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1/13 15:35:29수정됨
Name   메아리
Subject   서평 -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김영하
  이 소설은 아주 잘 읽힌다. 쉬이 손에서 놓을 수 없다. 재미있지만 불편한 이야기의 덩어리들이다. 문장들이 나쁘지 않다. 과하게 좋다. 특히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에 해당하는, <마라의 죽음>과 <사르다나팔의 죽음>을 설명하는 부분은 후일 교과서에 실릴만하다.

  김영하는 영리한 작가다. 대중과 평단에서 동시에 좋은 평가를 이끌어 낸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그가 대중과 평단에게 보이는 면을 각기 다르게 설정하는 탁월한 작품 전략을 취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대중과 평단이 보는 부분을 각기 다르게 제시하면서도 각각에게서 호평을 이끌어 낸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입체적이다. 대중성과 작품성을 동시에 담보한다. 예를 들면 이 파탄 난 인생들의 스토리는 대중의 입맛에 딱 맞아 떨어진다. 소설의 위악적 설정으로 작용하는 자살 조력자라는 소재도 탁월하다. 자주 출몰하는 성적 묘사 역시 그런 역할을 한다. 대중의 흥미를 끄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불편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스토리 요소를 잘 버무리는 유려한 문장력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면서도 결코 평단의 기대 역시 져 버리지 않는다.

  작가는 이 소설에서 특이한 아이러니를 설정한다. 그 아이러니는 잘 읽히는 문장과 불편한 서사를 통해 설정된다. 유려한 문체로 꼴 보기 싫은 이야기를 해댄다. 독자는 이 딜레마 사이에서 흔들거리다 책을 집어던지거나 혹은 숭배한다. 탁월한 문장력으로 형편없는 삶의 이야기를 나열하는 효과. 등장인물들의 삶은 지리멸렬하다. 이들의 삶은 실제감 없는 공허한 스토리인데 자꾸 읽힌다. 그래서 오히려 현실과 소설의 간극이 벌어진다. 이 소설은 결코 현실을 담아내려 하지 않는다. 그런데 그럼으로써 오히려 현실이 드러나게끔 한다. 이 스토리들은 현실에 기반을 두지만 결코 현실적이지 않다. 작가는 소설을 파탄 냄으로써 현실이 파탄 나는 지점을 드러내려 한다. 이른바 소설의 위악과 현실의 위선이 만나는 지점, 그 지점에서 작가는 삶을 찾는다.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은 이름이나 혹은 불리는 이름으로라도 불린다. 그러나 소설에서 이름조차 가지지 못하는 존재들이 있다. 그들이 단지 알파벳인 이유는 그들이 비소설적 인물이기 때문이다. 역설적으로 이들은 이 소설에서 가장 현실적 존재들이다. 작가는 이들을 알파벳으로 표현함으로써 소설과 현실의 거리두기를 꾀한다. 파탄 난 현실로서 C와 K. 그들은 죽지 않는다. 죽어야 하는 이 소설에서 그들은 살아남은 자들이다. 살아남은 자들은 ‘사람’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아도르노는 예술이 현실에 대한 위안을 담당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오히려 예술은 현실을 불편하게 느끼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예술은 참 힘든 예술이다. 이미 충분히 힘든 현실을 더 불편하게 만드는 예술이라니. 그것이야말로 정말 스스로를 파괴하는 행위가 아닌가.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은 충분히 중의적이다. 제목이 말하는 ‘파괴’가 자살, 영원한 종결로서 그것이라면 허무주의 외에 이 책을 지배할 만한 이론은 없다. 그러나 단지 허무주의라기에 팽팽한 무엇이 남아 있기에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그 ‘파괴’가 의미하는 것 중에 허무주의 말고 무언가가 남아 있을 것이다. 그것은 무엇일까?

* 토비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2-01 15:4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1
  • 조용히 올라가는 추천수
  • 서평은 춫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94 일상/생각정독도서관 사진 촬영 사전 답사의 기억 공유 19 메존일각 23/04/12 3064 14
1264 역사내가 영화 한산에 비판적인 이유 17 메존일각 23/01/04 3022 16
1219 기타24fps/30fps, 60fps. 영상 프레임 레이트에 대한 잡설. 11 메존일각 22/06/29 5990 6
964 문화/예술간송미술관 두 보물 불상의 경매 유찰, 그리고 아무 소리 13 메존일각 20/06/01 4780 18
959 일상/생각위안부 피해자 할머님들에 대한 반성, 무식함에 대한 고백 18 메존일각 20/05/16 5680 49
913 역사궁궐 건축물 위에 <서유기> 등장인물이? 15 메존일각 20/01/23 5192 12
876 역사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적 위상이 서원보다 낮았던 이유? 26 메존일각 19/10/16 5736 19
872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하- 10 메존일각 19/10/03 5749 17
871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상- 메존일각 19/10/03 5520 19
868 일상/생각최근 홍차넷의 분위기를 보며 50 메존일각 19/09/27 10653 69
861 역사신안선에서 거북선, 그리고 원균까지. 12 메존일각 19/09/18 5670 16
860 역사거북선 기록 간략 정리 22 메존일각 19/09/17 6422 14
854 역사"향복문(嚮福門) 이름을 바꿔라!" 고려 무신정권기의 웃픈 에피소드 메존일각 19/09/01 5392 13
840 문화/예술<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3 메존일각 19/08/01 5028 7
839 역사일반인이 이해하는 이순신의 거북선 형태 2 메존일각 19/07/30 6012 12
836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7002 31
813 일상/생각결혼식의 추억 20 메존일각 19/06/02 5260 22
758 문화/예술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의 간단 정리 13 메존일각 19/01/16 6154 8
728 일상/생각추억의 혼인 서약서 12 메존일각 18/11/14 5526 10
797 역사현대에도 신분제도는 남아있을까? 10 메존일각 19/04/21 5413 11
798 문화/예술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고택의 현황과 활용상 문제 22 메존일각 19/04/24 5987 11
1309 일상/생각사진에도 기다림이 필요하다. 6 메존일각 23/07/06 1797 13
761 문학서평 -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김영하 3 메아리 19/01/13 5684 11
717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5 메아리 18/10/16 7163 24
592 철학/종교푸코의 자기 배려와 철학상담(1) 3 메아리 18/02/11 6222 1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