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7/10 09:05:21
Name   Zel
Subject   고혈압약의 사태 추이와 성분명 처방의 미래
결국 발사르탄 판매 금지약품은 다음의 115개 약에 대해서만 최종 결정이 되었습니다. (표가 좀 헷갈리는데 앞의 노란색이 판매금지가 풀린 약입니다)

http://www.medigatenews.com/news/1535515844

즉 식약처는 초기에 219개 약을 금지했다가, 다음날 104개를 풀어주고 115개만 최종으로 남긴 거지요. 이번에 문제가 된 NDMA라는 불순물은 중국의 한 제조공장에서 만든거고, 이거 자체는 2A 발암물질이여서 인체에서 직접적으로 발암이 확인이 되진 않는 그런 물질이라고 합니다. 여러가지 견해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니 이틀이면 최종 리스트 나올것을 그걸 안참고 미리 이야기해서 무고한 회사들에게 피해를 줬다는 평도 있고, 국민 건강을 위해서라면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장복하는 고혈압약의 특징 상 이틀 정도 더 먹고 덜 먹고가 무슨 차이가 있을까 싶긴 합니다만 양쪽 견해가 다 일리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사태에 대해서 각 병원들은 다음과 같은 포지션을 취하고 있습니다.

http://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560

'우리병원에선 이 약을 처방하고 있지 않으니 안심하고 드시기 바랍니다.' ㅎㅎ 네 어디서 많이 보던 문구죠. 계란 사태때와 똑같습니다. 이렇게 움직이는 민간병원을 탓할 수는 없지만 이렇게 움직여도 되나는 다시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환자를 안심시키는게 첫번째 이유겠지만, 자병원에 대한 신뢰-혹은 비교우위에 대한 광고의 의도가 없는 지 생각해보지 않을 수가 없네요. 반대로 이 약을 그동안 식약처의 허가만 믿고 처방해온 다른 병원들이 부도덕한건 전혀 아닌거지요.

또 다른 한편에선 이렇게 깝니다.

http://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573

"발암물질 논란 고혈압약, 주로 중소제약사 제품..."저렴한 중국산 원료 사용"

제목만 봐도 대략 기사의 분위기가 느껴지지요. 마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라는 뉘앙스입니다.

자 처음으로 돌아가보자면, 이 건은 식약처의 승인의 책임이 가장 큽니다만, 식약처도 이 원재료에 발암물질이 들어 있다는 걸 알 길은 없었을겁니다. 이 건은 FDA도 모르고 유럽에서 먼저 리포트를 한 거니깐요. 몰랐다고 해서 책임이 없는 건 아니겠습니다만.

건보재정을 위해서던, 아니면 조제권 이나 리베이트 등과 관련이 있어서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여튼 성분명 처방에 대한 강한 움직임이 그 동안 식약처와 복지부에 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일반명 처방이란, 약품의 구체적인 상표명이 아니라 전체적인 약에 들어가는 화학물질이 같으면 그 약에 대해선 서로 교차처방할 수 있는 그런 처방입니다. 이는 보다 싼 카피약을 처방할 수 있어서 건보재정을 아낄 수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고, 다국적 기업이 아닌 국내 기업에게 유리할 수 있어서 추진하고 싶어합니다. 심지어 어떤 지자체에선 지자체 레벨에서 까지도 그런 성분명 처방을 장려하기도 하고, 그 약가 차액만큼 공식적으로 의료기관에 돌려주는 정책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일반명 처방의 가장 근본적인 전제라는건 같은 성분명의 A약과 B약이 의학적으로 동일한 효능이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하지만 그럴까요?
많은 의사들에게 물어보면 결코 동의하지 않습니다. 저부터도 가급적이면 오리지널을 먹지 카피약은 불가피하거나 아주 오랫동안 사용된 약만 선호합니다.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이란게 있긴 하지만, 그걸 통과하는 곳도 적고, 통과해도 정말 동등한지, 동등하다고 해서 부작용빈도 까지 동등한지, 장기적 문제는 없는 지 등에 대한 의문을 항상 가지고들 있었고, 그 우려가 바로 이 발사르탄 사태에서 터져나온 것 같습니다.

결국 신뢰의 문제입니다. 신뢰가 낮은 사회는 비용이 증가한다는 누구의 말처럼... 각자도생이 체화되어 있는 우리사회에서 성분명 처방은 갈 길이 먼 것 같습니다.

* 수박이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7-23 07:5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1
  • 이런 진실이 있었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63 일상/생각30평대 아파트 셀프 인테리어 후기 28 녹차김밥 21/02/22 6363 31
1016 창작사귀지도 않고 헤어진 제 친구의 연애 아닌 연애 이야기 33 아침커피 20/10/12 6363 17
811 일상/생각생각을 명징하게 직조하기 10 기아트윈스 19/06/01 6352 42
879 기타영국 교육 이야기 16 기아트윈스 19/10/23 6350 34
379 문화/예술대영박물관 습격기 33 기아트윈스 17/03/04 6346 11
590 일상/생각자아비판 - 커뮤니티의 유혹 7 epic 18/02/09 6345 18
411 정치/사회쓰리네요 18 tannenbaum 17/04/14 6345 16
434 일상/생각가난한 연애 11 tannenbaum 17/05/15 6342 18
630 문화/예술때늦은 <라이프 오브 파이> 리뷰 14 자일리톨 18/05/10 6340 18
661 의료/건강고혈압약의 사태 추이와 성분명 처방의 미래 28 Zel 18/07/10 6339 21
843 창작6개월 정도 유튜브 영상을 만들고 느낀 점들 15 droysen 19/08/10 6332 20
1007 일상/생각가난해야만하는 사람들 53 rustysaber 20/09/20 6331 25
698 꿀팁/강좌알쓸재수: 자연수는 무한할까? 27 기쁨평안 18/09/10 6323 16
245 일상/생각아재의 대학생 시절 추억담들. 27 세인트 16/08/03 6318 5
705 기타퇴근하기전에 쓰는 나의 창업 실패기 7 HKboY 18/09/28 6312 16
323 기타딸바보와 바보딸 28 민달팽이 16/12/16 6310 26
152 의료/건강산후우울증에 대한 소고 21 Obsobs 16/02/12 6309 7
455 일상/생각여사님을 소개합니다 (스압, 일기장류 징징글. 영양가X 뒤로가기 추천) 31 알료사 17/06/19 6304 20
280 일상/생각전직 호주 총리 만난 썰 40 기아트윈스 16/10/12 6303 8
882 의료/건강마음의 병에도 골든 타임이 있습니다. 12 김독자 19/10/31 6300 47
385 기타막말 변론의 이유 32 烏鳳 17/03/11 6299 19
266 기타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더 퍼스트 어벤져 37 Event Horizon 16/09/16 6290 13
881 기타낭만적 사랑을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을까? 24 호라타래 19/10/29 6286 20
965 일상/생각흑인들이 죽을 수밖에 없는 국가 미국 21 가람 20/06/05 6285 68
287 기타당연한 육아는 없답니다 16 밀크티티 16/10/20 6285 22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