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8/01 03:00:35수정됨
Name   키시야스
Subject   지구 온난화와 원전.
으어 글이 쓰다 지워졌네요. ㅜㅜ 에디터로 전환하려 하니 글이 지워지다니.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이산화탄소임은 명확합니다. 하지만 원전이 지구 온난화의 유일한 해법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왜 탈핵이 친환경적이지 않고 오히려 반 환경적이며 인류에 적이 되는지 설명하고자 합니다.

우선 인류가 지금까지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80%는 발전을 위한 에너지 소비로 인한 배출입니다. 현재 배출 비율은 좀 줄어들어서 25%는 교통, 25% 정도는 발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입니다 (미국기준). 이렇듯 발전 단계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매우 높습니다. 그런데 원전은 화석연료 - 석유를 기준으로 했을때 약 2% 정도의 이산화탄소 배출만을 하게 됩니다. 물론 태양광도 약 5~10% 수준 풍력도 1% 수준이긴 합니다. 하지만 여기에 항상 이야기 되는 맹점이 있습니다. 태양광과 풍력은 발전량을 조절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사실 원전을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신재생에너지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가장 좋은 비교는 프랑스와 독일의 비교입니다. 산업구조가 비슷하고, 지열발전, 수력발전등을 위한 지정학적 요인이 별로 좋지 못하며, 한쪽은 극단적인 원전 중심 그리고 다른 한쪽은 갈탄 중심의 발전에서 신재생 에너지 중심의 발전으로 변했다는 점입니다. 길게 글을 읽으실 거 없이 간단히 이야기를 하자면, 독일의 재생에너지 소비율 (생산율이 아닙니다.)인 15% 는 프랑스가 이미 먼 옛날에 달성하였으며 2015년 기준으로도 별 차이가 없다는 점입니다. (자료 :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EG.FEC.RNEW.ZS?locations=FR-DE) 사실 이는 다른 자료로도 알 수 있는데, 유럽은 전력거래가 활성화 되어 있기에 잉여 전력은 다른 국가에 팔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독일의 전력 총 수출량은 프랑스보다 약간 앞서는데 매출은 프랑스가 독일의 2배입니다. 즉 타국에 전기가 부족해서 실질적으로 수요가 높은 시간대에 전력 생산은 원전이 재생에너지보다 훨씬 높으며 재생에너지는 버려지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듯 재생에너지는 그 한계로 인해서 원전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프라운호퍼의 자료에 따르면 프랑스가 독일에 수출하는 전기량은 독일에서 수입하는 전기량의 10배입니다. 또한 인구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독일이 프랑스의 2배정도이지요. 물론 이것이 전력 생산단계로 가면 독일이 프랑스의 10배 정도이고 미국과 비슷한 수치까지 올라갑니다. 이렇듯 독일이 에너지 선진국으로 포장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에너지 후진국에 가깝습니다. 그렇기에 원전을 닫고 아무리 이산화탄소 감소정책을 한다 할지라도 다른 국가에서도 똑같은 정책을 도입하면 그 격차만 벌어질 뿐입니다. 물론 그럼에도 독일이 버틸 수 있는 이유는 유럽 최대의 원전 설치국인 프랑스의 접경국가라는 점이 크죠.

올해 일본에서만 약 100여명이 온열질환으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사실 기후변화로 인한 사망자는 적게는 매년 만명에서 크게는 십수만명까지 (기후변화로 인한 중동지역의 생산성 감소와 테러단체들의 활동성 관계를 조사한 논문은 구글링만 해도 쏟아지는 상황이니 이런 테러단체들에 의해서 피해 받는 사람까지 포함할 수 있습니다.) 잡아야 합니다. 반면 체르노빌 원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50여명,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직접적인 사망으로 이어진 경우는 없었습니다. 특히 체르노빌 원전사고나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둘다 인재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충분히 관리될 수 있는 위험이라는 점에서 더욱이 탈핵단체들의 활동에 의한 폐해가 얼마나 큰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방사능에 대한 공포는 대중들에게 뿌리깊게 박혀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태양빛도 방사선이고 여러분들이 지금 보고 있는 모니터의 빛도 방사선입니다. (사실 모든 빛은 방사선입니다.) 또한 방사선 노출량과 발암물질 노출량을 비교했을때 방사선은 저선량에서는 비 선형적으로 (의학물리 전공하는 입장에서 저선량에서 더 큰 피해가 나온다는건 헛소리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나타나는 반면 발암물질은 적은 양에서도 선형적으로 암 발병율이 증가하는걸 볼 수 있습니다. 제 글에 다 동의하지 않으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방사능에 대한 이해를 해보신 뒤에 좀 더 고민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재미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8-14 13:4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7
  • 방사능은 어려워서... 그래도 추천
  • 원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편견을 없애주는 글.
이 게시판에 등록된 키시야스님의 최근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6 문화/예술북유럽 신화 한토막 - 블랙기업 아스갈드 편 12 제로스 18/05/04 7094 10
759 IT/컴퓨터컴퓨터는 메일을 어떻게 주고 받을까? 13 ikuk 19/01/18 7085 17
785 의료/건강AI와 영상의학의 미래는? 33 Zel 19/03/27 7084 28
674 과학지구 온난화와 원전. 56 키시야스 18/08/01 7078 17
742 철학/종교인생은 아름다워 22 기아트윈스 18/12/08 7077 50
707 꿀팁/강좌[엑셀월드] #3. 함수만으로 데이터 추출하기 11 Iwanna 18/10/06 7077 8
696 역사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2) 3 기쁨평안 18/09/13 7074 9
156 과학알파고vs이세돌 대국을 기대하며.... 34 커피최고 16/02/16 7074 4
345 일상/생각타임라인과 속마음 나누기 36 Toby 17/01/13 7067 34
765 일상/생각돈이 없는 것보다 더 부끄러운 것 10 The xian 19/01/31 7065 24
120 정치/사회들여다보자 - ISIS (2) 11 눈부심 15/11/27 7056 4
395 정치/사회화장실을 엿본 그는 왜 무죄판결을 받았나 13 烏鳳 17/03/24 7047 29
980 일상/생각40대 부부의 9급 공무원 도전기 36 4월이야기 20/07/08 7038 51
494 문학제가 하는 일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해 보려 합니다. 33 그리부예 17/08/16 7038 12
413 꿀팁/강좌국립중앙박물관에 가 보세요! 34 열대어 17/04/16 7027 15
743 정치/사회한 전직 논술강사의 숙대 총학의 선언문 감상 40 烏鳳 18/12/11 7022 35
336 정치/사회대리모 문제 37 烏鳳 17/01/03 7021 12
518 일상/생각평등 31 알료사 17/09/26 7004 27
939 정치/사회가속주의: 전세계의 백인 지상주의자들을 고무하는 모호한 사상 - 기술자본주의적 철학은 어떻게 살인에 대한 정당화로 변형되었는가. 18 구밀복검 20/03/24 6994 23
564 일상/생각이상하게도 슬리퍼를 살 수가 없다 21 소라게 17/12/21 6994 22
1021 경제내집 마련을 위하는 초년생들을 위한 짧은 팁들 24 Leeka 20/10/21 6992 19
138 기타젠더와 명칭 39 눈부심 16/01/06 6990 4
836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6989 31
240 문학히틀러 <나의 투쟁>을 읽고 7 DrCuddy 16/07/28 6980 13
197 역사유게에 올라온 유재흥 글에 대해 67 눈시 16/04/29 6978 3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