일상/생각'인생을 게임하듯이 사는 법' 그리고 어른 6 삼성갤육 17/07/02 5638 11
68 정치/사회‘메르스갤’로 대표되는 인터넷 여성주의에 대한 몇 가지 고찰 134 삼공파일 15/09/07 8022 7
51 일상/생각생명의 서(書) - 병원 임상 실습을 돌면서 느낀 점 31 삼공파일 15/07/24 8272 0
21 정치/사회전염병을 앞에 두고 “나는 누구의 편인가”를 논하는 한국 사회 26 삼공파일 15/06/11 7870 0
1318 체육/스포츠대모산 간단 가이드(수서역~청솔마을 코스) 20 산타는옴닉 23/08/03 2014 19
773 문화/예술우리가 머물다 온 곳 9 사탕무밭 19/02/27 5541 13
1167 일상/생각내 고향 서울엔 11 사이시옷 22/02/14 3562 22
1053 일상/생각34살, 그 하루를 기억하며 8 사이시옷 21/01/21 4618 30
1013 일상/생각나는 순혈 오리지날 코리안인가? 50 사이시옷 20/10/05 5869 24
958 일상/생각제주도에서의 삶 16 사이시옷 20/05/13 5247 26
1211 문학달의 뒷편으로 간 사람 [마이클 콜린스] 12 사이공 독거 노총각 22/06/08 3172 16
1213 일상/생각적당량의 술과 음악이 있음으로 인해 인생은 유쾌한 관심거리다. 알버트킹 50 사이공 독거 노총각 22/06/12 4298 43
1215 여행[베트남 붕따우 여행] 중장년 분들에게 추천하는 여행지. 긴글주의 18 사이공 독거 노총각 22/06/19 3644 15
1036 정치/사회판결을 다루는 언론비판 ㅡ 이게 같은 사건인가? 4 사악군 20/12/06 3992 16
446 일상/생각어떤 변호사의 이혼소송에 관한 글을 보고. 11 사악군 17/06/05 7617 26
1019 꿀팁/강좌[사진]노출차이가 큰 풍경사진 찍기 - GND필터 사용하기 9 사슴도치 20/10/18 4029 5
976 꿀팁/강좌최신 이슈 ☆무료☆로 받아 보세요! 18 사슴도치 20/07/01 5252 15
886 꿀팁/강좌이론과 실제 : 귀납적 구치소법학의 위험성 4 사슴도치 19/11/10 4908 17
885 일상/생각사진에 대한 매우 사적이고 개인적인 이야기 : 무엇을 어떻게 찍을 것인가 16 사슴도치 19/11/08 5312 1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